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봉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28)
- 이봉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들이 그의 거동을 수상하게 여겨 받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얼마 뒤 김구(金九)가 그의 진의를 알고 자신이 조직한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시켜, 이봉창의 소신대로 일본천황폭살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거사 자금이 여의치 못해, 월급 80원을 받고 일본인이...이칭별칭기노시타(木下昌藏)
- 김홍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병기를 관리하는 책임장교로 있으면서, 김구(金九)의 뜻에 따라 한인애국단의 거사에 비밀작전 참모격으로 크게 활약하였다. 1932년 이봉창(李奉昌)의 1‧8일왕저격 및 윤봉길(尹奉吉)의 4‧29상해의거용 폭탄을 김구의 요청으로 송식마(宋式驫)와 함께 제작하였다. 이봉...이칭별칭 일서(逸曙)
- 사쿠라다문의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32년 1월 8일 오전 11시경, 한인애국단원(韓人愛國團員) 이봉창(李奉昌)이 일본 궁성 사쿠라다문을 나서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裕仁)를 죽이려 했던 거사. [역사적 배경] 1931년 9월 군국주의 일본은 만...이칭별칭일본천황암살미수사건
- 한인애국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석(金皙)‧안공근(安恭根) 등이며, 단원은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이덕주(李德柱)‧유진만(兪鎭萬)‧최흥식(崔興植)‧유상근(柳相根) 등이다. 만주사변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중국인의 한국인에 대한 나쁜 감정을 없애고, 독립운동에 있어 새로운 국면을 전개하...
- 의생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에서의 이봉창(李奉昌)의 사쿠라다문의거(櫻田門義擧)와 1932년 4월 상해 훙커우공원(虹口公園)에서의 윤봉길의거(尹奉吉義擧)는 김구 주도하의 애국단(愛國團)에서 실행하였다고 공표되었지만, 사실은 의생단의 조직방침내에서 애국단의 이름으로 김구 책임하에 실행된 것이었다....이칭별칭특무대(特務隊)
고서·고문서(38)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779 B07377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9年 12月 29日_027 事, 何如? 曰, 豐年矣。 瑞興戶長出伏, 上曰, 年事, 何如? 曰, 免凶矣。 全羅道戶長齊進, 而羅州戶長出伏, 上曰, 年事, 何如? 曰, 之次邑。 上曰, 封倉乎? 曰, 已封倉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390 B07339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9年 12月 29日_027 事, 何如? 曰, 豐年矣。 瑞興戶長出伏, 上曰, 年事, 何如? 曰, 免凶矣。 全羅道戶長齊進, 而羅州戶長出伏, 上曰, 年事, 何如? 曰, 之次邑。 上曰, 封倉乎? 曰, 已封倉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4200 B044200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9月 28日_035 ... 樂亟令王府更加嚴鞫, 期於得情。 請慶源府定配罪人鳴遠依律處斷。 請物故罪人德泰支屬應坐者一一査出, 絶島散配。 請三水府定配罪人孫效忠, 泗川縣定配罪人柳仁培, 放逐本鄕罪人李鳳昌·沈德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4408 B044408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10月 24日_011 ... 加嚴鞫, 期於得情。 請慶源府定配罪人鳴遠, 依律處斷。 請物故罪人德泰支屬應坐者, 一一査出, 絶島散配。 請三水府定配罪人孫效忠, 泗川縣定配罪人柳仁培, 放逐鄕里罪人李鳳昌·沈德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6098 B046098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年 9月 26日_019 ... 川縣定配罪人柳仁培, 放逐本鄕罪人李鳳昌·沈德一·李德成, 罪人申世輝·蔡伯周·盧聖翊, 仍令王府更加嚴鞫, 期於得情。 絶島爲奴罪人一才·卜男·福伊, 俱以志恒之奴屬, 暗聽志恒之指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3)
- 민세안재홍전집 : 尹奉吉烈士等"追悼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15 1946 4 10 1 1 尹奉吉烈士等"追悼式" 民主議院에서不遠執行 신문 동아일보 2면 4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尹奉吉, 李奉昌, 白正基, 追悼式 A19460410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출판경찰보 111호 중앙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1호 중앙일보 중앙일보(中央日報) 1938년 1월 8일 미기재 미기재 남경(南京) 일본_1938년 2월 21일 금지 안녕 중국어 이봉창 의거, 앵전문사건 ‘조선(朝鮮)...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1호 중앙일보 | 출판물명중앙일보(中央日報) 1938년 1월 8일
- 출판경찰보 104호 한민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04호 한민 한민(韓民) 미기재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37년 4월 9일 금지 안녕 한국어 안중근, 이봉창, 김구, 독립운동 ‘안, 봉(安, 奉) 양의사(兩義士)와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4호 한민 | 출판물명한민(韓民)
- 출판경찰보 070호 화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大逆) 범인 이봉창(李奉昌)을 상양하고, 불경한 필치(筆致)를 쓰기 때문에 금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별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0호 화선 | 출판물명화선(火線) 제7호
- 출판경찰보 112호 화자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2호 화자일보 화자일보(華字日報) 1938년 1월 8일 미기재 미기재 향항(香港) 일본_1938년 5월 7일 금지 안녕 중국어 앵전문 사건, 이봉창, 이봉창 의사 의거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2호 화자일보 | 출판물명화자일보(華字日報) 1938년 1월 8일
연구과제(1)
-
식민지조선의 감옥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종민 | 연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
-
이봉창 / 李奉昌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900∼1932). 1930년 12월 중국 상해로 떠났다. 1931년 김구가 조직한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일왕 폭살 계획을 추진하였다. 1932년 1월 8일, 동경 요요키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끝내고 경시청 앞을 지나가는 일왕 히로히토를 향해 수
-
서울 효창공원 / ─孝昌公園 [지리/인문지리]
. 공원의 북쪽 높은 동산 위에는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백정기(白貞基) 등의 묘소가 있다. 세 사람의 묘는 1946년 7월 9일에 김구(金九)에 의하여 이곳으로 이장되었고, 1949년 7월 5일에는 국민장을 치른 김구의 유해도 이곳에 안장되었다.
-
사쿠라다문의거 / 사쿠라다門義擧 [역사/근대사]
1932년 1월 8일 오전 11시경, 한인애국단원 이봉창이 일본 궁성 사쿠라다문을 나서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를 죽이려 했던 거사. 이 사건은 침체되어 가던 우리의 독립운동에 활기를 불어 넣는 촉매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 정계를 발칵 뒤흔들어 놓았다. 즉, 당시
-
한도원 / 韓道源 [역사/근대사]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를 조직, 활동하였다. 1931년 이봉창(李奉昌)에게 무기와 자금을 제공하여 일본 동경(東京)에서 의거를 일으키도록 도왔다. 1934년 김구(金九)의 밀령으로 상해일본총영사관 후지이(藤井) 경부보의 밀정으로 일하면서 일제의 정보를 탐지하여 김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