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색” 에 대한 검색결과 1,9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56)

사전(731)

  • TD_L14_D_2495 인물 立飮, 貶所, 召還, 跪而進酒, 不讓 太祖 御天歌 D_12_05_23 대동운부군옥 12권 5장 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5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515 인물 博覽, 天資, 明敏, 羣書 麗史 D_12_06_13 대동운부군옥 12권 6장 1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6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664 인물 換置第二, 對策, 殿庭, 讀卷官, 稱賞, 甲科第一名, 考官, 外國士 恭愍王三年甲午 元 歐陽玄 詩格註 D_13_04_108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0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0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759 인물 時政八事, 母老, 棄歸, 政房, 吏兵 元 麗史 D_13_04_160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6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996 인물 任便居住, 尹李之獄, 水災 淸州 麗史 D_14_01_06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1)

고서·고문서(930)

  • () 졸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 졸업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5845일 창간 북한, 귀순 ...
    대표표제어異色(이색) 졸업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귀순
  • 18세기 중반 () 등 선조필적(先祖筆蹟)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察布査敦布拉克무덤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察布査敦布拉克무덤 1900년대 察布査敦布拉克무덤 40(3/37) 伊犁 지구 察布査爾 縣城 서남 50km 43°23'58.29"N 80°...
    대표표제어察布査爾索敦布拉克무덤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察布査爾索敦布拉克무덤 | 무덤조성연대전국
  • 詩曰予懷明德不大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10 中庸自箴 ITKC_MP_0597A_0310_030_0220 詩曰予懷明德不大聲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中庸自箴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云予懷明德不大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20 中庸講義補 ITKC_MP_0597A_0320_010_0550 詩云予懷明德不大聲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中庸講義補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으으응, 소년들아, 그만 쉬고이-히 - , 논을 매자 1. S4(솔라도레) 2. S4.(단. 두 번째 메김 끝에 솔-시(퇴성)의 진행으로 약간 감을 준다) 1. 솔 (또는 라) 2. t4. 1. 솔라도 2. v1,4. 1,2. 비고정장단 곡
    녹음지역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신전리 도륜대 | 녹음날짜1991.9.1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너구리가 변한 주전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いしょくものこうえん, 共演)은 곡예·요술·춤 등을 보여 주는 대중공연장을 말한다.가 뭔지 모르겠는데, 이세모노고야. 예를 들어, 이상한 사람이나 그런 좀 이상한 기술, 마술 같은 거 보여주는 그런 사람들이 쇼하는 데. 그런 가게 뭐라고 해요? 옛날에 그런 게 있었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8)

  • 연구의 몇 가지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71626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08 연구의 몇 가지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소비자의 종 허용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석현정, 게재일 : 2010
    46879 석현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색채학회 2010 소비자의 종 허용범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도현철, 게재일 : 2010
    26770 도현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목은시고를 통해 본 고려 말 의 일상 - 1379년(우왕 5)의 사례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익주, 게재일 : 2008
    13205 이익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08 목은시고를 통해 본 고려 말 의 일상 - 1379년(우왕 5)의 사례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채소수급안정화사업 참여농가의 손익구조-옵션의 합성을 이용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5031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경제학회 2004 채소수급안정화사업 참여농가의 손익구조-옵션의 합성을 이용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21)

  • 민세안재홍전집 : 가뎡‥‥부인뎨이회가투대회를열면서 (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260 1927 2 15 4 3 安民世 안재홍 가뎡평론 가뎡‥‥부인뎨이회가투대회를열면서 (三) 신문 조선일보 3면1단 석간 평론 여성 직접자료 선집외 牧隱, 李舜臣, 李之蘭, 朴彭年 A192702...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三千刷版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62 1935 1 1 1 1 三千刷版 잡지 삼천리 7권 1호 122~124쪽 생활문 인물 간접자료 선집외 方應謨 崔恩喜 安在鴻 B19350101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本人以雜貨로爲業이現今本店을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以雜貨로爲業이現今本店을設置于本國仁川港畓洞等地얏기로玆에廣佈오니大韓 僉君子照亮셔願買코시면廉價로放賣오니來問심을伏望홈 日本 白木도上中下가잇고 日本山東紬와 할나 왜증 色古椵 手巾 담뇨 韓國仁川畓洞 商 標 增 駒澤支店 [電話貮百四拾四番)
    게재일1905년 3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08 1925 8 24 9 4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四) 신문 조선일보 1면4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鄭忠信, 元天錫, 申光漢, 金麟厚, 安裕, 許蘭雪軒, 崔瑩, 鄭夢周, A19250824조선...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氏와반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08 1934 1 15 1 1 三千刷版 安在鴻氏와반지 잡지 삼천리 7권 1호 123 생활문 인물 간접자료 선집외 結婚式, 主禮, 에피소드 B19340115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55)

