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민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
사전(41)
- 이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河集)』 이민서 필적(1633-1688)이칭별칭 이중(彛仲)| 서하(西河)| 문간(文簡)
- 이민서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노산군을 대군으로 추봉하자는 상소를 올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관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빈(子賓), 호는 병산(屛山). 유록(緌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여(敬輿)이고, 아버지는 판서 민서(敏敍)이며, 어머니는 원주원씨(原州...이칭별칭 자빈(子賓)| 병산(屛山)| 문정(文靖)
- 이민서(李敏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민서 이민서 李敏敍 인물 문신 한국 조선 효종~숙종 이기순 2015 이중(彛仲) 서하(西河) 문간(文簡) 양반 남자 1633년(인조 11) 1월 2일 1688...
- 수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 박지화(朴枝華)의 시문집. [개설] 2권 1책. 목활자본. 김구(金構)가 홍문관에서 그의 시문을 보고 그 가치를 인정하여 뒤에 용강군수(龍岡郡守)로 있을 때인 1684년(숙종 10)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민서(...
논문(1)
- 《苦難的年代》之歷史敘事初探:中國朝鮮族形成史的還原、誤讀與重建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 게재정보 : 동강학간유형논문
고서·고문서(76)
- 이민서(李敏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월 2일에 이민서가 보낸 답장이다.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시호를 청하는 일을 영의정과 함께 추진하고자 하는데, 요즘 공적으로나 사적으로 바빠서 건의를 못하고 있다고 말한 내용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85년 이민서(李敏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85년(숙종11)11월 30일에 이민서가 보낸 답장이다. 병든 몸으로 분주히 돌아다니느라 고민이 많고, 연초(煙草)를 선물로 보내주니 감사하다고 말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910년 이민서(李敏書)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敎書 (肅廟)壬戌配享(文廟)時○知製敎(李敏敍)製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敎書 (肅廟)壬戌配享(文廟)時○知製敎(李敏敍)製進 37_075_040.jpg 敎書 (肅廟)壬戌配享(文廟)時○知製敎(李敏敍)製進 王若曰: 眞儒爲一世所宗, 固宜表章於國政; 公論待百年乃定, 詎緩從享於廟廂? 僉謀旣同, 縟儀斯擧。惟卿...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무후묘비(武侯廟碑)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신문·잡지(1)
- 延仍君致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연잉군사우에 치졔 날이서 작일상오십일시에 계동궁에셔 셜하난 각부신도일졔진찰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6)
-
이민서 / 李敏敍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88(숙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극강 증손, 할아버지는 유록, 아버지는 경여, 어머니는 박임경의 딸이다. 뒤에 도정 후여에게 입양되었다. 송시열을 사사하였다. 1652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지평·교리, 예조판서, 호조
-
동산서원 / 東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에 있었던 서원. 1718년(숙종 4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여(李敬輿)·이민서(李敏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 이관명(李觀命)·이건명(李健命)을 추가배향하였다. 이 서원은 1721년(경종 1)
-
김장군전 / 金將軍傳 [역사/조선시대사]
려대학교 만송문고에 있다. 또한, 규장각에는 이민서(李敏敍)의 찬인 동명이책(同名異冊)의 『김장군전』 1책(5장)이 있다.
-
고죽집 / 孤竹集 [문학/한문학]
」, 박세채(朴世采)의 「고죽시집후서(孤竹詩集後敍)」 등이 있고 끝에 이민서(李敏敍)의 발문이 붙어 있다. 『고죽집』에는 최경창의 손자이며 이 책을 편집한 진해(振海)의 시집인 『늑촌유고(櫟村遺稿)』가 함께 실려 있다. 『늑촌유고』에는 오언절구 15수, 칠언절구 47수
-
수암유고 / 守庵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박지화(朴枝華)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김구(金構)가 홍문관에서 그의 시문을 보고 그 가치를 인정하여 뒤에 용강군수(龍岡郡守)로 있을 때인 1684년(숙종 10)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민서(李敏敍)의 서문과 권말에 김구의 발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