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서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
사전(26)
- 이서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서우 필적(16...이칭별칭 윤보(潤甫)| 송곡(松谷)
- 이서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우부승지로, 갑작스럽게 팔십여 인의 죄인을 잡아들이라는임금의 명을 받고 죄인들을 한시라도 빨리 데려오기 위해 애를 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서우(李瑞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919 인물 이서우(李瑞雨) 이서우 李瑞雨 1633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윤보(潤甫), 호는 송곡(松谷). 1651년 생원시에, 1660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675년 문장...유형분류인물
- 우치야마 고자에몬(內山鄕左衛門)[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대 관수(館守)였다. 이서우(李瑞雨)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반종왜(伴從倭) 8명과 격왜(格倭) 40명 등과 함께 조선에 왔다. 『邊例集要』;対外関係史総合年表編集委員会,『対外関係史総合年表』, 吉川弘文館, 2000.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유형분류인물
- 이현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08(숙종 34)∼1764(영조 4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현도(顯道). 서우(瑞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泂)이고, 아버지는 병덕(秉德)이며, 어머니는 신공화(申拱華)의 딸이다. ...이칭별칭 현도(顯道)
고서·고문서(75)
- 王曰:“嗚呼!敬之哉。官ㆍ伯ㆍ族ㆍ姓,朕言多懼。朕敬于刑,有德惟刑。今天相民,作配在下。明淸于單辭,民之亂罔不中。聽獄之兩辭,無或私家。【句】 于獄之兩辭。獄貨非寶,惟府辜功,報以庶尤,永畏惟罰。非天不中,惟人在命。天罰不極,庶民罔有令政,在于天下。”【《說文》,尤作訧】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報以庶尤,永畏惟罰。非天不中,惟人在命。天罰不極,庶民罔有令政,在于天下。”【《說文》,尤作訧】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권차명尙書古訓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70 B07307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1月 25日_003 ○下直, 東萊府使李瑞雨, 幽谷察訪陳溟翰, 神方仇非萬戶李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85 B07308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1月 25日_008 ○傳于鄭維岳曰, 東萊府使李瑞雨, 留待引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326 B07232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1月 25日_003 ○下直, 東萊府使李瑞雨, 幽谷察訪陳溟翰, 神方仇非萬戶李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340 B07234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5年 1月 25日_008 ○傳于鄭維岳曰, 東萊府使李瑞雨, 留待引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인민의아들_1952_0429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 개 조(4명)에서 12시간 동안에 1메터20밖에 뚫지 못하던 최용원 작업조에서는 오늘 불과 6시간 동안에 1메터60을 뚫게 되었으며 권태식 작업조에서는 6시간에 1메터90이라는 구분대에서 최대의 기록을 올리게 되었다. 통신원 리서우대표표제어인민의아들_1952_0429_02 | 책임주필김학석
주제어사전(4)
-
이서우 / 李瑞雨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성헌 증손, 할아버지는 길남, 아버지는 경항, 어머니는 이경유의 딸이다. 당색으로는 대북계열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1651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참의, 함경도관찰사,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노주문집 / 蘆洲文集 [종교·철학/유학]
1편, 기 9편, 발 3편, 명 1편, 축문 3편, 제문 12편, 잡저 2편, 권4는 상량문 2편, 묘갈명 3편, 묘지명 4편, 행장 7편, 권5는 부록으로 저자의 조카인 이만(履萬)이 쓴 행장, 이서우(李瑞雨)·이광정(李光庭)이 쓴 묘갈명, 만사·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
강박 / 姜樸 [종교·철학/유학]
1690(숙종 16)∼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강홍익의 증손, 할아버지는 강언, 아버지는 강석훈, 어머니는 이서우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강석번에게 입양되었다. 1714년(숙종 40) 절일제에 장원,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 부교
-
백곡집 / 柏谷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김득신(金得臣)의 시문집. 7책. 필사본. 『백곡집』 제 1책 권두에는 이서우(李瑞雨)·박세당(朴世堂)이 1686년과 1687년에 각각 쓴 서문에 이어서 오언절구 253수와 육언시 7수가 있다. 제 2책은 칠언절구 469수, 제 3책은 오언율시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