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만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7)
사전(53)
- 이만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2(영조 28)∼1820(순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중(成仲), 호는 극옹(屐翁)․극원(屐園). 정신(正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철보(喆輔)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복원(福源)이며, 어머...이칭별칭 성중(成仲)| 극옹(?翁), 극원(?園)| 문헌(文獻)
- 이만수(李萬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840 인물 이만수(李萬守) 이만수 李萬守 ? ? 조선 후기의 관리. 한양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의유형분류인물
- 논맹인물유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논어』와 『맹자』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姓)‧명(名)‧자(字)‧출신지‧경력‧언행 등에 관하여 기록한 책. [내용] 1책(29장). 고활자본(정리자). 1800년(정조 24) 왕명에 따라 규장각 직제학(直提學) 이만수(李晩秀)를 비롯,
- 이광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이광려의 문장에 대해서 이만수(李晩秀)는 “국조(國朝) 300년의 문교를 받아 이광려 선생을 낳았다.”고 하며 높이 평가했다. 이러한 그의 뛰어난 문장 실력은 그의 문인(門人)...이칭별칭 성재(聖載)| 월암(月巖), 칠탄(七灘)
- 이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현감ㆍ고성군수를 거쳐 1817년(순조 17) 청풍부사가 되었으며, 뒤에 첨지중추부사에 올랐다. 시를 많이 남겼고, 담박하고 탈속적인 시풍으로 이만수(李晩秀)ㆍ서영보(徐榮輔)ㆍ신위(申緯)ㆍ김조순(金祖淳)ㆍ김정희(金正喜) 등 당시의 문인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그...이칭별칭 견심(見心)| 석견루(石見樓)
단행본(1)
- 정조의 문치 [‘正祖學' 총서- 正祖의 文/ 正祖의 武 / 正祖의 禮/ 正祖의 法 | 경인교육대학교]저자 : 백승호 ... | 출판사 : 휴머니스트 | 출판일 : 20201130정조는 탁월한 학문적 능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문학에도 뛰어난 군주였다. 이 책에서는 정조의 ‘문학’을 군주의 통치 행위와 관련된 넓은 의미의 글쓰기라는 개념으로 보고 그가 문학을 통해 통치를 구현해가는 양상을 밝혀 정조의 문학과 정치의 긴밀한 관련성을 분석한다. ...
고서·고문서(226)
- 3 第三統統首李萬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농소면(農所面) 1765년 농소면(農所面) 第二十一常安里 3 第三統統首李萬守 第一戶 松羅道驛吏李萬守年參拾肆壬子本慶州父貢生友桂祖貢生重浩曾祖園植外祖學生禹好緣 本丹陽妻金姓年貳拾丙寅本金海父學生重太祖學生應俊曾祖善鳴外祖都時贊本星州等壬午戶口相准 第...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十一常安里
- 5 第五統統首李萬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대현면(大峴面) 1765년 대현면(大峴面) 第十猪內里 5 第五統統首李萬守 第五統一戶御營軍李正男故代子御保萬守年貳拾玖丁巳本慶州父御營軍李正男祖正兵貴奉曾祖 正兵三龍外祖正兵金元上本金海率母召史年肆拾捌戊戌本金海率同生召史年肆拾壬申率同生川內 烽軍萬泰年拾柒...연도_면이름176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猪內里
- 2 第二統統首李萬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1765년 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第一長生里 2 第二統統首李萬壽 第一戶 折衝將軍李萬壽年六十八戊寅本蔚山父學生泰望祖折衝將軍行龍驤衛副司果 文赫曾祖通政起雲外祖學生李汝柱本慶州妻韓氏年六十二甲申籍淸州父學生泰 進祖學生順時曾祖學...연도_면이름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면이름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마을이름第一長生里
- 1 第一統統首李萬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웅촌면(熊村面) 1765년 웅촌면(熊村面) 第八西倉里 1 第一統統首李萬壽 第一戶 別隊李萬壽年伍拾參癸巳本月城父正兵成札祖夢立曾祖奉鶴外祖金聲進本金海妻都召史年肆拾柒 庚子本柒谷父正兵世杰祖正兵貴業曾祖汝信外祖趙今同本咸安率子主鎭軍惡只年拾伍辛未今加率女召史...연도_면이름176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八西倉里
- 5 第五統統首李萬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8년_대현면(大峴面) 1768년 대현면(大峴面) 第十猪內里 5 第五統統首李萬守 第一新戶 御米保李萬守年參拾貳丁巳本慶州父正兵正男祖正兵貴奉曾祖正兵三龍外祖正兵金元尙本金海率母金召史年伍拾貳 丁亥率同生女召史年肆拾參丙午率同生川內烽軍萬太年貳拾己巳率同生女召史年拾...연도_면이름1768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猪內里
신문·잡지(22)
- 群山商議副會頭 李晩秀氏當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群山商議副會頭 李晩秀氏當選 1938년 10월30일 전라 군산 군산상공회의소는 24일 동 회의실에서 제3회 의원총회를대표표제어群山商議副會頭 李晩秀氏當選 | 연월일1938년 10월30일 | 지역군산
