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병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
사전(39)
- 이병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1(현종 12)∼1751(영조 27). 조선 후기의 시인.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일원(一源). 호는 사천(槎川), 또는 백악하(白嶽下). [생애와 활동사항] 부모를 비롯한 그의 출신배경은 알 수 없다. 백...이칭별칭일원(一源)|사천(?川)|백악하(白嶽下)
- 조선환여승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병연(李秉延)이 지은 지리서. [내용] 1책. 목판 및 목활자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1910년부터 1937년까지 전국 241개 군 중 129개 군의 인문 지리 현황을 직접 조사, 편찬하였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 정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밀려 들어오는 남종화법(南宗畫法)이나 오파(吳派)와 같은 새로운 산수화 기법에 접하게 되었다. 또 당시 유행하게 된 시서화 일체 사상을 중시하던 문인들 사이에 참여하여 자신의 교양을 높이거나 창작하는 계기를 얻게 되었다. 특히 이병연(李秉淵) 같은 시인과의...이칭별칭 원백(元伯)| 겸재(謙齋), 겸초(兼艸), 난곡(蘭谷)
- 사천시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병연(李秉淵)의 문집. [개설]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 저자의 작품 일부가 필사본으로 전해오던 것을 1778년(정조 2) 홍낙순(洪樂純)이 편집, 간행한 것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낙순의 발문이 있다. 상...
- 신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요즈음. 嫩暑已能醉人 遠惟辰下 兄靜履萬安, 이병연(李秉淵) 47-17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5)
- 이병연(李秉延)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정묘년 이병연(李秉淵)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경오년 이병연(李炳淵)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747년 이병연(李秉延)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47년 이병연(李秉延)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신문·잡지(7)
- 림병유로 뎐환국쥬를 임다十月七日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를 임고 륙품 조명희로 죵졍원쥬를 임고 의릉참봉 길도원에 한창련임고 슝인뎐참봉 션우규 김졈식에 강창두 션우쳘임고 슝령뎐참봉 황셩겸 최몽환에 조광훈 조규봉임고 긔쟈릉참봉 김치산 리병연에 김룡삼 션우당임고 동명왕릉참봉 김영복 윤긔셕에 황셕면 조창...게재일1902년 10월 15일 | 기사분류관보
- 령월군슈김진슈 외부참셔관 임다 七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령월군슈김진슈 외부참셔관 임다 七月廿八日 군부쥬 황종건에 리진규임고 혜민원쥬 리의셕 리봉 김병슈 리관식 김연창 리계 신우 박졔연 김완슈 리건표에 셩락헌 홍종면 리인필 리용덕 홍슌뎡 졍원영 리병연 고응연 죠규환 소병슈로 임다 以上八月四日 죵묘셔령 김용...게재일1902년 8월 8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신문_1946_110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쁘·아·부듸낀 평양 성매리 41번지 조선신문사 안영삼 김상화, 문창오, 김익선, 리병연, 홍순홍 분구선거위원회, 소비조합 강원군 읍내는 11월 2일 일은 아침부터 명절 같은 기분이 떠돌았다. 날이 아직 채 밝기도 전에 한사람식 혹은 전 가족이...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106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이북통신_1947_02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3 사음금공 이병연 24 강제판매한 북조선의 부첨채권 김 25 자북풍 일동한생...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7
- 즁츄원의관 안영긔 김경현 리셕희 리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병연 졍일 고응연 김은식에 윤응모 신명집 김병두 함쥰 김태형 양상간 김광수 김영셕 김시모 남궁권임고 부쥬 구하죠에 죠현식 임고 츙북관부쥬 김영쥬에 허협 임다 以上八月卄九日게재일1902년 9월 11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9)
- 이병연;李炳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39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22면 이병연;李炳淵 황해 봉산군 만천면 楡亭 169(실업)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병연;李炳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97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3면 이병연;李炳淵 황해 제6회 192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병연;李炳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60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46면 이병연;李炳淵 황해 제6회 192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병연;李炳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447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9면 이병연;李炳淵 경성부 홍파정 157;延專 商科 제2회 1940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병연;李炳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72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6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1) 제29회 150명(1933년 3월 졸업) 이병연;李炳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이병연 / 李秉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시인(1671∼1751). 김창흡의 문인이다. 영조 때 최고의 시인으로 일생 동안 1만 300여 수에 달하는 시를 썼다고 전해지는데, 그 중 500여 수가 현존한다. 시 작품의 대부분은 서정성이 강한 산수·영물 시이며, 저서로《사천시초》가 있다.
-
사천시초 / 槎川詩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병연(李秉淵)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 저자의 작품 일부가 필사본으로 전해오던 것을 1778년(정조 2) 홍낙순(洪樂純)이 편집, 간행한 것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낙순의 발문이 있다. 상·하권 합하여 총 499수의 시가 수록되
-
수내동한산이씨묘역 / 藪內洞韓山李氏墓域 [사회/가족]
秩), 이장윤의 손자인 순충보덕공신 정헌대부 이조판서(純忠輔德功臣正憲大夫吏曹判書)에 증직된 한평군(韓平君)이지숙(李之菽)의 유사(遺事)를 후손 백천 군수(白川郡守) 이병연(李秉淵)이 찬(撰)하고 진사 이기중(李箕重)이 전액(篆額)하여 1728년(영조 4)에 건립하였다.
-
안석경 / 安錫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삽교집』, 『삽교만록』 등을 저술한 학자. 아버지는 안중관(安重觀)이다. 안중관은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으로 이병연(李秉淵)·민우수(閔遇洙) 등 당시 노론계 인사 및 홍세태(洪世泰) 같은 중인 출신 시인과도 교유한 노론계 학자였다. 1752년(영조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