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88)
사전(681)
- 이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평사집(李評事集)』 「한재(寒齋) 이목(李穆)의 생애(生涯)와 사상(思想)」(심성섭, 『다부』, 가천문화재단, 1994) 「이평사(李評事)의 사상(思想)과 그 문집(文集)」(유태석, 『도서관』2-5, 국립중앙도서관, 1974)...이칭별칭 중옹(中雍)| 한재(寒齋)| 정간(貞簡)
- 이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2(선조 5)∼1646(인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송교(松郊). 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으로, 아버지는 사옹원봉사 신성(愼誠)이다. 어려서부터 글읽기를 좋아하고 예절을...이칭별칭 문백(文伯)| 송교(松郊)| 충정(忠正)
- 이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9(선조 32)∼1624(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의 순절인.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명원(明遠). 아버지는 정사공신(靖社功臣) 의배(義培)이다. 어려서부터 힘이 세어서 장차 무장이 되기 위하여 무예를 닦아 그 기...이칭별칭 명원(明遠)|한원군(韓遠君)
- 이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승상(丞相)으로, 천자가 남만왕 맹세웅을 잡아 들여 목 베어 죽이려 할 때, 만국(蠻國)의 세자를 봉하여 백성을 보살피게 하고, 맹세웅을 경사에 볼모로두자고 말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옥당의 부제학으로 차자를 올려 장령 유석을 파면하고 장령 박계영의 직위를 바꿀 것을 청하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4,139)
- 이목사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목사님 석 남자 경상북도 영양군 요녕성(辽宁省) 청원현(清原县) 초시진 조선족촌 2조 1 1 이목사님, 새해,대표표제어이목사님 | 성씨석
- 趙李牧請如前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1230 趙李牧請如前箋 정약용(丁若鏞) 公車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公車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伯夷目不視惡色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40 孟子要義 卷二 ITKC_MP_0597A_0340_020_0090 伯夷目不視惡色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孟子要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物門3_耳目口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耳目口鼻 目司視, 耳司聽, 鼻司嗅, 皆兩竅而外露. 口司言司食, 而一竅, 其實口亦兩竅, 而不外露也. 頸中有二竅, 而前喉後咽. 喉通於鼻, 爲呼吸出入之門, 喉上有會厭. 如器之蓋, 一開一闔, 飮食, 從口入, 歷喉厭, 入於咽. 其厭或不密, 物有漏入, 則氣爲之噴嚏也. 又或傷寒鼻...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詩文門1_金蛇木玃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金蛇木玃 十二辰像物, 不可深究, 術家之說, 旣如此. 故詩人、韻士識其歲年, 必曰“靑鼠”、“蒼牛”. 如鄭玄“龍蛇”、謝安“白鷄”之類, 是也. 盧蘇齋《康陵詩》云: “回首儘迷松柏路, 撫圖剛認木豬年.” 《贈僧詩》云: “厚意金蛇盡, 餘情木玃丁.” 木豬, 乙亥也; 金蛇, 辛巳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3)
- 양이목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북촌리의 1차 설화 녹음은 2010년 5월 27일에 있었다. 당시 경로당에 여자 어르신들이 많이 있었고, 모두 흥겹게 놀이를 하고 있었다. 조사자 들은 깨끗한 녹음을 위하여 나름대로 조용한 분위기로 유도하려 하였으나, 주위에 많은 어르신들이 서로 이야기하며 흥겹게 ...조사일시2010. 7. 21(수) | 조사장소조천읍 북촌리 윤삼례씨 자택(북촌리 9길 25-3번지) | 제보자윤삼례
- 광정당과 이목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영천 이형상 목사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자연당과 절 없앤 이야기에까지 하게 되었고, 제보자는 그 양반이 그 일을 한 다음에 큰 벌을 받았다고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너무나 자주 듣던 이야기였으나, 이 목사가 벌을 받았다는 건 새로운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 제보자송경은
- 이목은(李牧隱)의 글재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6에서 나왔던 대목을 거듭 거론하면서 자연스럽게 다시 이 이야기를 이었다. *조사일시1982-02-11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 제보자송영백
- 용덕면(龍德面) 이목리(梨木里) 깨어진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앞 설화를 마치고 정말이라고 하기에 그와 비슷한 신기한 이야기가없느냐고 하니까, 자기 출생지 마을의 이야기라면서 이 설화를 구술하기 시작했다.*조사일시1982-01-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김점봉
- 이목마을 장수연 베틀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월 10일 이목마을을 처음 방문하였는데, 노인회장 이정인이 제보자를 소개하였다. 제보자는 어린 시절에 야학 선생님한테서 배운 노래라며 다 음을 구연하였다. 음원은 2월 17일 이목마을을 재방문하였을 때 녹음한 것이다.조사일시2011년 2월 17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강진면 부흥리 519번지 이목 마을회관 | 제보자장수연
기초학문(3)
- 『茶賦』에 나타난 寒齋 李穆의 樂道思想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남식, 게재일 : 201663004 박남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차문화학회 2016 『茶賦』에 나타난 寒齋 李穆의 樂道思想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러시아어 신체어의 의미전이 연구 - 이목구비 신체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혜현, 게재일 : 200723862 남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슬라브어학회 2007 러시아어 신체어의 의미전이 연구 - 이목구비 신체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오스트레일리아의 굴파는 하루살이(하루살이목, 곤충강)에 관한 분류 및 진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43562 한국연구재단 오스트레일리아의 굴파는 하루살이(하루살이목, 곤충강)에 관한 분류 및 진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신문·잡지(881)
