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동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9)
- 이동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2(현종 3)∼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국미(國美), 호는 삼복재(三復齋). 덕여(德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달(敏達)이고, 아버지는 목사 세무(世茂)이며, 어머니는 군수 김...이칭별칭 국미(國美)| 삼복재(三復齋)
- 신필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러나 사헌부가 다시 계문을 올려 결국 사판(仕版 :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삭거(削去)당하였다. 지평(持平)을 거쳐 정언(正言) 때 사유(師儒 : 스승이 될만한 학자)를 택하여 예양(禮讓)을 가르치자고 상소하였다. 파주목사로서 이동언옥사(李東彦獄事)에 관련되어 의...이칭별칭 청지(淸之)| 죽헌(竹軒)
- 삼복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이동언(李東彦)의 시문집. [내용] 13권 6책. 필사본. 본래 원집 10권 5책과 부록 3권 1책이었으나 권9ㆍ10이 없는 결본이다. 생질 강원도관찰사 서형수(徐逈修)가 선정하고 증손 헌영(憲泳)이 간행하려고 편집,
- 동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元聖兪)의 청문 1수, 최창대(崔昌大)의 청문 3수, 임상덕(林象德)의 청문 1수, 송성명(宋成明)의 청문 3수, 하문 2수, 이동언(李東彦)의 청문 1수, 신이익(愼爾益)의 청문 1수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박창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및 활동사항]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에게 수학하였고, 이어 이동언(李東彦)을 따라 학문을 익혔다. 아문(衙門)의 조보(朝報)를 담당하는 서리(胥吏)를 지냈는데, 1721년(경종 1) 신임사화가 발생하자 이듬해 임인년(1722)에 “요사이 조지(朝紙)의 소계...이칭별칭 선장(善長)| 담옹(澹翁)
고서·고문서(25)
- 1772년 이동언(李東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護軍柳尙載, 副司直李彦綱, 司正李東彦, 副司直崔柱天單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柳尙運今加崇祿, 副護軍柳尙載, 副司直李彦綱, 司正李東彦, 副司直崔柱天單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격군(格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隻初六日戌時擧碇同時領泊水門外是如爲有旀追到左水營譯學韓寅鎭手本內水門外到泊火輪船一隻亦中卽往問情則船主本無格軍五十名等同騎持糧米石炭各二百五十石爲有矣格軍周華岺能解日本語而同言內俺等船一隻陳總辦次今月初二日自上海離發初六日戌時到泊此處是如云云而船飾諸具與前無異事手本據緣由馳通云云是白齊.同日申時到...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격군(格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810 B019810 격군 格軍 군사교통 東萊府啓錄 권9,10 1883년 12월 8일 ... 韓寅鎭手本內水門外到泊火輪船一隻亦中卽往問情則船主本無格軍五十名等同騎持糧米石炭各二百五十石爲有矣格軍周華岺能解日本語而同言內俺等船一隻陳總辦次今月初二日自上海離發初六日戌時到泊此處是如云云...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십월륙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죵이품 리근와 졍삼품 리죵영과 리동언과 심은과 손동호와 오품 윤영구와 륙품 윤시영과 최셕장과 김셩진과 윤규셥과 최락쥬와 칠품 박영락과 구품 김영운과 안명호와 우항션은 다 즁츄원 의관을 임다게재일1898년 10월 7일 | 기사분류관보
- 월 십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관허 죵두의 양셩소 뎨삼회 의 죨업 방목 우등 구인 리윤션 고원식 김덕쥰 리공우 쟝진죠 지의찬 림텬규 고홍식 리익 급뎨 십인 신죵희 방츈환 최진셩 심승훈 리희민 최죵민 리창렬 리영만 김관형 박민슈 류샹규 김균명 죠졍국 박화진 원보샹 홍현샹 리동언 강필우 리승죠...게재일1899년 4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2)
-
이동언 / 李東彦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덕여 증손, 할아버지는 민달, 아버지는 세무,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 같은 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박사, 사간원정언, 북평사 등을 역임하였다.
-
박창원 / 朴昌元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3년(영조 29). 조선 후기의 시인. 부친은 흥준, 어머니는 진성수의 딸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에게 수학하였고, 이어 이동언을 따라 학문을 익혔다. 김원행·유척기 등 주로 노론계 인사들과 종유했다. 그의 문하에서는 시인 백윤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