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삼현” 에 대한 검색결과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16)

  • 종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으며, 초고본 그대로 보존된 것으로 보아 간행되지 않은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문(文) 2편, 제문 10편, 서(序) 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태경(台卿), 호는 종산(鐘山). 진흥(普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호(宗祜)이고, 아버지는 재익(在翼)이며, 어머니는 유한철(兪漢哲)의 딸이다. ...
    이칭별칭 태경(台卿)| 종산(鐘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0∼1937.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벽동 출신. 1919년 3ㆍ1운동에 참가한 뒤 일본경찰의 감시를 피하여 만주로 건너가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및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 소속으로 활약하였다. 만주에서도 ...
  • 함흥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죄수를 풀어주었다. 조정에서는 함경도관찰사 이종우(李鍾愚)에게 일단 사태를 진압하게 하고, 이어 행호군(行護軍) ()을 안핵사에 임명 파견하여 난의 뒷수습을 하도록 하였다. 이 민란은 농민들이 당시 이정청(釐正廳)에서 한 때 환곡을 폐지한다는 고시를...
  • 대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예전 그대로임. 형편이 이전과 다름이 없음. 記下省狀帶昨爲幸, (), 42-6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8)

  • 75565 B07556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年 2月 4日_017 ○以慶尙監司狀啓, 東萊府使徐璟淳爲先罷黜, 臣亦惶恐待罪事, 傳曰, 已有處分, 卿其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816 B035816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2年 10月 3日_009 ○刑曹啓曰, 卽接慶尙監司文移, 則 H010404]南海縣, 徒二年半定配罪人具乃文, 限滿云矣。 取考曹上配案, 則乃文以刃刺外從兄罪, 癸亥四月, 到配, 今已限滿的實, 依法典放送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9947 B06994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哲宗 11年 4月 28日_004 ○徐承輔啓曰, 新除授行左承旨, 時在平安道義州府任所, 右承旨鄭獻敎, 時在慶尙道東萊府任所, 交代後, 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何如? 傳曰, 許遞, 前望單子入之。 承旨前望單子入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619 B07561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3年 7月 1日_008 ○以慶尙監司狀啓, 東萊府人命渰死事, 傳曰, 許多人命之一時渰沒, 聞甚矜惻, 元恤典外, 別加顧助, 如有生前身還布竝蕩減, 未拯屍身, 期於拯得之意, 廟常[廟堂]措辭, 分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5577 B065577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40年 6月 19日_013 ○今日, 左議政金昌集請對引見入侍時, 左議政金昌集所啓, 以濟州狀聞事, 欲爲稟定, 玆敢請對矣。 上曰, 三件事耶? 金昌集曰, 濟州狀請, 卽女人及雌牛馬出送陸地, 罪人移配等事, 監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290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3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리삼현 리승만, 인민유격대, 유·엔 위원단 주지하는 바와 같이 패망 전야에 직면한 리승만 도배들은 조국과 인민을 팔다 못하여 약 1년 전부터 소위 『이민법』이라는 것을 조...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07_03 | 책임주필강길모
  • 1958년도 석사학위논문-관습법의 법원성 서울대학교법과대학 93 1958년도 석사학위논문-현대적 관료제의 전개 서울대학교문리과대학 장지호 10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6

기타자료(1)

  • (이주자);(李周子);이가주자;李家周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6415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졸업대장(1928-1948) n.r. 76면 (이주자);(李周子);이가주자;李家周子 제14회 4275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7∼?). 진흥 증손, 할아버지는 종호, 아버지는 재익, 어머니는 유한철의 딸이다. 1862년 진주에서 민란이 일어났을 때 경상도선무사가 되어 영남 지방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1864년(고종 1) 함흥부안핵사가 되어 흉흉한 북방의 민심을 무마

  • 선무사 / 宣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난의 수습을 위해 파견되었다. 그 두드러진 예로는 1862년(철종 13) 임술민란 때 조구하· 등을 삼남지방에 파견한 일과 1893년(고종 30) 동학교도의 보은집회 때 어윤중을 양호선무사로 파견한 일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