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석경”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43(중종 38)∼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여길(汝吉), 호는 덕암(德巖). 영산현(靈山縣) 온정리(溫井里)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증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贈嘉善大夫戶曺...
    이칭별칭 여길(汝吉)| 덕암(德巖)
  • 목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90(정조 1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치현(稚顯). 병조좌랑을 지경(趾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덕(祖德)이고,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안중(安中)이며, 어머니는 (...
    이칭별칭 치현(稚顯)
  • 덕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
  • 덕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부곡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02년(숙종 2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경(李厚慶)‧이도자(李道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을 추가 배향하였다...
  • 이경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단천부사로, 남두성과 오랜 친구다. 남윤의 뛰어난 재주를 사랑해딸 으로 남두성에게 구혼한다. 혼인을 약조한 후 대사성에 승직되어 경성에 올라온다. 혼롓날 신랑신부의 사모와 화관이 바람에 날려 서로 흩어지니 불길해 한다. 딸의 첫날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부인과 딸...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9)

  • 南十里出商山嶺西北流入急水門急水門西三十五里大同月唐兩江之水會合桐激水勢甚洶湧(曲浦西)朴排浦西三十五里南川入江處菉沙浦西十里十二浦西四十浦西南四十五里靑龍浦西四十下流腰浦西北四十五里黑橋川入江處(島嶼)(右坰西南四十五柳坰西北二十細塘坰東北十五女叱坰西北十堤堰四坰洑四)鐥島朴排浦之南鐵...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曲浦西)朴排浦西三十五里南川入江處菉沙浦西十里十二浦西四十浦西南四十五里靑龍浦西四十下流腰浦西北四十五里黑橋川入江處(島嶼)(右坰西南四十五柳坰西北二十細塘坰東北十五女叱坰西北十堤堰四坰洑四)鐥島朴排浦之南鐵島西三十里鐥島東南右今俱在堤堰內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父主前上白是 稅舡回承安後因以阻隔 霜落木落冬令已屆伏未審 養氣體候連衛萬康閤 內均適伏慕且念子婦病 祟係是門運而形勢所寄 人力所者末由如意奈何 晝宵伏歎只勞心肝耳子 自七月旬間一土産人解 炊飰縫衣者置之塾側 迊兒童輩傳食決非可 合之道而島民等會議而 成者也雖甚昌皮其自家使穩計 則比前稍優亦...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一東由通州高麗莊入白河 其一南流霸州 合易水 南至天津丁字沽 入漕河 曰盧溝河 亦曰渾河 河初過懷來 束兩山間 不得肆 至都城西四十山之東 地平土疏 衝激震盪 遷徙弗常 元史名盧溝曰小黃河 以其流濁也 上流在西山後者 盈涸無定 不為害
    국가중국 | 서명명사 | 왕대기타  
  • 里出九月山日出峯東北流入絶瀼海要玄浦東十五里元堂浦東北四十里屹紅溫井北二十里洞陰溫泉(堤堰大坰洑二十二)北二十五里冷井東北四十南九里灌漑甚廣(島嶼)赤島東北四十里今在堤堰中猪島西北六十里周二十里 成宗十五年自黃州鐵島 ...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262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60면 7. 제20회 졸업자명부 1934년 3월 15일 ; 1934년 3월 15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880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3면 ; 경기 이천군;미상 제3회 191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회생활과 자연관찰의 지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47 9 신교육건설 1호 교육과학연구소 119-121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석경 | 사료철명신교육건설
  • (기획지상강좌 93년중점과제실천방안) 기본 생활습관 정착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과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생활지도 잡지 1993 3 서울교육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석경 | 사료철명서울교육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엄,어머니는 박광미의 딸이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아 한번도 응시하지 않았다. 효행으로 부사과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덕암문집』2권이 있다.

  • 덕봉서원 / 德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부곡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경(李厚慶)·이도자(李道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

  • 덕암문집 / 德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첫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