  •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_사대부의 문학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_사대부의 문학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_사대부의 문학_1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_사대부의 문학_1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_사대부의 문학_1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기타자료(8)

  • ;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616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40면 11. 제11회 졸업생(50음순) 1935년 3월 3일 문;文 제11회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목은 선생 생가지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kk4-0238 유구 목은 선생 생가지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牧隱 先生 生家址 一帶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2001 대구대학교박물관 85 백영흠, 이희돈, 황정숙 백영흠, 김희곤, 이희동, 장희흥, 황정숙 대구대학교박...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대구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 고구려가 당과의 전쟁 과정을 왜에 알려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言 惟十二月 於高麗國 寒極浿凍 故唐軍 雲車衝輣 鼓鉦吼然 高麗士卒 膽勇雄壯 故更取唐二壘 唯有 亦備夜取之計 唐兵抱膝而哭 銳鈍力竭 而不能拔 噬臍之恥 非此而何釋道顯云 言春秋之志 正起于高麗 而先聲百濟 百濟近侵甚苦急 故爾也 (󰡔日本書紀󰡕 27 天智紀)
    대표표제어고구려가 당과의 전쟁 과정을 왜에 알려주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1년(辛酉/신라 태종무열왕 8, 문무왕 1/고구려 보장왕 20/唐 顯慶 6, 龍朔 1/倭 齊明 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홍기주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사업, 특히 당 대열의 조직적 강화 및 적인 반동분자들의 숙청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였다. 1946년에 대표단 일원으로 소련을 방문하였다. 1948년부터 북조선인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사업하고 있다. 이 사업에서 상당한 실천 경험과 조직적인 숙련의 경험을 얻게 되었다....
    키워드홍기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 대표주제어홍기주 | 발신자레베데프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군사를 요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急之才也 (󰡔三國史記󰡕 5 新羅本紀 5 善德王 12年) 【원문】 秋九月 新羅遣使於唐言 百濟攻取我四十餘城 復與高句麗連兵 謀絶入朝之路 乞兵救援 (󰡔三國史記󰡕 21 高句麗本紀 9 寶藏王 2年) 【원문】 冬十一月 王與高句麗和親 謀欲取新羅党項城 入朝之路 遂發兵攻...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군사를 요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3년(癸卯/신라 선덕왕 12 仁平 10/고구려 보장왕 2/백제 義慈王3/唐 貞觀 17/倭 皇極 2)

주제어사전(62)

  • / [종교·철학/유학]

    1328-1396. 고려 말의 유학자. 정몽주, 길재와 함께 삼은이라 불리운다. 원나라에 유학하였고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불교와 도교에 대해 비판하면서 본원유학을 강조했다. 문화에 권근, 정도전 등이 배출되어 조선 성리학의 기틀을 조성했다. 저서에 <목은집>이 있

  • 목은집 / 牧隱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목록 1책, 시(詩) 35권 17책, 문(文) 16권 4책, 부록 1책 합 23책(영본), 전 55권 25책. 의 시문유고로 조선후기 간행본 소장본은 시고목록상(詩藁目錄上), 중(中) 2책,

  • 부벽루 / 浮碧樓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 지은 한시. 오언율시. 『목은시고 牧隱詩藁』 권2에 실려 있고, 그 밖에 『동문선』 권10, 『기아 箕雅』 권5, 『대동시선』 권1 등에도 전한다. 내용은 부벽루에 올라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의 고사를 회고한 것이다. 의 시편(詩篇) 중

  • 회고가 / 懷古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이 지은 시조. 1수로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가 망한 것을 회고하고 인세(人世)의 무상함을 슬퍼하여 지은 시조이다. “白雪(백설)이 ᄌᆞ자진 골에 구루미 머흐레라/반가온 梅花(매화)ᄂᆞᆫ 어ᄂᆡ 곳에 픠엿ᄂᆞᆫ고/夕陽(석

  • 급암선생 시집 / 及菴先生詩集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문신·학자 민사평의 고시·율시·사소등을 수록하여 1370년에 간행한 시집. 외손 김구용(金九容)이 편집하고, 문인 이이(李珥)가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있을 때 ()의 발문을 받아 1370년에 간행하였다. 인쇄된 후 워낙 오랜 세월이 지나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