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상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
사전(7)
- 이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용수(溶叟), 호는 성서(城西). 아버지는 휘음(徽音)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두문(斗文)의 딸이다. 할아버지인 증병조참판...이칭별칭 용수(溶?)| 성서(城西)
- 대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판결을 기다림. 且白 政院書吏洪晉雄 卽家親.人 以上言事 因尙方回啓 方見囚待切 而所坐不至深重 伏乞寬容 .得仍存其任如何, 이종성(李宗城), 21(禮)-49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근대신어 : 독일인(德人)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1236 독일인 다항 德人 德人이嘗言曰軍備政策은我의權利를損奪며 독일인이 일찍이 말하기를 군비정책은 우리의 권리를 빼앗으며 卞榮晩 世界三怪物 廣學書舖 1908 20 국가 인종출전世界三怪物[廣學書舖]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과학지식] 인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김시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창(咸昌). 자는 휴백(休伯), 호는 백남(白南). 영천(榮川) 출신. 아버지는 통덕랑 정휘(鼎輝)이며, 어머니는 이상언(李尙彦)의 딸이다. [내용]...이칭별칭 휴백(休伯)| 백남(白南)
- 성서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상언(李尙彦)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10대손 운호(雲護)ㆍ진호(進護)와 12대손 명직(明職) 등이 편집, 간행하였고,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정종호(鄭宗鎬)의 서문과 권말에 김회진(金晦鎭...
고서·고문서(162)
- 1864년 이상언(李相彦)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864년 이상언(李相彦)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865년 이상언(李相彦)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868년 이상언(李相彦) 외 7인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8년 2월 17일에 이상언 외 7명이 문중 회의 날짜를 통보해 주기를 요청하기 위해 충효당에 보낸 편지이다. 내용에는 상대방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의 안부가 편안한지를 묻고, 자신의 근래 정황에 대해 말하고 있다. 건물을 짓는 일을 주선하여 이루어 낸것은 종손이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70년 이상언(李相彦) 외 3인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0년 2월 13일, 영양石浦의 李相彦 ‧ 李心燦 ‧ 李相琮 ‧ 李相樺 등이 춘궁기에 문중의 진휼 조직인 竹館에서 구휼에 앞장서고, 아울러 구휼을 위한 모임을 갖기를 재령이씨가 살고 있는 仁良과 楮谷에 제안하였다. 그러나 발급지인 석포에 역질이 있어서 오고 가기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구술자료(1)
- 충청남도 부여군_옹골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153 충남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_옹골소리 옹골소리 몬돌가락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팔충리 1992.11.4 素92-11-4③A 방계찬,오창선,이상언 방계찬(1918년 보령군 주산면 출생.남.6세에 충화면 복금리 이주.40세경에팔충리이주),오창선(19녹음지역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팔충리 | 녹음날짜1992.11.4 | 가창방식선입후(先入後)제창(齊唱)
기타자료(2)
- 이상언;李相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995 남한 전남 목포상업학교 2-26 回想譜 1938―03 0 이상언;李相彦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목포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울산 중산동 약수유적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경숙,차영자,최영미/실측:김현식,김나영,김경숙,최영미/제도:김경숙,최영미,황근미,이상언,이달님/탁본:차영자/원고:김현식,김나영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97-1번지 일원 울산광역시 북구 129˚ 21’ 8” 35˚ 38’ 46”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4)
-
이상언 / 李尙彦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66(현종 7).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휘음,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1648년 다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사간원정언을 시작으로 성균관사예·사헌부장령·병조정랑, 정선군수, 영광군수, 안악군수·성균관전적을 역임하였다. 16
-
김시빈 / 金始鑌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이상언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필선을 거쳐 1724년(영조 즉위년) 장령이 되어 영조의 탕평책을 두둔하다
-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
-
성서집 / 城西集 [종교·철학/유학]
이상언의 문집. 6권 3책. 석인본. 후손 이운호가 남은 원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간행 연도는 김회진가 발문을 쓴 것이 1955년 정월이므로 이해에 간행한 듯하다. 권1에는 시 73제 79수, 권2에는 시 104제 118수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시 121제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