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명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박옹집
연구성과물(82)
사전(19)
- 이명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6(헌종 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위(士緯), 호는 박옹(泊翁). 아버지는 봉환(鳳煥)이다.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시를 배워 시사(詩史)에 능하였다.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경인옥사에 아버지가...이칭별칭 사위(士緯)| 박옹(泊翁)
- 이명오(李明五)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52 인물 이명오(李明五) 이명오 李明五 ? 183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위(士緯), 호는 박옹(泊翁).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경인옥사(庚寅獄事)에 아버지 봉환(鳳煥)이 희생되었음을유형분류인물
- 박옹시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李明五)의 시집. [개설]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晩用)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권두에 홍취영(洪就榮)‧김좌...
- 신미해행록(辛未海行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968 문헌 신미해행록(辛未海行錄) 신미해행록 辛未海行錄 1811년 신미사행 당시 부사 서기(書記)로 일본에 갔던 이명오(李明五)의 사행록. 이명오의 문집인 『박옹시초(泊翁詩鈔)』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 통신사행의 부사 서...유형분류문헌
- 계림정맹(雞林情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이명오(李明五)・이문철(李文哲) 등을 만나 필담창화를 나누었다. 필담은 5월 24일, 6월 20일, 6월 26일의 대화를 기록한 것이고, 시문은 다른 날에 쓰거나 인편으로 전한 것을 수록해 놓았다. 미야케 기쓰엔의 문인 가와고에 아리쿠니(川越有邦)・시노야마 만푸쿠(...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59)
- 忠淸道庄土文績_제4책 : 忠淸南道公州郡栖川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35. 光緖六年庚辰二月十五日李庚戌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37.6x32.4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7.6x32.4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80년(고종 17) 2월 15일 李明五 답주 李明五 답주 ...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기장(機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095 B032095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6 1871년 4월 28일 本月二十六日戌時到付釜山僉使金澈均馳通內今年月十一日來 特送使倭 良中格倭四十名庚午四月十三日來倭二人小禁徒倭二名沙工倭二名五月初五日來 下代倭三名等同騎今年四月十三日來(機張漂船良五名庚午四月十三日來中...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237 B07223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8年 11月 25日_026 收布上送, 則在本曹, 無點考後納布苟簡之弊, 在軍卒, 無往來勞費之患, 亦可以杜本曹下吏等, 中間操縱之事, 前以此事, 啓達於筵中, 而命於後日備局引見時, 稟處, 故敢此更稟矣。 領議政金壽恒...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988 B07598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8 1873년 10월 5일 同治十二年十月日慶尙道東萊府使鄭顯德狀(謄錄) 本月初一日未時到付釜山僉使韓用默馳通內今年九月初八日來飛船二隻頭倭二人格倭十名四月二十二日來別禁徒倭一人中禁徒倭一人小禁徒倭二名下代倭二名五月初四日來通事倭...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京畿舊軍餉居末喬桐府使李景喆, 舊還上居末砥平縣監李明吾, 居二南陽府使柳世德, 江原道新還上居末淮陽府使柳宇基, 居二金城縣令鄭樸, 慶尙道舊還上居末禮安縣監朴處厚, 平安道軍餉居末理山府使閔聖洙, 居二於汀權管李挺億, 居三兔城僉使韓順發, 元還上居末車嶺僉使鄭禹賓, 居二理山府使閔聖洙, 咸鏡...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경상남도 남해군_상사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리로 가창하였다. 금양마을 토민인 이명오(1915년생.남)는 논매고 나오면서 “어야라 상사디야”를 부르기도한다고 하였다(素87-3-21②B)녹음지역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금양 | 녹음날짜1987.3.2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남해군_갈미봉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상사 류[남해 17]도 가창하였다. 금양마을 토민인 이명오(1915년생.남)는 논매고 나오면서 “어야라 상사디야”를 부르기도한다고 하였다(素87-3-21②B)녹음지역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금양 | 녹음날짜1987.3.21 | 가창방식독창
신문·잡지(2)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驪州邑倉洞 李世鉉 二元 李容復 李圭哲 各一元六十젼식 嚴士水 八十젼 李明五 金洛汝 金永集 石順汝 吉京成 各四十젼식 李元京 十六젼 韓昌履 十六젼 金思默 十二젼 朴汝玉 田弘順 南致化 李三昌 李敎喆 各八젼식 林善在 李昌根 朴京三 各四젼식 合八元九十六젼 右發起人李敎喆氏가収送...게재일1907년 8월 14일 | 기사분류광고
- 龍川詳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안북도 관찰 민형식씨가 경찰관리를 룡쳔군에 파송야 룡암포 아인의 건을 졍부로 샤보엿데 현 아인이 륙십명이오 쳥인이 일백륙십이명오 통가 삼명인데즙물은 춍이 오십여병이오 이 삼십팔필이오 로판즁에 굴디곳이 이십이쳐오 아인의 신셜 가가집이 십간이오 유치...게재일1903년 6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이명오 / 李明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36). 경인옥사 때 아버지가 옥사당하여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길거리에서 왕이 지날때마다 수차례 탄원하다가 귀양 가기도 하였다. 순조 때에 아버지가 신원되자 음관으로 종사관이 되어 일본에 내왕하였다. 저서로는《박옹시초》가 있다.
-
박옹집 / 泊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김좌근·정원용·조두순·윤정현·김병학·남병철 등 고관·명사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만용의 발문이
-
박옹시초 / 泊翁詩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李明五)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晩用)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洪就榮)·김좌근(金左根)·정원용(鄭元容)·조두순(趙斗淳)·윤정현(尹定鉉)·김병학(金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