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붕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9)
- 이붕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8년(명종 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내용]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중항(仲恒). 아버지는 팽년(彭年)이며, 어머니는 여씨(呂氏)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장 가토(加藤淸正)의 병사가 관북(關北)으...이칭별칭 중항(仲恒)
- 이붕수(李鵬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98 인물 이붕수(李鵬壽) 이붕수 李鵬壽 1548 1593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중항(仲恒).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당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일본군이 관북(關北)까지 북상하...유형분류인물
- 정문부(鄭文孚)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黃赫) 등을 일본군 장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에게 넘기고 항복하자, 이에 격분해 최배천(崔配天)‧이붕수(李鵬壽)‧정현룡(鄭見龍)‧오응태(吳應台) 등과 의병을 규합하였다. 먼저 국경인‧국세필(鞠世弼)을 잡아들여 참수(斬首)하였고, 이어 장덕산전투(長德山戰鬪)‧쌍포전투...유형분류인물
- 무계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 용수원으로 이용된다. 어랑천을 사이에 두고 서북쪽에는 장연호(長淵湖)가 있다. 호수 서안에는 임진왜란 때 이붕수(李鵬壽) 등 8명의 의사가 모여 의병운동을 도모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창렬사(彰烈祠)가 있다. 어랑천 하구 가까이에는 무계호‧장연호 외에도 동련호...
- 조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과정에서 일어나는 부정을 엄단해야 참다운 공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임란관북제의사거의추록(壬亂關北諸義士擧義追錄)」은 임진왜란 때 경성(鏡城) 이붕수(李鵬壽)의 집에서 최지(崔池)‧박은주(朴銀柱) 등이 정문부(鄭文孚)로 대장을 삼고 여러 동지들을 규합,...
고서·고문서(1)
- 목재선생문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바로 곡을 하러 가지 못하고 2년이 지나서야 곡을 하게 된 사정을 밝히면서 흠향을 권하고 있다. 碣銘 贈監察李君碣銘(1659) 14 함경도에서 의병을 일으켰던 李鵬壽(1548~ 1593)에 대한 碣銘이다. 이 글은 대체적으로 임진왜란 때 鄭文孚(1565∼1624)...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1)
- 이붕수;李鵬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2232 남한 경성 감리교신학교 1-01 神學世界 제23권 제2호 1938―05―06 미상면 2. 1938년도 감리교신학교;1) 신입생 이붕수;李鵬洙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이붕수 / 李鵬壽 [종교·철학/유학]
1548년(명종 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팽년, 어머니는 여씨이다. 임진왜란시 북평사 정문부를 만나 강문우, 종성부사 정현룡과 함께 창의기병하여 정문부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는 별장이 되었다.1593년(선조 26) 1월 단천전투에서 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