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만운” 에 대한 검색결과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및 편서로 역사서인 『기년아람(紀年兒覽)』을 비롯하여 『조두록(俎豆錄)』ㆍ『풍천음(風泉吟)』ㆍ『장릉지(莊陵誌)』 등이 있다. 『정조실록(正祖實錄)』 「기년아람에 나타난 의 역사인식」(고...
    이칭별칭 중심(仲心)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원춘(元春), 호는 묵헌(默軒). 동영(東英)의 아들이며, 경상도 칠곡에 거주하였다. 생원시를 거쳐 1777년(정조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
    이칭별칭 원춘(元春)| 묵헌(默軒)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규오(奎五). 아버지는 휘정(彙廷)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疏頭)인 이만손(李晩孫)의 친족이다. 1843년(헌종 9) 생원(生員) 감시(監試)에서 장원...
    이칭별칭 규오(奎五)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휘정과 채씨부인의 첫째 아들로 참판공이다. 13세에김진화(金鎭華)의 딸과 혼인을 하지만 일찍 죽어, 서애 유상국의 후손인 유씨부인과 혼인을 한다. 갑진년(1844) 봄에 설과한 중광별시를 보아 사마진사로 용문에 오른다. 슬하에 3남 3녀를 두고 병술년(1886) 가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농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귀머거리와 같은 답답함. 西毛若是細及 可破聾菀耳, (), 02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4)

  •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긍구당에 위로에 대한 감사와 현안에 대해 알리기 위해 모년에 이 쓴 편지이다. 상을 당해 상주가 된 자신을 위로해주고 여러 가지 면에서 도움을 많이 준 상대방에게 그 때문에 그나마 기력을 차릴 수 있었다고 감사해했다. 그리고 상대는 최근에 건강한지, 학문 활동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96년 ()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6년 이 보낸 편지로 모리재가 제대로 보호되고 있지 않음을 탄식하며 앞으로 서로 노력하여 모리재의 중흥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94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811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1884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84년 6월 22일, 이 문집 간행 등과 관련하여 류기호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조카아이를 통해 상대의 안부를 들었으며 당신 아들이 외모와 내면도 모두 충실하니 다행이라고 하였다. 또한 저의 생질이 당신이 계신 곳으로 이사 간다는 사실을 전하였다. 이어서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1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3∼1797). 이경갑의 아들이다. 이덕무 등 실학자와 교유하였다. 1782년(정조 6)《문헌비고》의 개정에 참여, 1790년에《증보문헌비고》 초고를 완성하였다. 1796년 서유구 등과 함께 《문헌비고》 재보완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

  • 조두록 / 俎豆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 편, 목판본, 미상, 불분권 1책(34장). 표제는 동국조두록(東國俎豆錄)이다. 서미에 두주가 필사되어 있다. 첫 2장과 마지막 3장 하단에 다시 피접이 되어 있다.

  • 선원세보 / 璿源世譜 [언론·출판]

    저자 (1723-1797). 필사본. 1권 1책(결질). 표제는 '선원세보'로 되어 있으며, 권수제와 권차가 '기년아람 권칠'로 되어 있다. 이 저술, 이덕무가 증수한 <기년아람> 권7이 '선원세보'이므로 이를 표제로 삼은 것이다. 연민본 <선원세보>는 영

  • 기년아람 / 紀年兒覽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연표·지리·세계등을 어린이와 일반인이 알기 쉽게 편찬한 역사서. 이 영조 말년에 편찬한 것을 1777년(정조 1)에 이덕무(李德懋)가 수정, 보완했고, 그 이듬해에 이 다시 손질한 후 서문을 붙여서 완성시켰다.

  • 개옹문집 / 㝏翁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장봉한의 시·서(書)·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후손 용환(龍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이원조(李源祚)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48수, 권2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