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명식” 에 대한 검색결과 2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3)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0(숙종 46)∼1800(정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건신(楗伸) 준(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겸저(謙著)이고, 아버지는 정(淨)이며, 어머니는 심익성(沈益成)의 딸이다. [생애 ...
    이칭별칭 건신(楗伸)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850 인물 () 1720 1800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건중(楗仲).  1751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57년 고부사(告赴使) 서장관으로 청나라...
    유형분류인물
  • 이면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6(영조 22)∼1812(순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대언(帶彦). 겸저(謙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淨)이고, 아버지는 명식(命植)이며, 어머니는 심득현(沈得賢)의 딸이다. [내...
    이칭별칭 대언(帶彦)
  • 이시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하여 남해 연안으로 정배(定配)되었다. 헌납을 역임하고 1772년(영조 48)에 집의가 되어 공의(公義 : 공론에 의한 논의나 결정)를 어긴 전 판서 정존겸(鄭存謙)과 전 참의 ()의 관직을 빼았고 4대문 밖으로 내쫓을 것을 계청하였다.
    이칭별칭 사정(士正)
  • 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쳤으며 승지로 재직하던 1767년에 수원부사 재직 당시 마병(馬兵)을 허술하게 했다는 이유로 전부사 홍지해(洪趾海)‧() 등과 함께 파직된 뒤 진잠현(鎭岑縣)에 충군(充軍)되는 불운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봉조하 홍계희(洪啓禧)를 도와 ≪의주 儀註≫...

고서·고문서(196)

신문·잡지(35)

  • 跟隨兵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슈부에셔 의뎡야 부장에게 친위병뎡 파송야 근슈케고 각춍장에게 원슈부 병뎡 근슈케라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自行薦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셩진감리서쥬가 외부로보고기를 일본북진군 령관이 본셔에도야 ()으로 감리를 쳔거후에 인쟝을 앗셔쥬어 시무라고  라태현으로 춍슌을쳔거야 시무케기에 급보다 엿더라
    게재일1905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상민도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어느 친고가 남문밧 쥬에 갓더니 우슈에 상민들이 모여셔 쥬의 상민들을 쳥다고 일 가더라니 무삼인지 알슈업다고엿다더라
    게재일1899년 5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請增官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에셔 무 번극고 문안은호대데 헌관리로 능히감당야 갈슈가업다고 법에보고고 관리를증셜라 얏 그증셜관리 판일인 검 이인 쥬이인이오 고원졍리와 령압뢰를 모다 가셜라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日巡代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 문파슈 쳥 슌검일명식 쳬번데 작일부터 일슌사일명과 슌검일명이 안동파문더니 작일부터 일슌사이 파문니 필경한잡인이 츌입야 무삼비밀졍이 루셜될가야 임시권파인가보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599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38면 15. 제15회 졸업생 소화2년 3월 20일 45명 ;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18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85면 ; 평북 용천군 內中里 1923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973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 尙義鄕天寶山楡樹川 4회 1930년
    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77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5면 ; 평북 용천군 內中里 1923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5320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감리교협성신학교일람 1924 17면 재적생명부일람(1923. 4~1924. 3);본과 1학년 ; (현주소)금천군 숙인면 결운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720년(숙종 46)∼1800년(정조 24).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준, 조부는 이겸저이다. 부친 이정과 모친 심익성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51년(영조 27)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57년(영조 33) 고부사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 낙북문집 / 洛北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재철의 시·서(書)·지(識)·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재철의 증손 ()·이만식(李萬植)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철(李中轍)의 서문과 권말에 족질(族侄) 이회춘(李會春)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

  • 경종수정실록 / 景宗修正實錄 [역사/조선시대사]

    에 채제공(蔡濟恭)·황경원(黃景源)·조준(趙埈)·()·윤시동(尹蓍東)·김이소(金履素), 도청낭청(都廳郎廳)에 박천형(朴天衡)·황승원(黃昇源)·유의(柳誼)·홍명호(洪明浩), 분판낭청(紛板郎廳)에 이수성(李壽成)·이일운(李日運)·박장설(朴長卨)·이익수(李益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