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32)
사전(483)
- 종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이삼현(李參鉉)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으며, 초고본 그대로 보존된 것으로 보아 간행되지 않은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문(文) 2편, 제문 10편, 서(序) 17...
- 이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조실록(英祖實錄)』 『귀록집(歸鹿集)』 이삼 장군 유물 / 영정첩 1677(숙종 3)-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무신. 충청남도...이칭별칭 원백(遠伯)|함은군(咸恩君)
- 이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영흥부 사람으로, 도망 다니던 진쌍옥을 잡아 관아에 바쳐 유흥비를 벌려고한다. 그러나 장경량이 쌍옥의 가짜 신분을 듣고 아는 체를 해 주면서 천금을 내주자 그것을 받고 돌아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李三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950 李三灘 인물 庭草不剪, 居家淡素, 積草, 蒲茵 行狀 D_11_04_37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3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三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010 李三灘 인물 天眞, 相對, 風仙 本集 D_05_01_67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6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6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483)
- 一二三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133 창가 表情遊戱唱歌集 第二輯 22104 1936 車士百 中央保育學校 車士百 金煥 壹円 四十錢 一二三 〈mn〉오선악보 있음〈/mn〉 〈#50〉 [ 1 ] 여―럿이 줄을 서서 一 二 三 좌향하여 손을 드세 一 二 三 앞으로...구분창가 | 편저자車士百
- 李參判 【萬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400 李參判 【萬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2 第二統統首李己里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1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三路北里 2 第二統統首李己里三 第一戶 束伍軍李己里三年肆拾陸乙酉本慶州父末善祖必世曾祖華臣外祖孫味 同本密陽妻姜召史年參拾陸乙未本晋州父介同祖起雲曾祖不知外祖金成 大本金海女年玖壬戌等丁卯戶口相准 第...연도_면이름181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路北里
- 7 第七統統首許起伊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3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七路東里 7 第七統統首許起伊三 第一戶 黃山道驛吏許起伊三年肆拾乙卯本김海父鳳學祖仁善曾祖世達外祖김順三本김海妻 朴召史年參拾壹甲子本密陽父靑山祖明國曾祖景宗外祖李尙文本慶州等辛卯戶口相準 第二戶...연도_면이름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七路東里
- 1 第一統統首李三杰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9년_범서면(凡西面) 1729년 범서면(凡西面) 第十堀火里 1 第一統統首李三杰 第一戶 黃山道堀火驛吏李三杰年肆拾伍乙丑本慶州父驛吏太山祖驛吏太奉曾祖 驛吏白伊外祖驛吏朴莫龍本慶州妻金召史年參拾柒癸酉本金海父正兵戒 元祖正兵先男曾祖納粟通政順卜外祖正兵金東元本金海...연도_면이름172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十堀火里
구술자료(33)
- 이삼삼아 옷해입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노래의 구연을 끝내고 노래 하나를 더 부르겠다고 말한 다음 이 노래를 구연하였다. 이 노래를 누구에게 배웠느냐고 묻자 제보자는 방안의 청중에게 배웠다고 우스개말을 하였다. 이어 어릴 때 배웠다고 하고, 청중 중 한 명은 옛날 어른들께 배운 것이라 덧붙였다.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용주면 봉기리 봉기마을회관 | 제보자김정조
- 박초선 춘향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50 28:55 A면 \"춘향모가 어찌 소리를 질러놨던지 춘향이 놀래 웃목으로 가고\"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이삼차 부르도록 대답이 없으니 도련님이 돌아서 발 구르며 계집이라 하는 것이 무정한\"라는 사설에서 끝남.B면 \"방으로 들어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초선 춘향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50 28:55 A면 \"춘향모가 어찌 소리를 질러놨던지 춘향이 놀래 웃목으로 가고\"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이삼차 부르도록 대답이 없으니 도련님이 돌아서 발 구르며 계집이라 하는 것이 무정한\"라는 사설에서 끝남.B면 \"방으로 들어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초선
- 경상남도 함양군_모노래 곡풍 논매기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불러,시라, 불러시라 -, 이십세에이에저 -, 어데이 불러어 시라 (뒤): 이삼, 시이힙이이, 넘어허 가함에 - 으, 노래헤 저, 어엉도 간 [곳 없] 네 M{미(솔)라도레미`} + D{도(레)미솔라} t1. M: 미라 D: 도미 복합장단 곡. ♪ = 150.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 녹음날짜1989.4.19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여섯 살에 할머니 집에 살게 된 이야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나고 나니까 후회가 됐어요. [조사자1: 몇 살 때라구요?] [조사자2: 여섯 살] 여섯 살, 여섯 살인데 한국 나이로 일곱 살이에요. 그런데 이삼년 너무 길잖아요, 기다리기가. 그래도 눈치 있게 할머니랑 살면서 저희 할머니 되게 일 안 하는 거 뭐 안 줘요. [조사자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텡쏙레앙(박주희) [캄보디아,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2)
- 姜獻奎 ??周易參同契演說??에 대한 양생역학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석민, 게재일 : 201564792 윤석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5 姜獻奎 ??周易參同契演說??에 대한 양생역학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 一九二九年の「内地」で呼び起こされた一九二三年の「朝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71954 한국연구재단 일본근대문학회 2009 一九二九年の「内地」で呼び起こされた一九二三年の「朝鮮」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형, 게재일 : 201816746 김우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8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https://www.krm.or.kr/krm유형논문 | 게재일2018
