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만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7)
사전(61)
- 용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만인(李晩寅)의 시문집. [내용] 11권 5책. 목활자본. 1913년 아들 중담(中聃)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6에 시 244수, 서(書) 98편, 잡저 12편,...
- 이만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용』‧『대학』의 의문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이만인은 이황의 학설을 금과옥조로 여겨 이와 배치되는 이이의 사칠주기설(四七主氣說)과 이진상(李震相)의 심즉리설(心卽理說)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을 가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용산문집(龍山文集)』이 있다.이칭별칭 군택(君宅)| 용산(龍山)|만호(晩濩)
- 근대신어 : 독일인, 게르만인(日耳曼人)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1239 독일인, 게르만인 다항 日耳曼人 「네-손」의文字意味日耳曼人의用「호루구」文字의意味와相當지라 네이션'의 문자 의미는 독일인이 사용하는 '폴크(volk)' 문자의 의미에 상당한지라 羅瑨/金祥演 國家學출전國家學[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과학지식] 인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독일인, 게르만인(日耳曼人)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1240 독일인, 게르만인 다항 日耳曼人 然而金屬活版을發明者是가日耳曼人古天堡也라 그러나 금속활판을 발명한 사람은 게르만인 구텐베르크라. 張志淵 萬國事物紀原歷史 1 皇城新聞社 1909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과학지식] 인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헌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을 높여서 이른 말. 謂以新正一叩軒屛 兼做至情人事, 이만인(李晩寅),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86)
- 1878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만인은 어느덧 김병황의 조부이자 자신의 장인인 김두흠이 별세한지 12개월 되는 날이 임박하게 되니, 상대의 효성스러운 생각이 끝이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서 상대의 모친과 상대의 안부를 물었다. 특히 미동에 돌림병 기운이 없어져서 제사를 지낼 만하냐고 물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85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85년 4월 25일, 이만인이 여강서원의 통문에 대해 항의하기 위해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이만인은 류기호가 攷證에 대한 책를 보내주어 문제가 되는 점을 풀어주기를 부탁하였다. 또한 여강서원 모임에서 통문을 내었는데 그 내용이 자신들을 매도하는 것이고 그...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94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아내의 종손에게 안부를 전하기 위해 갑오년 1월 24일 만인이 쓴 편지이다. 아내의 종손에게 편지를 받고 처음에는 누구인지 잘 생각이 나지 않다가 한참 뒤 상대가 자신을 사위로 여김을 알게 되어 사가에서 보낸 편지임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그리고 자신을 사가댁의 백년의...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90년 이만인(李晩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90년 3월 27일, 이만인이 안부를 묻기 위해 처조카인 김병황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당신과 당신 가족들의 안부를 묻고 김병황의 재종조가 죽은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지난달 천전에 가서 임하구곡 등 류적지를 돌아보고 류도원이 편집한 우리 선조의...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江原道庄土文績_제3책 : 江原道春川郡西上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積類 56. 乾隆四十四年-戊戌-八月日李萬寅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2041 奎 19304 江原道庄土文績 제3책 : 江原道春川郡西上面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積類 03-056 56. 乾隆四十四年-戊戌-八月日李萬寅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동쪽 부족 나이만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짓을 좀 하고 속이고 사기꾼 같다 이거예요?] 아쑤바이에바: 지금 이 나쁜 뜻으로 보이지만 원래 어떤 일이 있었는지 나중에 다시 알려드릴게요. 저도 이제 궁금해요. 어떻게 생겼는지 저도 나이만인데. 많이 들었는데 근데 따지지 않았어요. 왜 그렇게 불렀는지 근데 뭐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사니아 [카자흐스탄, 여, 1992년생, 유학생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7)
