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두” 에 대한 검색결과 5,4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53)

사전(1,06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실록≫에서는 ‘’라 불렀으며, 그 뒤에도 문헌에 따라 ‘이도(吏刀, 선조실록)’, ‘(, 儒胥必知)’, ‘이토(吏吐, 儒胥必知)’, ‘이찰(吏札, 東國輿地勝覽)’, ‘이문(吏文, 典律通補)’ 등의 명칭이 쓰였다. 이 가운데 가장 널리 쓰여온 것이 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자의 음과 훈(訓)을 빌려 한국어를 적던 표기법.
    정의한자의 음과 훈(訓)을 빌려 한국어를 적던 표기법.[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idu | MR표기id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A2_O_0016 천문학 北斗, 南斗, 下降, 定數, 南斗, 職生, 生, 北斗, 祿籍, 祿籍司死, 死, 南辰, 北極, 造化, 眞仙, 七星之神, 斗星, 六聖, 樹神, 斗君, 豕狀, 斗齋, 北斗九星, 洞明, 隱元, 帝皇太尊精神 漢, 皇明, 唐 ...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권 2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9_D_0374 언어 經文語絶處, 吏札 方言 D_17_04_76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7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7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자표기(借字表記) (), 이토(吏吐) 고문서(古文書), 구결(口訣), 목간(木簡), 변격한문(變格漢文), 변체한문(變體漢文), 이문(吏文), 향찰(鄕札) 문화인문학/어문학 개념용어 대한민국 신라~...
    상위어차자표기(借字表記) | 동의어이두(吏頭), 이토(吏吐) | 관련어고문서(古文書), 구결(口訣), 목간(木簡), 변격한문(變格漢文), 변체한문(變體漢文), 이문(吏文), 향찰(鄕札)

논문(2)

고서·고문서(3,579)

  • 집성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전적 | 소장처하와이 대학
  •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사전 장지영; 장세경 공저 정음사 서울 1976 언어사전; 한국어; 역사사전; ...
    대표표제어이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사전 장지영; 장세경 공지음 산호 서울 1991 언어사전; 한국어; 역사사전; ...
    대표표제어이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歷代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歷代 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歷代 사전 배대온 저 형설출판사 서울 2003 언어사전; 한국어; 역사사전;
    대표표제어歷代 이두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구술자료(74)

  • 사두도(島)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5에 이어서 마을 앞에 있는 섬의 유래를 이야기한 것이다. *
    조사일시1979-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사등면 | 제보자원장상
  • 이토정(亭)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속 이어진 얘기다. 앞 얘기에 비해 청중의 참여도가 더 낮은 구연이었다.*
    조사일시1981-07-18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대천 | 제보자박성돈
  • 이토정(亭) 선생의 명당 탐색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점심때가 돼서 일단 자리를 파했다가 오후에 다시 판을 조성해서 이야기를 계속 들었다. 새로 판을 시작하는 데 우선 이런 이야기로부터 출발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이와 유사한 이야기를 조사자가 먼저 들려주자 이걸 기억해 냈다. *
    조사일시1983-11-27 | 조사장소충청남도 공주군 이인면 | 제보자김광웅
  • 이토정(亭)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미 밤이 깊어 청중이 거의 돌아간 뒤였음에도 이 분이 계속 판을 지키고 있기에, 구연을 요청했더니 의외로 적극적으로 구연에 응해줬다. 이토정담을 광범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
    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 제보자노성표
  • 삼촌 명(命)을 끌어다 산 이토정(亭)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얘기가 끝나고 청중 한 사람이 시속얘기를 꺼내는 바람에 잠시 이야기 분위기가 산만해지는 듯하기에 조사자가 옛날얘기쪽으로 방향을 유도해서 나온 이야"<page id="83"/>"기다. 평소에도 시속, 생활 이야기를 자주 하는 분이어서인지 그에 대한 좌중의 기대는...
    조사일시1982-02-16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 제보자안봉천

기초학문(26)

