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산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1)
사전(157)
- 김선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산해(李山海)의 문인이다. [내용]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다음해에 대제학 유성룡(柳成龍)의 추천으로 이조좌랑 이유징(李幼澄)과 함께 독서당에 들어갔다. 이어서 예문관검열이 되었는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관으...이칭별칭 백후(伯後)| 백천(柏川)
- 이산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산해 1539(중종 3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문장팔가(文章八家)의 한 사람. 서화에도 능했다.이칭별칭 여수(汝受)| 아계(鵝溪), 종남수옹(終南睡翁)| 문충(文忠)
- 이산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임진왜란 때 호종 대신. 왕이 서울을 비우고 도망갈 때, 왕을보필하며 따라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산해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내용]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
- 이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7(명종 22)∼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집(仲集), 호는 석루(石樓). 치(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번(之蕃)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산해(山海)이며, 어머니는 조언수(趙彦...이칭별칭 중집(仲集)| 석루(石樓)
고서·고문서(58)
- ○十月。 以李山海爲刑曹判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十月。 以李山海爲刑曹判書 30_189_094.jpg ○十月。 以李山海爲刑曹判書。 上疏辭職, 不允。 拜恩後辭免至三, 皆不允。 山海少有文名, 出宦途後, 踐歷淸要, 馴至六卿。 爲人淸愼而少氣節, 巽懦避人言, 故無忤於上, 下不失物望。...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9세기 중반 이산해(李山海) 등 가정서첩(家庭書帖)[선세유첩(先世遺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572~1691년 여흥민씨(驪興閔氏)[李山海妻母] 분재기(分財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黃海道庄土文績_제78책 : 黃海道載寧郡餘勿坪所在庄土河肯一提出圖書文績類 87. 乾隆十年-乙丑-三月日李山海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7892 奎 19303 黃海道庄土文績 제78책 : 黃海道載寧郡餘勿坪所在庄土河肯一提出圖書文績類 78-087 87. 乾隆十年-乙丑-三月日李山海前明文 도장권매매문기 1 75-90 59.5x52.4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자료명黃海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곽흘(郭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568 B026568 곽흘 郭屹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宮室 ... 以城中無井鑿池儲遂種蓮作堂其上中有小石島種花竹可愛) 贊籌軒(在觀德亭南判官伺候處也) 運籌堂(在東城上牧使郭屹建李山海題額) 蓮堂(在東城人判官李恪鑿池種蓮作堂其上今廢) 上衙(在弘化閣北) 延曦閣(卽...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5)
- 이산해(李山海)의 출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화제가 사주팔자로 변하자 웃으면서 이야기를 시작하였다.*조사일시1984-11-03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 제보자김형국
- 이산해(李山海)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4-30 | 조사장소충청북도 중원군 상모면 | 제보자홍정유
- 사명대사와 이산해(李山海)의 시 문답(詩 問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앞 설화에 대해 별로 흥미를 기울이지 않으면서 책에 없는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더니, 재미난 이야기를 하겠다고 하면서 서두를 꺼내었다. 사랑방에서 우스게로 흔히 이야기되는 것 중의 하나라고 했다. *조사일시1981-01-2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구장회
- 이토정과 조카 이산해(계속)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주교 내력을 듣고 난 뒤에 "확실한 증거가 있어야 얘기할 수 있느냐?"고 조사자에 묻고는 이 이야기를 해 준 것이다. *조사일시1982-01-12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 제보자김병학
- 몽교로 얻은 자식(이산해 탄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랫만에 조사자들이 상산노인정을 다시 찾아 가니 노인정의 노인들이 반갑게 맞아 주었다. 제보자는 이번에 온 김에 전에 안 한 얘기를 마저 다 해야겠다며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제보자는 연로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억력은 뛰어났다.*조사일시1979-07-03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김장수
기타자료(1)
-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萬戶 留連酒德 讌笑金除 叅論兵馬 分期聲援 一朝大擧 水隆交鋒 于時 塞草分花 楡星上莢 駐驆之戰 文帝親行 弔人恤隱 義之深也 旣而山海異形 日月廻薄 聖人下武 王亦承家 巖葛因依 聲塵共擧 洗兵刷馬 咸遵先志 數十年外 中國疲勞 帑藏時開 飛蒭日給 以蒼㠀之地 起黃圖之兵 貴於有益 貪於無用...대표표제어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0)
-
이산해 / 李山海 [종교·철학/유학]
1539(중종 3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장윤의 증손, 할아버지는 치, 아버지는 지번, 어머니는 남수의 딸이다. 156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정자, 부수찬, 병조좌랑, 사헌부집의,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아계집≫이 있다
-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
-
정운공신 / 定運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광해군 때 소북파 유영경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처음 책정될 때는 정인홍·이이첨·이산해·이성 등을 포함하여 1등은 수성결의분충효절정운공신 2인, 2등은 수성분충정운공신 5인, 3등은 수성정운공신 4인 등
-
매월당집 / 梅月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의 문인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의 시문집. 시집 15권 4책, 부록 2권 1책, 도합 23권 6책. 신활자본. 『매월당집』의 책머리에 이자와 이산해(李山海)의 서(序)와 윤춘년과 이이의 「김시습전」이 실려 있다. 이 책은 권1∼15에 시,
-
아계유고 / 鵝溪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이산해(李山海)의 문집. 6권. 목판본. 1659년에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1981년에 다시 『한산문헌총서(韓山文獻叢書)』 속에 수록되어 영인본으로 출판되었다. 『아계유고』 권1·2에 기성록(箕城錄)이라 하여 시가 실려 있다. 권3에 기성록 잡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