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문집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5)
- 이문집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문 吏文≫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 [내용] ≪이문집람≫ 권2∼4와 ≪이문속집집람≫ 1권으로 된 4권 1책. ≪이문≫은 명나라와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모아놓은 책으로 최세진(崔世珍)이 이문의 학습참고서로서 사용하게 할 목적...
- 이문집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539년 최세진(崔世珍, 1468-1542)이 《이문》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정의1539년 최세진(崔世珍, 1468-1542)이 《이문》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Imun jimnam | MR표기Imun chimn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문집람(吏文輯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문집람 이문집람 吏文輯覽 문헌 한문 한국 조선 중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최세진(崔世珍) 1539 4권 1책 을해자본(乙亥字本) 동국대학교 도서관 [...
- 이문집람(吏文輯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66 문헌 이문집람(吏文輯覽) 이문집람 吏文輯覽 1539년에 최세진(崔世珍)이 『이문(吏文)』을 풀이하여 엮은 책. 4권 1책. 목판본. 『이문』은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와 명 사이에 오고간 외교문서를 전문(全文) 상태로 편찬한...유형분류문헌
- 원명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1539년(중종 34)에 편찬한 『이문집람(吏文輯覽)』에 수록된 행정관계 용어와 이문(吏文)의 어휘를 음절수에 따라 1자류에서 8자류까지 분류하여 두 책의 설명을 그대로 옮겨놓고, 이따금 편자 자신의 보충설명을 덧붙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내용에서 알 수...
신문·잡지(1)
- 우리들_1975_10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섬유작물 왕골이 재배관리 허영수 65 생활고전 다이제스트 (35)-최세진의 훈몽자회, 사성통해, 이문집람 73 세계의 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주제어사전(3)
-
이문집람 / 吏文輯覽 [언어/언어/문자]
『이문(吏文)』에서 어려운 어구를 뽑아서 풀이한 책. 『이문집람』 권2∼4와 『이문속집집람』 1권으로 된 4권 1책. 『이문』은 명나라와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모아놓은 책으로 최세진(崔世珍)이 이문의 학습참고서로서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1539년(중종 34)에 편찬하였
-
이두편람 / 吏讀便覽 [언어/언어/문자]
집람(吏文輯覽)』 소재의 어휘 120, 내외 관부에서 쓰는 것 중 특이한 것 등을 수록하였다. 체재는 범례·이두편람·집람이문·행용이문(行用吏文)으로 나뉘어 있다. 「이두편람」은 이두어휘를 글자수에 따라 유별하고 그 독법을 달았으며, 더러는 자세한 주를 붙였다. 독법은
-
주의집람 / 奏議輯覽 [언어/언어/문자]
기록이 책에는 없으나,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 권2에 의하면, 이문(吏文)의 참고서로서 최세진(崔世珍)의 주관으로 『이문집람(吏文輯覽)』·『박고집람(駁稿輯覽)』·『주의택고집람(奏議擇稿輯覽)』과 함께 1541년(중종 36)에 편찬되었다고 한다. 한글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