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만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황재현
연구성과물(88)
사전(32)
- 이만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섭이 빈번해졌다. 이 때 이만손은 ≪조선책략≫을 읽고 중국‧일본‧미국과 연합하여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의 불합리성을 지적하고, 황준헌이 중국인이지만 오히려 일본의 세객(說客)인 것으로 규정하는 내용의 소를 올렸다. 그의 이러한 견해에...이칭별칭 가술(家述)| 돈와(遯窩)
- 강진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강력하게 반대하여 1881년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를 지어 사학(邪學)을 이 땅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영남유생들에게 통문을 보내 연합전선을 펴면서 개화정책을 반대하다가 이만손(李晩孫)과 함께 유배되었다. 저서로는 『역암문집』 12권이 있다. ...이칭별칭 진오(晋五)| 역암(?庵)
- 이만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규오(奎五). 아버지는 휘정(彙廷)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疏頭)인 이만손(李晩孫)의 친족이다. 1843년(헌종 9) 생원(生員) 감시(監試)에서 장...이칭별칭 규오(奎五)
- 이만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도여(道汝). 이황(李滉)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휘명(彙明)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疏頭) 이만손(李晩孫)의 친족이다. 1858년(철종 9) 전시(殿試)에서 병과(丙科)로...
- 황재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1881년 김홍집(金弘集)이 『조선책략(朝鮮策略)』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 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李晩孫)의 만인소(萬人疏)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洪時中)과 함께 척사소를 올렸다. 이 상소에서 『조선책략』을...이칭별칭 봉일(鳳一)| 만취(晩翠)
고서·고문서(56)
- 이만손(李晩孫)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0753 B300750 이만손 李晩孫 인물 承政院日記 高宗 20年 6月 16日_011 ...黃載顯, 薪智島遠惡島定配罪人洪時中, 令王府, 竝設鞠得情, 夬正典刑焉。 措辭見上 請薪智島圍籬安置罪人李晩孫, 鹿島圍籬安置罪人姜晉奎, 更令王府, 設鞠嚴覈, 明正典刑焉。 措辭見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추안급국안 : 신사년(1881, 고종 18) 죄인 이만손(李晩孫) 강진규(姜晋奎) 등 심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334 029 義禁府辛巳罪人李晩孫姜晋奎等鞫案 신사년(1881, 고종 18) 죄인 이만손(李晩孫) 강진규(姜晋奎) 등 심문기록 ○ 이만손‧강진규를 추국청을 설치해 심문하게 하다 辛巳四月初四日義禁府鞫案 傳曰臺論如此可見公議峻發豈可謂之以未徹疏本 而不之嚴處乎李晩...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明禮宮 (1847)_경기도 高陽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이만손(李萬孫 ) 이만손(李萬孫 )자료번호18208_0097 [奎18208]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明禮宮(1891)_경기도 강화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0749 18199_0669 奎18199 明禮宮(1891) 경기도 강화부 草芝 경기도 강화부 草芝 12 12결 이만손(李萬孫) 이만손(李萬孫)자료번호18199_0669 [奎1819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明禮宮(1891)_경기도 강화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1395 18199_1315 奎18199 明禮宮(1891) 경기도 강화부 草芝 경기도 강화부 草芝 11 11결 이만손(李萬孫) 이만손(李萬孫)자료번호18199_1315 [奎1819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이만손 / 李晩孫 [종교·철학/유학]
1811년(순조 11)∼1891년(고종 28).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이황의 후손이다. 1881년(고종 18)의 만인소의 소두였다. 전 참판 강진규·이만운, 전 승지 이만유 등 상주·안동 지방 유생들이 연서하여 1881년 2월 고종에게 올렸다. 이것이 <영남만인소>이다
-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조선책략》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