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삼석”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달보(達父). 종실 영천군(靈川君) 정(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여원정(礪元正) 세헌(世憲)이고, 아버지는 창(昌)이며 어머니는 이빈(李...
    이칭별칭 달보(達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6(효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설월당(雪月堂). 아버지는 익신(翊臣)이다. 1681년(숙종 7) 사은사 이필(李泌)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의 연경(燕京)에 다녀오고, 이듬해 통신사 윤지완(尹趾完...
    이칭별칭 설월당(雪月堂)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908 인물 () 1624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석여(錫予), 호는 설월당(雪月堂). 1711년 통신사행 때 사자관(寫字官)으로 일본에 다녀온 이이방(李爾芳)...
    유형분류인물
  • 이화립(李華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등과 함께 일본문사들에게 글씨를 써주거나 혹은 화답시를 지어주었다. 같은 해 8월 26일 에도에 있는 소 요시자네(宗義眞)의 저택에서 사자관 이화립은 자제군관 홍세태(洪世泰), 상통사 안신휘(安愼徽), 군관 윤취오(尹就五), 동료 사자관 (...
    유형분류인물
  • 관북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에 있다. 1617년(광해군 9) 이식(李植)이 착수하여 아들인 이단하(李端夏)가 완성하고, 1693년(숙종 19) 신여철(申汝哲)ㆍ()이 증보하고, 1782년(정조 6) 신대겸(申大謙)이 수정하여 간행한 『북관지(北關誌)』가 현전하는 함경도 최초...

고서·고문서(33)

  • 2_002647 18200_0036 奎18200 明禮宮(1890) 경기도 交河郡 淸巖面 新村 경기도 交河郡 新村 8 8두락 () ()
    자료번호18200_0036 [奎1820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58991 B058991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36年 5月 23日_013 ... 經, 施以惟輕之典者也。 今者審理, 非欲得原犯也, 乃求其疑, 而其疑若此, 同疑之中, 其何釋一而刑一乎? 特減一律, 參酌邊遠定配。 今聞夏澤捉囚云, 雖不翻案, 旣示予意, 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713 B0727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7年 1月 7日_010 ○吏批, 以呂聖齊爲大司憲, 李弘迪爲掌令, 徐必成爲江華經歷, 權脩爲判決事, 林泳爲持平, 蘇斗山爲戶曹參議, 崔後亮爲密陽府使, 南益熏爲東萊府使, 鄭勔爲司䆃寺正, 朴純爲分承旨, 爲江陵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902 B071902 동래 東萊 정치행정承政院日記 肅宗 7年 1月 7日_010 ○吏批, 以呂聖齊爲大司憲, 李弘迪爲掌令, 徐必成爲江華經歷, 權脩爲判決事, 林泳爲持平, 蘇斗山爲戶曹參議, 崔後亮爲密陽府使, 南益熏爲東萊府使, 鄭勔爲司䆃寺正, 朴純爲分承旨, 爲江陵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施以惟輕之典者也。 今者審理, 非欲得原犯也, 乃求其疑, 而其疑若此, 同疑之中, 其何釋一而刑一乎? 特減一律, 參酌邊遠定配。 今聞夏澤捉囚云, 雖不翻案, 旣示予意, 不可與三碩等律, 島配。 出傳敎 雲逵曰, 聖意雖在於罪疑惟輕, ·夏澤之處決, 似涉太輕矣。 㻐曰, 獄體則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빈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경상좌도 암행어사, 장령, 지평, 승지,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관북읍지 / 關北邑誌 [지리/인문지리]

    이식(李植)이 착수하여 아들인 이단하(李端夏)가 완성하고, 1693년(숙종 19) 신여철(申汝哲)·()이 증보하고, 1782년(정조 6) 신대겸(申大謙)이 수정하여 간행한 『북관지(北關誌)』가 현전하는 함경도 최초의 읍지로서 『관북읍지』의 저본이 되었다. 함

  • 김시태 / 金時泰 [종교·철학/유학]

    권흉의 친속이 되어, 백성들의 재산을 착취하여 권씨 가문에 바쳤다고 탄핵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그는 철산부로 유배되었다. 1722년(경종 2)에 사화에 연루되어, 백열이‧ 등과 함께 국청에 불려가 심문을 받다가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