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99)
사전(841)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陽村集 燃藜室記述 이무(?-1409) ?-1409(태종 9). 조선 전기의 문신. ≪필사대관≫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돈부(敦夫)| 익평(翼平)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내자시정 지번(之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이고, 아버지는 한평군(韓平君...이칭별칭 연지(延之)| 과암(果菴)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1(광해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삼(子三), 호는 낙계(駱溪). 중종의 서자 덕양군 기(德陽君岐)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봉래군 형윤(蓬萊君炯胤)이며, 어머니는 증참판(...이칭별칭 자삼(子三)| 낙계(駱溪)| 장정(莊靖)
- 이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영춘과 장씨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배다른 형 이성이 어머니인장씨부인의 흉계로 살인 누명을 쓰고 회남으로 유배되자, 형을 걱정하며 눈물을 흘린다. 14세에 유성의 딸 유씨부인과 혼인하나 유씨부인의 모습이 아름답지 않고 오히려 남자 같자 유씨부인을 싫어한다. 그...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당나라의 장수 소정방의 휘하의 중랑장이다. 소정방이 백제를 멸망시킨 후 신라를 기습하려고 하자, 황제가 살생을 싫어하고 신라의 인재가 많음을 말하며말린다. 소정방이 회군할 때 유인원과 함께 웅진에 남는다. 백제를 멸망시킨 공으로 태종으로부터 연안후에 봉해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0,235)
- 與李無晦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三卷 與李無晦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3 與李無晦 某啟久留浙中過辱存顧最爲親厚既去又承追餞最遠自惟衰拙眾所鄙棄自非風義之篤何以至此既別但有思詠兩辱書教具審起居佳勝今歲科舉聞且就鄉裏承示喻進取之意甚倦盛時美才何遽如此且勉之決取爲望新文不惜見寄未緣集會惟萬萬自重不宣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事君有犯而無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30 喪禮外編 卷一 ITKC_MP_0597A_0930_010_0020 事君有犯而無隱。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喪禮外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7 第七統統首李茂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35년_농소면(農所面) 1735년 농소면(農所面) 第七次日里 7 第七統統首李茂尙 第一戶 府案付武學府軍官李茂尙年陸拾丙辰本鶴城父武學碩道祖贈通政大夫(掌頴 院)判決事廷嚴曾祖學生得培外祖正兵金必元本江陵妻金召史年肆拾柒己巳本 金海父正兵時哲祖納粟僉知貴賢曾祖納粟僉...연도_면이름173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七次日里
- 1 第一統統首李茂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2년_청양면(靑良面) 1792년 청양면(靑良面) 第十六上倉里 1 第一統統首李茂三 第一戶 府軍官李茂三年貳拾捌乙酉本蔚山父業武天泰祖業武貴鎰曾祖通政得老外祖金彭周本 慶州妻金姓年貳拾柒丙戌本金海父業武尙佑祖業武夏九曾祖業武起龍外祖業武劉再興本金海 率買得婢草月年拾...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六上倉里
- 2 第二統統首李茂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2년_청양면(靑良面) 1792년 청양면(靑良面) 第十六上倉里 2 第二統統首李茂彩 第一戶 府軍官李茂彩年參拾伍戊寅本蔚山父業武天泰祖業武貴鎰曾祖通政得老外祖金彭周本慶州 妻劉姓年參拾柒丙子本金海父業武再興祖業武遇安曾祖業武進命外祖朴泰憲本密陽率子孟玉 年拾肆己亥買...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六上倉里
구술자료(50)
-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 제보자이국인
-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 제보자원장상
- 이무기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용이 못된 이무기 이야기를 들려 주고, 이런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page id="54"/>청하자 이 이야기를 했다.*조사일시1983-02-03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 제보자박봉천
- 박장군과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마을 앞에 흐르는 강에 이무기가 있다는 말은 없느냐고 묻자, 이 이야기를 해 주었다. 차분하고 조리있게 이야기해 나갔다. *조사일시1981-01-1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남면 | 제보자신현조
- 지심도 이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 제보자이국인
기초학문(23)
- [논문] 페이무〈小城之春〉의 주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38495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논문] 페이무〈小城之春〉의 주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950년대 〈사상계〉의 농촌소설에 대한 인식과 이무영의 농촌소설 쓰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애순, 게재일 : 201560066 최애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1950년대 〈사상계〉의 농촌소설에 대한 인식과 이무영의 농촌소설 쓰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국전쟁기 대중소설의 서사 전략과 젠더 정치: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과 정비석의 『애정무한』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승희, 게재일 : 201349553 서승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연구원 2013 한국전쟁기 대중소설의 서사 전략과 젠더 정치: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과 정비석의 『애정무한』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북한의 경제적 분권화 경향과 정책적 대응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무철, 게재일 : 200607125 이무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06 북한의 경제적 분권화 경향과 정책적 대응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사회주의체제 전환과 이데올로기 변화: 지배이데올로기의 수정 및 퇴조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무철, 게재일 : 200907168 이무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남대학교 극동연구소 2009 사회주의체제 전환과 이데올로기 변화: 지배이데올로기의 수정 및 퇴조 과정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link.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856)
