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목연” 에 대한 검색결과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5(정조 9)∼1854(철종 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춘(伯春), 호는 소소(笑笑). 현유(顯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창중(昌中)이고, 아버지는 의상(義常)이며, 어머니는 유건(柳健)의 딸이...
    이칭별칭 백춘(伯春)| 소소(笑笑)
  • 김동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世淵)에게 입양하였다. [내용] 1826년(순조 26)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좌랑ㆍ지평(持平)ㆍ이조판서를 지냈다. 1841년(헌종 7) 동지 겸 사은부사(冬至兼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45년에는 한성부판윤으로 (...
    이칭별칭 자순(子順), 군원(君元)| 문간(文簡)|청녕군(淸寧君)
  • 조병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府留守)가 되었다. 이 해 안동김씨파의 정언 윤행복(尹行福), 대사헌 () 등의 탄핵상소를 받아 거제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이듬해 유배에서 풀려나게 되었으나 정언 강한혁(姜漢赫), 대사헌 이경재(李景在) 등의 탄핵을 받았으며 1849년 6월...
    이칭별칭 경길(景吉)| 성재(成齋), 우당(羽堂)
  • 친국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度)이 ‘흉언’을 퍼뜨린 사건, 제19책은 1809년 조격(趙檄)의 ‘흉언’건이 수록되었다. 제20책은 1846년(순조 12) 김필(金弼) 등이 언관으로 재직할 때 직무를 태만히 한 건, 제21책은 1848년 ()의 상소 및 이승언(李承言)의 발언에...

고서·고문서(58)

  • 1888년 (=兢淵) 준호구(准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888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901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897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898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5∼1854). 현유 증손, 할아버지는 창중, 아버지는 의상, 어머니는 유건의 딸이다. 1821년(순조 21) 정시 문과 병과급제 후 지평·이조참판·한성판윤 등을 지내고 1843년 동지 겸 사은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대사헌·호조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