- 한국의 시민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발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삼성, 게재일 : 200212972 이삼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북아학회 2002 한국의 시민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발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텍스트 난이도에 따른 핵심 어휘와 그 관계망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삼형, 게재일 : 201820869 이삼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18 텍스트 난이도에 따른 핵심 어휘와 그 관계망 변화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709)
- 賑施蔘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공가 외부로 죠회기를 귀국 경리원과 삼졍물회샤간에 관삼방를 부탁야 임의계약을 셩립얏 삼졍회샤에셔 그관삼 수츌슈입기 위야 화륜션을 고입고 경비동졀이 과다즉 이으로 경리원에젼죠야 계약을 실시케되 만약 시치 으면 손상이잇스리라 엿더...게재일1905년 6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森已三郞(森已三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森已三郞(森已三郞) 서울 森已三郞 森已三郞 新堂町 333-54 금융 - 금융 - 6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森已三郞(森已三郞)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叅領拿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군부협판 한진창씨와 려단장 량성환씨가 일본 군령부에 불녀갓던말은 별항에 긔얏거니와 동씨 등은 일본군령부로셔도라와 각 령위관다러 병뎡들을 잘죠속 일로 신칙 시위이련 이대 참령 리긔표씨가 무삼 불협을 얏든지 려단장 량셩환씨가 군부대신에...게재일1907년 7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李叅領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 오쳔죄로 참령 리민화씨 법부로 구라징판다더니 일본헌병령부에 피착야 명동령부에셔 슈 엄얏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石田二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石田二三(-) 부산 石田二三 - 大倉町1-22 - - 고물 - 12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石田二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고물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기타자료(112)
- 이삼주;李三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83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8면 이삼주;李三柱 제7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삼실;李三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184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0年 1935―09―30 344면 이삼실;李三實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삼실;李三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209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1年 1936―09―30 336면 이삼실;李三實 조선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삼지;李三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82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8면 이삼지;李三之 제4회 1934년 3월 23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삼룡;李三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24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이삼룡;李三龍 제5회 1936-09-3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남옥 | 한국국학진흥원 | 2019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32)
-
이삼 / 李森 [역사/조선시대사]
1677(숙종 3)∼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사길. 윤증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병조판서 김구의 천거로 1705년(숙종 31)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 1721년(경종
-
이삼석 / 李三碩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정 증손, 할아버지는 세헌, 아버지는 창, 어머니는 이빈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경상좌도 암행어사, 장령, 지평, 승지,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이삼현 / 李參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7∼?). 진흥 증손, 할아버지는 종호, 아버지는 재익, 어머니는 유한철의 딸이다. 1862년 진주에서 민란이 일어났을 때 경상도선무사가 되어 영남 지방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1864년(고종 1) 함흥부안핵사가 되어 흉흉한 북방의 민심을 무마
-
이참봉집 / 李參奉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학자 이광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5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5년(순조 5)에 간행된 것으로 건(乾)·곤(坤)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참봉집』 제 1책의 앞에는 이만수(李晩秀)·신대우(申大羽)의 서문이 있다. 발문은 제 4권 끝부분
-
갈계리삼층석탑 / 葛溪里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3.2m.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석탑이 건립된 지역은 경작지로 변해 사찰의 규모나 내력 등을 알 수 없으나, 인근에서 수습되는 기와조각과 자기조각으로 보아 고려시대에서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