- 割去耳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창셩신을 거즉 그골 사 강진란 사이 무삼둔토 슈셰 엇더케 협잡을 얏던지 모야 무지간에 백셩 슈명이 모야들어 강씨를 잡아여 귀와코를 버히고 눈가족을 버히고 야료고로 군슈 리긔완씨가 그일에 야 단이 곤란즁이라더라게재일1903년 5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이목구비가온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사의 이목구비가 온젼야 남보기에 죠금도 달을것업고 거동이 남보다 죠금도 못거시 업것만은 남의말을 알아듯지도 못고 남의 죠흔것을 보지도 못고 무삼 를 잘맛지도 못고 언어슈작이 남만못고 신 범졀이 남만 못게드면 그사을 병신이라 지 셩한 사...게재일1903년 6월 12일 | 기사분류논설
- 二木英三(米力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二木英三(米力商店) 대구 二木英三 米力商店 幸町 - - 잡화상 - - 自働車 겸업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二木英三(米力商店)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잡화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二木市藏(木浦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二木市藏(木浦組) 목포 二木市藏 木浦組 榮町 1丁目 - - 운송업 - 173 통관업 겸업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二木市藏(木浦組)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운송업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二木松次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二木松次郞(-) 목포 二木松次郞 - 榮町 1丁目 - - 주류판매 - 28 해운업 겸업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二木松次郞(-)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주류판매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멀티미디어(1)
- 수원 이목동 유적 -골프연습장 건립 예정부지내 유적 정밀 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수원 이목동 유적 -골프연습장 건립 예정부지내 유적 정밀 시굴조사 보고서- n1-0067_#1 유구 원색사진1.유적 전경(①), 유적 근경(②) 2015-01-18_0.9978907_원색사진1.유적 전경(①), 유적 근경(②).jpg n1-제목수원 이목동 유적 -골프연습장 건립 예정부지내 유적 정밀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70)
- 이목;李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58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1면 이목;李木 제11회 1944-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목재;李穆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76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1면 이목재;李穆宰 제7회 1940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목돌;李目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812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26면 이목돌;李目乭 경북 달성군 玄凡面 上洞 644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목돌;李目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818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31면 이목돌;李目乭 경북 달성군 玄凡面 上洞 644 1941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목창홍;二木昌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233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13면 - 이목창홍;二木昌弘 1943년 3월 1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의 영문 번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Oh, Young Kyun | Arizona State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7)
-
이목 / 李穆 [종교·철학/유학]
1471(성종 2)∼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이백유 현손, 아버지는 이윤생,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1484년(성종 15)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김굉필·정여창 등과는 동문수학한 관계이다. 성균관적적, 종학사회, 영안남도병마평사 등을 역임하
-
이목연 / 李穆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5∼1854). 현유 증손, 할아버지는 창중, 아버지는 의상, 어머니는 유건의 딸이다. 1821년(순조 21) 정시 문과 병과급제 후 지평·이조참판·한성판윤 등을 지내고 1843년 동지 겸 사은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대사헌·호조판서
-
이목온천 / 梨木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 신천군 이목리에 있는 온천. 온천은 1750년 경에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본래 ‘옻온수’라고 불렀는데, 벽성군 이목리가 1959년에 신천군에 편입되면서 소재지 지명을 따라 이목온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목리는 조선시대부터 알려진 마을로 ‘배나무 마
-
이목구심서 / 耳目口心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여러 서적에서 초출한 것을 비롯하여 시화·기물·천지자연·인물 등을 모아 엮은 잡록. 6권 2책. 필사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48∼53에 걸쳐 2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목구심서」는 제목에 나타난 바대로 귀로
-
보양이목설화 / [문학/구비문학]
승려 보양(寶壤)이 비를 내린 죄로 죽게 된 이무기상좌를 구해주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며, 『삼국유사』 권4 의해(義解) 제5 보양이목조에 실려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구전되고 있다. 스님은 이목을 감추고 천사(天使)에게 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