- 쳥국에쥬둔 아라샤 병뎡이 산관으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에쥬둔 아라샤 병뎡이 산관으로셔 금쥬디방지잇 슈효가 일만인이오 려슌에 잇 것이 일만이쳔인이오 남북 오소리에 만인이오 혼에 오쳔인이오 후가이 근디에 이만인이니 도합이 팔만칠쳔인이더라게재일1901년 3월 14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죠션신보에 말되 일본 어부가 대한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죠션신보에 말되 일본 어부가 대한바다에 나와셔 고기잡거시 졈졈 늘어셔 어션이 삼쳔여쳑이오 어부가 이만인이오 리익이 삼만원에 지나되 일본 어부들이 죵죵 죠션사들과 자죠닷토 페가 잇셔셔 일한량국 교졔샹에 불편 렴녀가 잇기로 대한에 잇 일본 사들이 죠션 어업...게재일1899년 1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國民의湏知 국가본의 (國家本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과 그릇풀믈 치지못이라 무릇군쥬 국가를 통솔라은가커니와 국가를 사로이둔 라은 불가니 비컨 디방에 관장을둠은 그 디방을 통솔이오 그 디방을 사로이둔것은안인것갓흠이라 만일인쥬로 국가라 진 이인의 연도리에 억길지니 텬하에 엇지이갓흔...게재일1907년 7월 21일 | 기사분류기타
- 學학問문의 必필 要 요 공긔의 효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공긔 물건에만 긴요안이라 사의몸에도 큰관계가잇니라 사은 음식을 먹지안이면 곱푼쥴 알것이오 옷을 닙지안이면 치위 닷나니 이인간에 급 졍라 사마다 알거니와 음식과 의복보다도 더긴즁 물건이 잇스니 사이 일시라도 숨을 쉬지안이 수업니 이게재일1907년 5월 30일 | 기사분류기타
- 쳥국의인졍풍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돈도업고 겨도 업셔 동리에 글방이 잇기젼에는 멀니가 공부슈업셔 피 의사를 밧고지못 인야 방언이 대단 달나진지라 이즁에셔 여러쳔년이 되 풍속과 인졍이 달나지며 츙의가한 업게 된지라 우리 셔양인도 당초붓터 츙를 아던ㅣ바 아닌고로 삼십 오년젼지도 일이만인...게재일1902년 9월 5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2)
- 북위의 공격을 받자 북연의 풍문통이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萬人迎文通 (魏書 4上 世祖紀 4上)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등에는 4월로 되어 있다.() 【원문】 (三月)辛未 遣平東將軍娥淸安西將軍古弼 討馮弘 弘求救於高麗 高麗遣其大將葛蔓盧迎之 (北史 2 魏本紀 2 世祖太武皇帝)대표표제어북위의 공격을 받자 북연의 풍문통이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36년(丙子/신라 눌지마립간 20/고구려 장수왕 24/백제 비유왕 10/劉宋 元嘉 13/倭 允恭 25)
- 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會軍于平壤城 高麗旣降 詔仁貴率兵二萬人與劉仁軌於平壤留守 仍授右威衛大將軍 封平陽郡公 兼檢校安東都護 移理新城 撫恤孤老 有幹能者 隨才任使 忠孝節義 咸加旌表 高麗士衆莫不欣然慕化 (…) 尋而高麗衆相率復叛 詔起仁貴爲鷄林道總管以經略之 (…) (舊唐書 83 列傳 33 薛仁貴) ...대표표제어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6년(丙寅/신라 문무왕 6/고구려 보장왕 25/唐 麟德3, 乾封 1/倭 天智 5)
주제어사전(10)
-
이만인 / 李晩寅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897년(광무 1). 조선 말기 학자. 이황의 후손, 부친 이휘교와 모친 조병주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제생들에게 강학, 1881년(고종 18) 영남만인소 상소문의 원본을 작성하였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
-
국창집 / 菊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95년(고종 32) 그의 7대손 기락(基洛)이 편집하고, 1898년 9세손 준구(駿九)·우구(宇九)와 10세손인 동욱(東郁) 등이 간행하였다. 이만인(李晩寅)의 서문
-
백은집 / 白隱集 [종교·철학/유학]
이진만의 문집. 목활자본, 서:이만인(1893), 후지:이윤범(1893), 5권2책. 권수에는 이만인이 1년에 쓴 서문. 권1에는 모두 88수의 시. 권2에는 18편의 만사, 소 1편과 서 1편, 권3에는 11편의 서와 3편의 기문을 비롯하여 발 1편.잠 1편.상량문
-
이충호 / 李忠鎬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이황의 종손, 부친은 이중경이다. 이만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0년(광무 4) 장릉참봉을 지냈으며, 주자학과 퇴계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에는 보문의숙을 세우고 가르침을 베풀었다.《주서절요》·《계몽전의》·
-
구곡유고 / 九曲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중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892년(고종 29) 그의 손자인 장표(章彪)·기락(基洛) 등이 편집한 것을 현손 우구(宇九)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의(李相義)의 서문과 권말에 이만인(李晩寅)의 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