  • 漢文 텍스트 性 要因 分析을 통한 性 公式 開發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왕규, 게재일 : 2014
    55395 김왕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漢文 텍스트 性 要因 分析을 통한 性 公式 開發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廣開土大王碑文의 的 要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용, 게재일 : 2006
    41512 이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구결학회 2006 廣開土大王碑文의 的 要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조선초기 고문서 문 역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5827 한국연구재단 조선초기 고문서 문 역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8264&local_
    유형논문
  • 漢語 中古音 字 分析을 통한 中古音 層次 研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염재웅, 게재일 : 2015
    45711 염재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문화연구학회 2015 漢語 中古音 字 分析을 통한 中古音 層次 研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6세기 고문서 의 片鱗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성종, 게재일 : 2003
    04376 박성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3 16세기 고문서 의 片鱗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47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用(用商店) 서울 用商店 本町 3-86 기타 - 빈병(空甁), 깡통(罐), 나무통(樽), 자루(袋) - 27 병(甁)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
    대표표제어李斗用(李斗用商店)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빈병(空甁), 깡통(罐), 나무통(樽), 자루(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軆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소학교교장에게로 훈령기를 각학교에 유고 건을 치지고 사보치 아니니 심이탄지라 죵금위시야학교상 별반 무를 사보것이오  가쟈르니 각학교 쳬조는 토요일에만 시케 라 엿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所位置 1910년 3월11일 서울 서울 춘기 종두(種痘)를 남자는 종로상업회의소에서 여자는 사동 연흥사에서 시행 ...
    대표표제어施痘所位置 | 연월일1910년 3월11일 | 지역서울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星(-) 원산 星 - 榮町 - - 정미업, 쌀, 콩, 잡곡상 판매 24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斗星(-)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쌀, 콩, 잡곡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の 春 (이즈의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伊豆の 春 | 게재일19290110 | 게재판 | 게재면06 | 게재단2-4

멀티미디어(1)

  • 한국의 문자 발명가와 표기의 역사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3에불과한사실,한글이전에 한국어를 표기하는 , 구결 문자가 사용된 사실, 한글 창제 이후 한글 표기가 변화하는 한편,구결문자도계속 사용된 사실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들어 학계에서는 , 구결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한글 창제 과정과

기타자료(130)

  • 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665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3면 승;承 金化郡 鐵原창고주식회사 제4회 192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061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1면 한;漢 함남 북청군 양화면 호만리 제6회 192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0008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62면 1. 숭전·숭실 졸업생;2) 나, 라行部 성;星 대동군 재경리면 빙장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344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67면 - 영;榮 경북 17 1943년 12월 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107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3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8) 제8회 졸업생 28인(1915년) 섭;爕 함북 성진항 욱정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76)

  • / [언어/언어/문자]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종실록』에서는 ‘’라 불렀으며,

  • 나려 / 羅麗 [언어/언어/문자]

    1789년(정조 13) 이의봉(李義鳳)이 () 어휘를 모아 풀이한 글. ≪고금석림 古今釋林≫ 권40 끝에 부록으로 실려 있다. 총 7장으로 수록된 어휘수는 172개이다. 어휘를 그 글자수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1자류에서 9자류까지 있다. 이것은 수적으로

  • 진 / [종교·철학/유학]

    1608년(선조 41)∼미상. 조선 중기 무신. 증조는 이우인, 조부는 이상의, 부친은 이지굉이다. 동생은 이규진‧이익진이다. 1651년(효종 2)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4년(현종 5)에는 충청병사에 임명되었다.

  • 편람 / 便覽 [언어/언어/문자]

    편자 및 간행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및 이문(吏文) 어휘를 모아놓은 책. 1829년(순조 29)이거나 그 이듬해에 관각문신(館閣文臣)에 의하여 운각(芸閣)에서 활판인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기법에 통일성을 기하라는 왕명에 의하여 어휘 300여와 『이문

  • 구결체 / 口訣體 [언어/언어/문자]

    를 향찰, ,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광의의 의 관점에서 구결을 이르는 말. 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 구결, 고유명사 표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