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병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
사전(40)
- 이노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7(영조 43)∼1821(순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군수(君受), 호는 탄초(灘樵). 악진(岳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연(演)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병모(秉模)이고, 어머니는 심관(沈鑵)의...이칭별칭 군수(君受)| 탄초(灘樵)| 효정(孝靖)
- 이병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이병모(1742-1806)이칭별칭 이칙(?則)| 정수재(靜修齋)| 문익(文翼)
- 이병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혜청(惠廳) 당상(堂上). 임금의 명을 받아 김희집과 신씨의혼인에 필요한 제반 경비와 혼구(婚具)들을 준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수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옆에도 사묘(祠廟)를 세우게 하고 화상을 옮겨 봉안하게 한 것이다. 1794년 평안도관찰사 이병모(李秉模)의 요청에 따라 조정에서는 수충사라는 현판을 내렸다. 그리고 관리를 파견하여 제사지내고 지방관으로 하여금 제전(祭田)을 지급하게 하였으며, 승려...
- 이병모(李秉模)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79 인물 이병모(李秉模) 이병모 李秉模 1742 1806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이칙(彛則), 호는 정수재(靜修齋). 1773년 진사시를 거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조좌랑・대...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58)
- 1804년 이병모(李秉模)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04년(순조4)10월 6일에 이병모가 봉산(蓬山)에 사는 생원(生員) 당숙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관리하고 있던 강원도의 정선과 봉산땅을 그곳에 살고 있던 여러 당숙들에게 균등하게 나눠주어 경작케 함으로써, 문중에서 벌어진 토지와 조세 분쟁을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곡성 옥과미술관
- 신원임제학이병모부연시(贐原任提學李秉模赴燕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128. 大韓光武四年-庚子-二月二十七日李炳侮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2945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04-128 128. 大韓光武四年-庚子-二月二十七日李炳侮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광흥부적지기적비명(廣興府赤池紀蹟碑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향례합편(鄕禮合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신문·잡지(4)
- 李炳模(李炳模)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炳模(李炳模) 서울 李炳模 李炳模 竹添町 2-2-3 요리_음식점 - 식당 및 주문 배달 - 25.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李炳模(李炳模)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식당 및 주문 배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함북로동신문_1947_0406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윤복 청진시 □해리 84 함북로동신문사 나남, 리곡리, 수북리 【나남】인민경제계획 예정숫자 초과달성을 위한 나남에서는 파종으로 신답개간에 돌격하고 있다. 리곡리 농민 이병모씨는 4월 1일 감사 300평을 파종하였고 수북리 세포당원 76명은 총...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406_01 | 책임주필김윤복
- 함남인민보_1948_081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리신봉, 리재성, 김필우, 리공옥, 박두용, 문득필, 신명호, 리이영, 박규철, 리병모, 리규정, 박장수, 박차수, 리홍벙 리중배 리정선, 서상원 (이하 원문 불량시 이름생략) (이하 원문 불량시 소속생략) 손옥녀 금화광산 선과부 (녀자) 홍덕규 문천광산 채탄공...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815_03 | 책임주필림상준
- 여원_1965_11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하이쎈스 싸롱 (6) 광고21 집구경 산책 (9)-이병모, 김경오씨 댁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기타자료(3)
- 이병모;李炳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0495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경실 제3호 1932 109면 ㅁ1. 졸업생명부;ㅁ3) 제3회 이병모;李炳模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경기 고양군 한강면 감리 180 상급학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병모;李炳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861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京實제5호 1934―04 115면 1. 졸업생명부;3) 제3회 이병모;李炳模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경기 고양군 한강면 감리 180 상급학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작문학습지도의 이론과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이병모 李丙모 1959 3 교육 9호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교육회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병모 | 사료철명교육
주제어사전(6)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
오륜행실도 / 五倫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797년(정조 21)에 이병모(李秉模)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 5권 4책.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의 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당초에
-
오룡재록 / 五龍齋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남명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1799년(정조 23)에 아들 양룡(陽龍)이 편찬, 간행하였다. 이병모(李秉模)·황승원(黃昇源)의 서문이 있다. 이 책은 권1·2는 「몽은록 蒙恩錄」, 권3은 「여우록
-
광제비급 / 廣濟秘笈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가 지방 사람들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
김한록 / 金漢祿 [종교·철학/유학]
자의 허물을 들추어내어 죽게 하였다. 1806년(순조 6) 영의정 이병모 등 3대신의 소청에 따라 그의 아들·조카에 이르기까지 유배형에 처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