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상진” 에 대한 검색결과 5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7)

사전(77)

  • 만산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17년 아들인 양섭(陽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규(權奎)의 서문과 권말에 정용(鄭鎔)ㆍ정기(鄭琦)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하지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판본. 1793년(정조 17) 동생 홍진(弘辰)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4-1690) 1614(광해군 6)-1690(숙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천득(天得)| 만암(晩庵)| 충정(忠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0(숙종 36)∼1772(영조 48).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약천(若天), 호는 하지(下枝). 아버지는 재기(載基)이며,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지일(之鎰)의 딸이다. 권구(權榘)ㆍ권상일(權相...
    이칭별칭 약천(若天)| 하지(下枝)
  • 이윤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6(인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옹(士雍). 덕형(德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여황(如璜)이고, 아버지는 상진(象震)이며, 어머니는 이자(李滋)의 딸이다. 1692년(...
    이칭별칭 사옹(士雍)

고서·고문서(419)

  • 1721년 () 발괄(白活)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743년 ()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92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71년 () 봉암성재기(鳳巖書齋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721년 (), 이태현(李台賢) 등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구술자료(2)

  • 지혜로운 어린 아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에서 본 내용보다 어른들께 들은 얘기를 해 주시라고 요청하자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1월 14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1번지 임실향교 | 제보자한준석
  • 동서들의 청탁을 거절한 만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얘기에 이어 만암 이상진에 대한 일화를 구연하던 중 전화기가 울려서 얘기가 중단되었다. 전화통화 후에 제보자가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1월 14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1번지 임실향교 | 제보자한준석

기초학문(5)

  • 〈토지〉는 어디에 있는가 -수용환경의 변화로 본 〈토지〉 해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진, 게재일 : 2003
    0842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연구학회 2003 〈토지〉는 어디에 있는가 -수용환경의 변화로 본 〈토지〉 해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토지〉 속의 만주, 삭제된 역사에 대한 징후적 독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진, 게재일 : 2004
    08715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토지〉 속의 만주, 삭제된 역사에 대한 징후적 독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법을 활용한전자무역 마케팅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진, 게재일 : 2011
    39580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통상정보학회 2011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법을 활용한전자무역 마케팅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FTA 주요협상국과의 글로벌 전자무역 구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진, 게재일 : 2006
    3728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상학회 2006 FTA 주요협상국과의 글로벌 전자무역 구현에 관한 실증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본 〈토지〉 속의 일본, 일본인, 일본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진, 게재일 : 2010
    2720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본 〈토지〉 속의 일본, 일본인, 일본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6)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서울 靑葉町 3-12 기타 - 빈병(空甁), 깡통(罐), 나무통(樽), 자루(袋) 청부 69.8 자루(袋)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
    대표표제어李相鎭(李相鎭)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빈병(空甁), 깡통(罐), 나무통(樽), 자루(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京城旅舘) 신의주 京城旅舘 眞砂町 1 - - 여관업 - 10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相珍(京城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京城旅舘) 신의주 京城旅舘 眞砂町 1 - - 여관업 - 10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相珍(京城旅舘)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여관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비셔승 강 호 갈닌에 리죠영으로 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셔승 강 호 갈닌에 리죠영으로 임고 셩균관 박 리죵직 박필 에 리죵억 권대션 리운호로 임다
    게재일1900년 3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 미국 사 산도로 궁부 찬의관을 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 사 산도로 궁부 찬의관을 명고 즁츄원 의관 리붕 김제영 김원 리한상 셔병옥 김윤환 갈닌에 졍삼품 리호셩 오품 김용련 륙품 졍용묵 최치두 박희 박봉쥬로 임고 셩균관박 송상언 리필영 류영렬 닐에 리죵직 박필 으로 임고 윤치슌으로 군부 쥬...
    게재일1900년 1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28)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180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89면 (학과)본과신제도 ; 경성부 욱정 3정목 4 16회 193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87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3면 ; 제3회 1941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770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21면 ㅁ1. 동문회회원록;ㅁ4) 제4회 6명(1909) ; 황해 안악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401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72면 - ; 경북 18 1944년 12월 22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666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44면 16. 제16회 졸업생 소화3년 3월 23일 32명 ;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90(숙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 정란 증손, 할아버지는 종길, 아버지는 영선, 어머니는 민여임의 딸이다. 1645년(인조 2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판, 대사간,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0∼1772). 1756년(영조 32)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뒤에 귀향하여 《대학》·《논어》·《중용》·《주자서절요》 등을 탐독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하지유집》 7권 3책이 있다.

  • 한계서원 / 寒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에 있던 서원. 1669년(현종 10)에 지방유림들이 신중경(申重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학봉리(鶴峯里)에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4년(숙종 20)에 ()을 추가배향하였으며, 1736년(영조 12)에 한

  • 박세모 / 朴世模 [종교·철학/유학]

    원·이경휘·서필원· 등과 교유하였고, 특히 윤선거와는 우의가 두터웠다.

  • 이세덕 / 李世德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24년(경종 4).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후산, 조부는 이사경이다. 부친 이두악과 모친 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05년(숙종 31)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관직에 나아가 문학·정언·지평·직장·수찬·검상·사간·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