- 강원인민보_1947_082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8월 27일 272 서창훈(徐昌勳)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연천, 조선, 경기, 표천 이만수 인민위원회 8.15해방 2주년, 이북 경축대회 (23일 연천에서 본사 특파원 이만수 발) 조선 민족이면 누구나...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827_01 | 날짜1947년 8월 27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경남빨찌산_1951_063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951년 6월 30일 8 경남빨찌산사 리승만, 박석민, 림순희, 강승재, 김봉적, 최창수, 김갑순, 박삼용, 박중성, 리만수, 유봉이, 장영성, 송창수, 마양로, 남경우 도내 유격대 지휘자 및 대원들에게 용사 및 모범 칭호를 수여함에 관하여 미...대표표제어경남빨찌산_1951_0630_01 | 날짜1951년 6월 30일
- 진위뎨이련 뎨이대부륙군 부위 리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위뎨이련 뎨이대부륙군 부위 리규호 면본관고 혜민원쥬 송린셥 죠인구 리린영 리즁린 리뎡호 박용직 김셩진 민광식 김현 한창희 갈닌에 리인식李寅植 졍갑鄭在甲 최창오崔昌五 쥬셕영周錫永 태창극太昌極 한뎡교韓貞教 강졔원姜濟遠 강규희姜奎熙 리만슈李晚洙 리셕희季錫僖...게재일1902년 7월 31일 | 기사분류관보
- 함남인민보_1948_0808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0 림상준 함흥시 중앙리 3구 36번지 함남인민보사 북조선통신 리진근, 리숙경, 김현극, 리정송, 리만수, 고히만, 박용한, 강진건, 김태연, 김원산, 리원형, 김광준, 김도성, 김민산, 현승갑, 김란주화, 박복옥, 김영수, 김정순, 리종완, 한여...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808_04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15)
- 이만수;李萬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48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53면 이만수;李萬秀 경기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만수;李萬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75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54면 이만수;李萬秀 경기 제2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만수;李萬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55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7면 이만수;李萬洙 제8회 1938-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만수;李萬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518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72면 - 이만수;李萬洙 소화12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만수;李萬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973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2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3)법과 제1학년 이만수;李萬壽 (원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이만수 / 李晩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2∼1820). 홍경래의 난 때 평안도관찰사로서 치안관리를 제대로 못한 죄를 물어 파직, 경주에 유배되었다. 후에 빈객·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지냈다. 글씨에 능해 〈양성기적비〉·〈서명선사제비〉 등을 남겼다. 저서로는《극옹집》이 있다.
-
정순대비진향문 / 貞純大妃進香文 [역사/조선시대사]
정순왕후에게 올리기 위해 지은 진향문 17편과 애책문, 시책문, 원릉비의 음기 등이 기록된 책. 진향문은 안춘군 이륭(李烿) 등 도성 밖에 거주하는 종친과 유수, 감사 등 지방관들이 지어 올린 것이다. 애책문은 김재찬(金載瓚)이 지었고, 시책문은 이만수(李晩秀)가
-
논맹인물유취 / 論孟人物類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만수·박준원 등이 『논어』와 『맹자』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명·자·출신지·경력·언행 등을 수록한 인명록. 1책(29장). 고활자본(정리자). 1800년(정조 24) 왕명에 따라 규장각 직제학(直提學) 이만수(李晩秀)를 비롯, 박준원(朴準源)·김조순(
-
석견루시초 / 石見樓詩鈔 [언론·출판]
저자 이복현(1767-1853). 간본. 2권 2책. <석견루시초>는 맨 앞에 홍석주와 이만수의 서문이 나오고, 그 다음에 김이도, 김려, 김선, 이익회, 서영보, 신위, 김유근, 이낙수, 이지연, 김정희의 발문이 있다.
-
오륜행실도 / 五倫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797년(정조 21)에 이병모(李秉模)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 5권 4책.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의 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당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