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명환” 에 대한 검색결과 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찬ㆍ수찬 등 청요직을 번갈아 역임하였으며, 암행어사로 해미현(海美縣)을 안렴하기도 하였다.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어사로서의 임무수행이 철저하여 영조로부터 “의 일성(一聲)에 묵리(墨吏)들이 담장을 넘어 도망치니 진실로 어사이다.”라는 극찬을 받았다는 일화가 전...
    이칭별칭 사회(士晦), 사휘(士輝)| 해악(海嶽)
  • 해악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활자본. 자세한 편집‧간행의 경위는 알 수 없다. ≪해악집≫ 권두에 오재순(吳載純)의 서문이 실려 있다. 권1은 부(賦) 5편, 소사(騷辭) 3편, 시 103수,...
  • 김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점으로 하는 광한단(光韓團), 일명 의흥단(義興團)을 조직하여 일제의 식민통치기구에 대한 저항과 친일파 숙청을 위한 활동에 진력하였다. 그해 7월 박민희(朴敏熙)와 함께 국내로 잠입하여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등지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또, 11월에는 ...
  • 이씨충효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은 주인공 이창환의 충(忠)과 이명현의 효(孝)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가문소설인데, 제1권에서는 이명현의 효가 중심이다. 명나라 창업공신 이문충의 후예인 이문환‧이창환‧은 형제인데, 이창환의 아들 명현만이 장원급제를 하여 가문을 빛낸다. 이창환이 국사를...
  • 낭선(狼筅)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이치카와 사다하루 저, 역, 『무기사전』, 도서출판 들녘, 200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53)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8년_부내면( 府內面) 1708년 부내면( 府內面) 第十六營南門外里 6 第六統統首 第一戶 慶州案付主鎭騎保年肆拾玖庚子本慶州父正兵昌信祖定虜衛大 立曾祖定虜衛仁良外祖定虜衛鄭海右本東萊率母鄭召史年陸拾伍甲申 率同生慶州案付烽燧軍命元年貳拾參丙寅等乙酉...
    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六營南門外里
  • 十一月一日,於西巖 鳳谷寺,【溫陽地】 陪木齋 李先生校星翁遺書。時鄰郡士友多會者,各賦詩一篇。會者,李廣敎 文達【承旨秀逸孫】ㆍ李載威 虞成【弘文提學夏鎭玄孫】ㆍ朴孝兢 嗣玉【校理孝成弟】ㆍ姜履寅 士賓【三休堂 世龜玄孫】ㆍ李儒錫 汝昂【承旨日運子】ㆍ沈潞 仲深【吏曹判書詻玄孫】ㆍ吳國鎭 孟華【右議政始壽玄孫】ㆍ姜履中 用民【履寅再從弟】ㆍ權夔 堯臣【大提學愈玄孫】ㆍ姜履五 伯徽【校理忱從子】ㆍ 佩謙【木齋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理孝成弟】ㆍ姜履寅 士賓【三休堂 世龜玄孫】ㆍ李儒錫 汝昂【承旨日運子】ㆍ沈潞 仲深【吏曹判書詻玄孫】ㆍ吳國鎭 孟華【右議政始壽玄孫】ㆍ姜履中 用民【履寅再從弟】ㆍ權夔 堯臣【大提學愈玄孫】ㆍ姜履五 伯徽【校理忱從子】ㆍ 佩謙【木齋弟】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
    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75544 B07554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年 2月 3日_009 ○以統制使金鍵狀啓, 東萊府使徐璟淳, 公米木過期不給, 致此館倭, 攔出犯越, 釜山僉使尹錫萬, 豆毛浦萬戶, 開雲浦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爭遁去數更更入寇我軍亦再擧胡遂免殄殲至今安其所豈惟威聲振功實在邊圉朝廷若不錄惟肯想心膂我愧詩史名顚末聊一敍詩嘲喇悲笳▣古城憧憧寒日隱遙坪數三籬落依殘麓聊識臨邊萬戶營德明館詩含雪驊騮踠迎風旂旆揚轅門表咫尺却似幷州鄕澤堂李植雙巖歌胡山矗矗胡雲黑中有萬里之長江長江號怒西峽來東得雙巖相擊撞雙巖削...
    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560 B017560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4年 2月 3日_009 ○以統制使金鍵狀啓, 東萊府使徐璟淳, 公米木過期不給, 致此館倭, 攔出犯越, 釜山僉使尹錫萬, 豆毛浦萬戶, 開雲浦萬戶朴敬謨, 不能嚴束防捍, 至於攔出踰界, 竝爲先罷黜, 其罪狀令攸司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1)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0):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1) 가래질소리[선후창: 손기영] (16:09):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2) 모심는소리-방아타령[독창: ](16:42): 당진 송악면 가시지리, 1986-09-07 13) 모심는소리-방아타령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명환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0):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1) 가래질소리[선후창: 손기영] (16:09):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2) 모심는소리-방아타령[독창: ](16:42): 당진 송악면 가시지리, 1986-09-07 13) 모심는소리-방아타령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우동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0):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1) 가래질소리[선후창: 손기영] (16:09):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2) 모심는소리-방아타령[독창: ](16:42): 당진 송악면 가시지리, 1986-09-07 13) 모심는소리-방아타령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차상만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0):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1) 가래질소리[선후창: 손기영] (16:09):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2) 모심는소리-방아타령[독창: ](16:42): 당진 송악면 가시지리, 1986-09-07 13) 모심는소리-방아타령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기영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0):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1) 가래질소리[선후창: 손기영] (16:09): 당진읍 읍내리, 1986-09-07 12) 모심는소리-방아타령[독창: ](16:42): 당진 송악면 가시지리, 1986-09-07 13) 모심는소리-방아타령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재선