- 人而無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 언으대신집에 문이 명텹을 들이고 들어온자 슈십명이나 맛참 그쥬인 대신이 안에 들어가고 업지라 보호 일슌샤가 그여러 손님을 야 말이 가 여러분에계 두어마 셜명말이 잇스니 들어주시기 바라오 이젼귀국 풍속은 학문공부안코 권문셰가에 츌입으로벼살엇 ...게재일1907년 9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理無兩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쥬 셔병업씨가 참셔관으로 승임된말은 이우에긔얏거니와 동씨 당초 농상공부 쥬로셔 작년 감즁에임이 되얏더니 근에 졍부쥬피임얏다가 지금 참셔관을 승임얏슨즉 동씨의능이 농상공부에잇슬에 로둔다가 졍부에가셔 민활게되얏지 이왕 농부대신이 협...게재일1906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恥而無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강화 보창학교장 리동휘씨 교휵에 열심 은다아 바이라 강화학도만 교휵 리요 야 학부에 쳥원고 셩부 송양 셔원 양사를 엇어 보창지교를 셜시 고 셩부 학도를 모집야 교휵더니 개셩부에 소위 사림들이 통문기를 작년에 공립 소학교가 차거려 하되 림이 반...게재일1906년 6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渡利武俊(渡利武俊)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渡利武俊(渡利武俊) 서울 渡利武俊 渡利武俊 黑石町 山5 청부업 - 건축 청부 4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渡利武俊(渡利武俊)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건축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公察署理無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공쥬관찰 신차셔리 홍쥬군슈 신병으로 셔리 탈보고 갈닌셔리 친환급보 인야 발뎡얏슨즉 맛하잇 관찰 인쟝을 다시공쥬군슈의게로 보것이 엇더지 곳 회뎐라고 관찰부쥬 리규승씨가 부로 뎐보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6)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1920년대부터2010년대까지중요한한국시인들의작품을감상한다. 그들의 시 세계에서고유하게고민하였던문제의식의핵심이무엇이었는지,그리고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1920년대부터2011년대까지중요한한국시인들의작품을감상한다. 그들의 시 세계에서고유하게고민하였던문제의식의핵심이무엇이었는지,그리고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1920년대부터2012년대까지중요한한국시인들의작품을감상한다. 그들의 시 세계에서고유하게고민하였던문제의식의핵심이무엇이었는지,그리고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1920년대부터2013년대까지중요한한국시인들의작품을감상한다. 그들의 시 세계에서고유하게고민하였던문제의식의핵심이무엇이었는지,그리고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1920년대부터2014년대까지중요한한국시인들의작품을감상한다. 그들의 시 세계에서고유하게고민하였던문제의식의핵심이무엇이었는지,그리고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기타자료(138)
- 이무식;李茂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598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39호 1935―11―05 56면 1. 제3회 졸업생 명부(신규 제1회, 1935년 3월) 이무식;李茂植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무영;李懋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78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19면 이무영;李懋榮 충남 아산군 온양면 좌부리 제15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무겸;李武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459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6면 (2) 졸업생일람 이무겸;李武兼 안악군 안악면 판팔리 254 고보16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무순;李武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664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56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8)송도고보 제1회(대정7년) 25명 이무순;李武淳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무출;李戊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60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39면 이무출;李戊出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면 오사동 230;전남 보성군 보성공립보통학교 新令 제8회 19...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1)
-
이무 / 李袤 [종교·철학/유학]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지번 증손, 할아버지는 이산해, 아버지는 경전이다. 어머니는 김첨의 딸이다. 1629년(인조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발을 디딘 뒤, 사헌부지평, 해미현감, 서천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
이무 / 李堥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703(숙종 29). 조선 후기의 문신. 기 현손, 아버지는 형윤, 어머니는 최행의 딸이다. 이식의 문인이다. 1653년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공조참의, 우부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
이무실천자문 / 李茂實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735년에 이무실(李茂實)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간행한 천자문. 표제는 ‘천자문언석(千字文諺釋)’이다. 지질은 두터운 고정지로, 간혹 굵게 섞인 지푸라기가 보인다.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아 찢기거나 닳은 곳이 전혀 없다. 나뭇결이 튼 부분이 많이 보이며, 마
-
강릉 방동리 무궁화 / 江陵方洞里無窮花 [과학/식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에 소재한 무궁화. 2011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 제520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11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높이는 4m, 가슴높이의 둘레는 서쪽가지가 43㎝, 중앙가지가 58㎝, 동쪽가지가 48㎝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5.7
-
평양잡절송이무관 / 平壤雜絶送李懋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제가(朴齊家)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6수. 작자가 평양으로 떠나는 벗 이덕무(李德懋)를 전송하면서, 평양의 유적에 얹어 감회를 적은 시이다. 연작형식의 작품이다. 『정유집(貞蕤集)』과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실려 있다.「평양잡절송이무관」은 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