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륜” 에 대한 검색결과 1,7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80)

사전(25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6(인조 14)∼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종실.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명(汝明). 할아버지는 선조이고, 아버지는 영성군 계(寧城君㻑)이며, 어머니는 증우찬성 황이중(黃履中)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효성...
    이칭별칭 여명(汝明)| 정간(貞簡)|회원군(檜原君)
  • TD_L14_D_3442 인물 孝子, 廬墓三, 㫌閭 平海 D_15_02_61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6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행실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에서 장유와 붕우의 을 민간에 널리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편찬된 시기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서도 편찬 동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간행 연도는 기묘사화(1519)가 일어나기 바로 전 해로, 조광조(趙光祖)의 혁신정치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무렵이...
  • 행실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8년 조신(曺伸, ?-?)이 왕명에 의해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
    정의1518년 조신(曺伸, ?-?)이 왕명에 의해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Iryun haengsildo | MR표기Iryun haengsilt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도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3(선조 36)∼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태시(泰始), 호는 낙촌(洛村). 준경(遵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복(希復)이고, 아버지는 공조참의 윤우(潤雨)이며, 어머니는 인천채...
    이칭별칭 태시(泰始)| 낙촌(洛村)

고서·고문서(1,166)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10 第十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3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七路東里 10 第十統統首蓂 第一戶 業武李東楠改[名]倫蓂年參拾玖丙辰本全州父業武瑃祖業武萬根曾祖業武三 弼外祖業武元貞馥本原州妻李姓年參拾捌丁巳本慶州父業武明寶祖業武夏振 曾祖業武寅秀外祖業武文益...
    연도_면이름183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七路東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7년_유포면(柳浦面) 1867년 유포면(柳浦面) 第三達洞里 1 第一統統首昌 第一戶 幼學昌年肆拾貳丙戌本蔚山父學生宗基祖學生希祖曾祖學 生思德外祖學生李慶春本慶州母李氏年柒拾貳丙辰妻卞氏年肆拾 壹丁亥本草溪父學生斗正祖學生之魯曾祖學生東彩外祖學生朴思 翼本...
    연도_면이름1867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三達洞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7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二下西里 2 第二統統首根 第一戶 幼學根年肆拾陸乙酉本慶州父學生德仁祖學生秀英曾祖學 生就鳳外祖學生김聲潤本김海妻鄭氏年參拾壹庚子本東萊父學生 儀五祖學生元國曾祖學生夢瑞外祖學生김守采本김海婢四...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二下西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7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五城南里 1 第一統統首恒 第一戶 幼學恒年參拾玖壬辰本星州父學生天福祖學生基馨曾祖學 生世慶外祖通德郞李弘燮本仁川妻鄭氏年參拾柒甲午本東萊父學生 濟弼祖學生之權曾祖學生震杓外祖學生朴龍郁本慶州婢...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五城南里

신문·잡지(9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源(-) 목포 源 - 榮町 1丁目 - - 미곡상 - 34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潤源(-)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미곡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秀(秀榮社) 서울 秀 秀榮社 本洞町 178 금융 - 전당포(質) - 16.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潤秀(秀榮社)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전당포(質)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晶(氷南旅館) 서울 晶 氷南旅館 水下町 7 여숙업 - 여관(旅舘) -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潤晶(氷南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明(三仙屋) 서울 明 三仙屋 敦岩町 458-391 요리_음식점 - 조선 음식점 -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潤明(三仙屋)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음식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鍾(鮮光自轉車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鍾(鮮光自轉車店) 서울 鍾 鮮光自轉車店 崇仁町 220 운수_운수용품 - 자전거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潤鍾(鮮光自轉車店) | 지역서울 | 품목운수_운수용품 | 영업종목자전거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15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321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42면 ; 평북 삭주군 외남면 송남동 제24회 193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51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4면 ㅁ1. 회원록;ㅁ7) 4학년 ; 평북 삭주군 외남면 송남동 417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448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4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5) 제15회(1926년) 이윤; 정평군 광덕면 송오리 2...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493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0면 이윤모;模 평안남도 평양 형제산면 천동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400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8면 이윤영;榮 제1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선조,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황이중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1655년(효종 6) 종실시강에서 입격하여 가자되었고, 오랫동안 사옹원과 종부시를 주관하였다. 그 뒤 종친

  • 이윤례 /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제 제12호「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무용가. 1903∼1995.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기예능 보유자. 경상남도 진주 출신. 진주검무 장단과 무용을 특기로 하였다. 1912년 제일 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3세에 진주에서

  • 이윤성 / [종교·철학/유학]

    1719년(숙종 4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방협의 아들이다. 1736년(영조 12) 병조판서 박문수의 천거로 남행선전관에 제수되었다. 1758년에 제주목사로 나아가 수입된 호마의 방목에 힘썼다. 1769년에 양주목사가 되었다. 사후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안창 / 安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고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막이현(莫伊縣)이었는데, 1018년(현종 9) 안창으로 고쳐서 고성군에 예속시켰다. 이곳의 지형은 동쪽의 산(山)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남북으로 에워싸고 있어 해안분지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해안지방에는 명사(鳴沙

  • 오륜행실도 / 五倫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797년(정조 21)에 이병모(李秉模) 등이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와 ≪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 5권 4책.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의 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당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