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면구” 에 대한 검색결과 3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1)

사전(3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57(영조 33)∼1818(순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여(子餘), 호는 남하(南霞). 할아버지는 대제학 광덕(匡德)이고, 아버지는 군수 국형(國亨)이며, 어머니는 정석붕(鄭錫朋)의 딸이다. ...
    이칭별칭 자여(子餘)| 남하(南霞)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845 인물 () 1757 181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여(子餘), 호는 남하(南霞). 1798년 성균관 유생으로 있다가 1800년 세마(洗馬)가 되었고, 18...
    유형분류인물
  • 조선통신사인물도(朝鮮通信使人物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30.3×984.0cm의 그림 두루마리 형식으로 되어 있다. 오사카역사박물관(大阪歷史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인물정사조선인어향응지절(朝鮮人物正寫朝鮮人御饗應之節)〉과 거의 비슷한 그림으로 표정이나 문자의 배치가 다소 상이하다. 정사 김이교(金履喬)와 부사 ...
    유형분류작품
  • 신미사행(辛未使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1년(순조 11),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 양자인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이루어진 사행이다. 정사 김이교(金履喬), 부사 (), 제술관 이현상(李顯相), 서기 김선신(金善臣) ‧ 이명오(李明五), 역관 현의순(玄義...
    유형분류개념
  • 효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새벽. 出榜翼日 探兄行止 則已於前一日曉頭發程, (), 34-31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26)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下)_東 귀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유해 100 1768_몽어유해(下) 東 귀다 1768몽어유해(하)047b.jpg 東 귀다 不耐 겨지 못다 敎勞 슈고롭ㅅ게 다 敎苦 괴롭ㅅ게 다 折銳 예긔다 撒給 펴주다 改變 변다 變化了 변화다 有益 有益 句足 흡죡다 聲息 긔쳑 消...
    편명1768_몽어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25672 B025672 고읍리 古邑里 정치행정 京畿道邑誌 通津郡邑誌 通津郡 面里 十十六洞 郡內面 自郡門四 方距五里 八洞 東西里 葛山里 草幕洞 古邑里 新垈里 陵洞里 高陽浦 浦內里 甫串面 自郡門北 距十五里 五洞 城內里 ...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429 B07142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6年 2月 22日_017 ○徐長輔, 以備邊司言啓曰, 新除授東萊府使, 身病猝重, 萬無時日內起動之望, 呈狀乞遞矣, 實病旣若是難强, 則勢難强令赴任, 改差,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48_동문유해(下)_暴露 두두러지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동문유해 122 1748_동문유해(下) 暴露 두두러지다 동문유해(곤)_057a.jpg 暴露 두두러지다 露出 긔 드러내다 窮寒 헐버서 칩다 手寒 손 스리다 凍 귀 다 寒粟子 소오롬 不耐 겨지 못다 敎勞 슈고롭게 다 敎苦 괴롭게 다 折銳 예긔 다 救他...
    편명1748_동문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71395 B07139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6年 2月 19日_021 ○以沈象奎爲廣州留守, 爲東萊府使, 鄭時簡爲禮山縣監, 徐任輔爲順安縣令, 方禹矩·李尙迪爲引儀, 尹宗圭爲敦寧判官, 朴潞壽·李寅溥爲典籍, 金錫喜爲濟用副奉事, 金在默爲氷庫別檢, 李魯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죵일품 엄셰영嚴世永 죠동면趙東冕 셔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임고 삼화감리셔쥬 리민갈닌에 한용긔韓用璣로임고 길쥬감리셔쥬 김상텬 갈닌에 최긔쥰崔基駿으로임고 츙쳥북도 관찰부쥬 리학규 졍민호 갈닌에 권긔 權箕 리학연李學淵으로 임고 함경북도관찰부쥬 경 신필셩갈닌에 리시영李始榮 로 임다以上四月卄四日...
    게재일1902년 4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기로소 뎐무관 오풍 吳在豐으로 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에 쟝덕근 진잠에 리죵로로 임고 함경북도관찰부쥬 리심영 갈닌에 김상윤金相允 리학李鶴來로 임고 졔쥬목쥬 윤샹일 갈닌에 륙품쥬뎡슌朱正淳으로 임다 以上四月卄六日
    게재일1902년 5월 2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

  • ;;삼도무웅;三島武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99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95-1면 ;;삼도무웅;三島武雄 제19회 1944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18). 해서암행어사, 부수찬, 의주부윤, 대사성 등을 지냈다. 1811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시문에 뛰어났고 글씨도 잘 썼는데, 특히 당나라의 백거이와 양나라의 도홍경의 필체를 잘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