신문·잡지(34)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農元局) 원산 農元局 銘石洞 - - 약종(藥種),매약(賣藥)업 판매 15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明煥(農元局)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약종(藥種),매약(賣藥)업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巡檢殺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슈일젼에 슌검 씨가 루동근디를 지나다가 김긔호씨의 를 군도로쳐셔 허리가 반이나 어져 즉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官 正三品李圭恒 任漢城府主事以上十二月卄七日
    게재일1904년 12월 30일 | 기사분류관보
  • 地方通信: 平安北道, 團員 慰宴(義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地方通信: 平安北道, 團員 慰宴(義州) 1914년 6월11일 의주 의주 동척 주최 내지사찰단으로 갔던 의주 신사 ...
    대표표제어地方通信: 平安北道, 團員 慰宴(義州) | 연월일1914년 6월11일 | 지역의주
  • 기술연구소보고_1967_0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부위의 응용배합에 따른 성능 김준수, , 염홍찬, 이진범, 박창호, 홍종명, 임동호 35 Tire 및 Tube의 품질보강에 관한 연구 (5)-Tire Cord 및 Butyl Tube의 물성에 대하여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885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18∼1764). 선조의 아들 인흥군 이영의 4세손이다. 1752년(영조 28) 정시문과 장원 급제 후 문학·정언·사서·충청도경차관교리·부수찬·수찬 등의 청요직을 역임하였으며, 암행어사로 해미현을 안렴하기도 하였다.

  • 해악집 / 海嶽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의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권두에 오재순의 서문이 실려 있다. 권1은 부 5편, 소사 3편, 시 103수, 권2는 시 104수, 소 9편, 차 2편, 유문 1편, 장 1편, 권3은 서 4편, 기 3편, 잠 2편, 명 6편, 찬 1편,

  • 김관성 / 金觀聲 [역사/근대사]

    광한단(光韓團), 일명 의흥단(義興團)을 조직하여 일제의 식민통치기구에 대한 저항과 친일파 숙청을 위한 활동에 진력하였다. 그해 7월 박민희(朴敏熙)와 함께 국내로 잠입하여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등지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또, 11월에는 ()과 모험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