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득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7)
- 이득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6(영조 2)∼1774(영조 5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희천(希天). 태수(泰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익(道翼)이고, 아버지는 시서(時敍)이며, 어머니는 심구준(沈耉浚)의 딸이다. ...이칭별칭 희천(希天)
- 이상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3(영조 39)∼1841(헌종 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주옥(周玉), 호는 동어(桐漁) 또는 현포(玄圃). 태종의 둘째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14대손으로, 아버지는 승지 득일(得一)이며, 어...이칭별칭 주옥(周玉)| 동어(桐漁), 현포(玄圃)| 문익(文翼)
- 근대신어 : 유클리드(有歐几里得)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4052 유클리드 아항 有歐几里得 所著幾何之書惟有歐几里得一家尙存 기하학에 대한 책은 유클리드가 일가를 이루어 내려왔다. 續錄西學原流 漢城周報 53 博文局 1887 2 13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유클리드(有歐几里得)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4053 유클리드 아항 有歐几里得 幾何之書惟有歐几里得一家尙存 기하에 대한 저서는 유클리드의 것이 아직도 전하는데 泰西文學源流考 漢城旬報 14 博文局 1884 2 11 13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조용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성교(聖交), 호는 청소(晴沼). 좌의정 재호(載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진(觀鎭)이고, 아버지는 교리 운익(雲翊)이며, 어머니는 이득일(李得一)의 딸...이칭별칭 성교(聖交)| 청소(晴沼)| 문헌(文憲)
고서·고문서(34)
- 乾道成男,坤道成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kr/inLink?DCI=ITKC_MP_0597A_0720_010_0070_2015_016_XML 016 道,一而已。故得乾之一畫者,爲男卦,得坤之一畫者,爲女卦。【卽所謂‘陽卦多陰,陰卦多陽’】 至於蓍卦亦然。三揲而得一陽者,爲陽畫。三揲而得一陰者,爲陰畫。 274 ~ 2...권차명周易四箋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09 B066709 도중 島中 도서 일반 高麗史節要 卷之十八 元宗 元年 三月 甲申 適鑾輿西征 留滯者二年 供張疎薄 無以懷輯 一旦得歸 將不復來 宜厚其館穀 待以藩王之禮 今聞其父已死 誠能立倎爲王 遣送還國 世子 必感恩戴德 願修臣職 是 不勞一卒而得一國也 陝西宣撫使廉希憲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八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辭上同 請還寢張翼標島配之命, 依律處斷。 措辭上同 獻納成胤儉, 正言洪相聖啓曰, 請大靜縣爲奴罪人仲義, 依律處斷。 措辭上同 請黑山島爲奴罪人五得, 依律處斷。 措辭上同 李得一啓曰, 臺啓體重, 若不連啓, 則例爲停啓, 而府啓中, 禁衛大將具善復事, 昨今旣不連啓, 亦無停啓呼望之事, 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辭上同 請還寢張翼標島配之命, 依律處斷。 措辭上同 獻納成胤儉, 正言洪相聖啓曰, 請大靜縣爲奴罪人仲義, 依律處斷。 措辭上同 請黑山島爲奴罪人五得, 依律處斷。 措辭上同 李得一啓曰, 臺啓體重, 若不連啓, 則例爲停啓, 而府啓中, 禁衛大將具善復事, 昨今旣不連啓, 亦無停啓呼望之事, 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李得一贈吏判例兼, 贈吏議李時敍贈吏參例兼, 贈僕正李道翼贈吏議, 以上判尹李相璜三代, 生員金光憲贈吏參例兼, 學生金壽天贈吏議, 學生金彦兼贈僕正, 以上前右尹金㙆三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34. 한국 휴전협정의 결과들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렇다면 누구에게 이득일가요? 저는 무엇이 중국에 대해 불행한 결과일 수 있는지 헛되이 찾아보았습니다. 저는 아무것도 찾지 못했습니다. 중국의 상황이 지금 결코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중국은 최대의 이익을 판문점에서 얻었습니다. 중국은 바라지 않았던 성공으로 1951년...대표표제어34. 한국 휴전협정의 결과들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3년 6월 | 작성일19일
기타자료(1)
- 52. 황제 즉위 40주년 기념식 연기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테니, 그렇다면 현재 프로그램을 취소하고 다른 괴상한 짓을 꾸밀 적당한 때가 도래하길 봐가며 새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더 이득일 것으로 여겨진 것입니다. 체류를 6개월 연장한 러시아 특사는 계속 연기되는 기념식을 더는 기다릴 수 없는 처지입니다. 그래서 그는 자국 정...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907년 | 작성월일4월 13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4)
-
이득일 / 李得一 [종교·철학/유학]
1726년(영조 2)∼1774년(영조 50).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태수, 조부는 이도익이다. 부친 이시서와 모친 심구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63년(영조 39)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지평·정언, 겸필선·부응교·교리·응교·집의를 지내고《증보문헌
-
국헌집 / 菊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소시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5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808년(순조 8) 손자 환술(煥述)이 편집한 것을 1835년(헌종 1)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석주(洪奭周)와 이득일(李得一)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상권에
-
조용화 / 趙容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 재호 증손, 할아버지는 관진, 아버지는 운익, 어머니는 이득일의 딸이다. 1822년(순조 22) 식년 문과 병과급제 후 홍문관에 등용되어 이조참판·비변사제조·형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문장에 뛰어나 경사제가의
-
조운익 / 趙雲翊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문명, 조부는 조재호이다. 부친 조관진과 모친 유성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득일의 딸이다. 1802년(순조 2) 한림소시에 참여하여, 김시근‧서유순‧홍병철 등과 함께 선발되었고, 1804년(순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