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민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7)
사전(78)
- 이민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9(선조 22)∼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시(子時), 호는 동주(東州)ㆍ관해(觀海). 신당부수(神堂副守) 정(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검(希儉)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수광...이칭별칭 자시(子時)| 동주(東洲), 관해(觀海)
- 이민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란 때 부사로, 김경징과 함께 강화로 들어간다. 충청 감사정세규가 죽자 후임으로 임명되나 위험한 곳이라 하여 외삼촌인 전 영의정 윤방의 힘을빌어 가지 않는다. 뒤에 군율을 어겼다고 하여 영변에 위리안치 당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민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강화도 수비의 중임을 맡은 부검찰사(副檢察使)로, 김경징과더불어 음주 등의 방탕한 생활을 한다. 병자호란 때 적의 공격을 받아 강화가 함락되자, 목숨이 아까워 도망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민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김경징의 부장으로, 용골대 등이 강화도를 습격하자 도망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민구(李敏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69 인물 이민구(李敏求) 이민구 李敏求 1589 167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시(子時), 호는 동주(東州)‧관해(觀海)‧관해도인(觀海道人). 이수광(李晬光)의 아들. 21세 때인 1...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32)
- 1880년 이민구(李玟九)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1880년 이민구(李玟九)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1880년 이민구(李玟九) 의송(議送)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1880년 이민구(李玟九) 의송(議送)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동주선생집(東州先生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신문·잡지(9)
- 李旻九(普興貰物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旻九(普興貰物店) 서울 李旻九 普興貰物店 鍾路 1-13 기타 - 혼례 의상 및 용구 대부 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旻九(普興貰物店)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혼례 의상 및 용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돈령원쥬 로인덕으로 쥬뎐쥬를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돈령원쥬 로인덕으로 쥬뎐쥬를임고 좌시어 김창진으로 돈령원 쥬를 임고 륙품 리우명으로 좌시어를 임고 뎡이품 졍긔으로 평리원판쟝을 임고 즁츄원의관 민의호 고남션 졍국조 윤녕하 림경운에 뎡삼품 리부구 리민구 김현 오희영 졍환실 륙품황긔슈로 임다以上十...게재일1903년 1월 6일 | 기사분류관보
- 농상대신 민죵묵은 례식원쟝 셔리를 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대신 민죵묵은 례식원쟝 셔리를 피명고 구품 남셩희로 경릉참봉을 명고 영희원봉 신헌으로 온릉참봉을 임고 효창원참봉 송긔호로 영희원참봉을 임고 구품 리희범으로 효창원참봉을 임고 류규 리민구 리슌건 강덕규 리우 리승렬 김영직 인슈 윤 경 리죵만 오쥰영...게재일1903년 5월 19일 | 기사분류관보
- 龍仁郡守玄燦鳳氏莅過三載澤流萬民恩威幷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步閭里曉喩必刷決訟之塲請簡無用由來弊習不禁而自禁吏民俱便歲末則年七十以上各賜斤肉養老盡矣四竆殘民救恤斗米視傷至矣是以按使之前後褒題莅任不久己多聲譽試藝志在興學刷逋心功保邑訟決公平輸者無怨克勤克儉有條有理聽訟必從明確隣民亦皆願借淳慤之人剛毅其政如是云云賢侯以來倫綱復明萬口一談欲報我侯惠澤之萬一然本△立...게재일1906년 2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구품 졍인영 리계현 홍승렬 홍션표 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슌희 안영슈 윤홍식 리민구 송슌영 김셕빈 홍긔년 김희상 장민화 장영근 김유경 졍은용 졍룡화 남텬희 죠돈경 황승렬 박교승 구품 류한용 졍광희 구자승 윤병한 리호뎡 죠동슌 남식으로 륙군 참위를 임고 겸임 황도판소판 윤덕영 갈닌에 황도관찰 리용직李容稙으로 겸임...게재일1902년 7월 1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8)
- 이민구;李敏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795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75면 1. 제12. 졸업생;15) 상과 제3회 졸업생 (1915년 3월 31일) 9인 이민구;李敏求 경성부 瑞麟洞 4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민구;李敏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64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3면 2. 제8. 졸업자;15) 상과 9인 (1915년 3월 31일) 이민구;李敏求 (원적)충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민구;李敏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595 일본 愛媛県松山市 松山高等學校 松山高等學校一覽 大正14年度 1925―08―31 91면 이민구;李敏求 조선학교소재지역愛媛県松山市 | 학교명松山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민구;李敏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613 일본 愛媛県松山市 松山高等學校 松山高等學校一覽 大正15年度 1926―07―29 186면 이민구;李敏求 조선학교소재지역愛媛県松山市 | 학교명松山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민구;李敏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5631 일본 愛媛県松山市 松山高等學校 松山高等學校一覽 昭和2年度 1927―07―29 217면 이민구;李敏求 조선학교소재지역愛媛県松山市 | 학교명松山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이민구 / 李敏求 [종교·철학/유학]
1589(선조 22)∼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정의 증손, 할아버지는 희검, 아버지는 수광, 어머니는 김대섭의 딸이다. 1609년(광해군 1) 사마시 수석으로 합격해 진사, 1612년 증광 문과에 장원급제해 수찬으로 등용, 이후 예조·병조좌랑, 지평,
-
낙전당집 / 樂全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신익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4년에 간행한 시문집. 15권 7책. 활자본. 그의 생존시 그의 아들 면(冕)과 최(最)가 시 1,700여수와 문 400여편을 모아 10권으로 편집하였는데, 그가 죽은 지 10년 뒤인 1654년(효종 5) 이민구
-
권환 / 權瑍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대윤,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현감 두명의 딸이다.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낸 권대운의 조카이다. 이민구에게 수학하였으며, 허목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사성, 개성부유수
-
해동사부 / 海東辭賦 [문학/한문학]
하책에는 장유(張維)의 「견발문 遣魃文」·「설부 雪賦」·「조령부 鳥嶺賦」, 정홍명(鄭弘溟)의 「서석산부 瑞石山賦」, 이민구(李敏求)의 「남정부 南征賦」·「몽서부 夢筮賦」, 정두경(鄭斗卿)의 「검부 劍賦」 등 21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