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덕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1)
사전(221)
- 이덕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燃藜室記述 白沙集 이덕형 영정 이덕형(1561-1613) 1561(명종 16)-1613(광해군 5). 조선 중...이칭별칭 명보(明甫)| 한음(漢陰),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 문익(文翼)
- 이덕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덕형(1566-1645) 이덕형 영정 1566(명종 21)-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이칭별칭 원백(遠伯)| 죽천(竹泉)| 충숙(忠肅)
- 이덕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신으로, 서신을 받고 왜군을 만나러 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덕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호란 때 우의정이 병들어 대신하여 거짓 우의정 직함을 띄고 서문으로 국서를 가지고 가나 이미 적이 적진으로 돌아가 실패하고 돌아온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덕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영의정으로, 영창대군이 죽을 때 유숙이 대비에게 알릴 것도상복을 입을 것도 없다고 주장하자, 이에 반하여 인목대비전의 천륜(天倫)이 극진함을 들어 예에 따라 즉시 알리고 조정도 문안해야 옳다고 주장하다 결국 유배되었다가 병들어 죽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 1623ㆍ1624년의 중국 정치-李民宬ㆍ李德泂ㆍ洪翼漢의 『조천록』을 중심으로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유사령 | 게재정보 : 대동문화연구 97 , 게재일 : 201703유형논문
고서·고문서(116)
- 이덕형(李德馨)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03년 이덕형(李德馨) 고제봉정려문(高霽峯旌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기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한음선생문고(漢陰先生文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한음선생문고(漢陰先生文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구술자료(1)
- 이항복과 이덕형과 신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둔덕면 | 제보자장병택
기초학문(15)
- 체계들의 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형, 게재일 : 200108585 이덕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슬라브학회 2001 체계들의 체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d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모순의 통일성 coincidentia oppositorum; 바흐찐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형, 게재일 : 199909500 이덕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 1999 모순의 통일성 coincidentia oppositorum; 바흐찐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성스러움의 전복: 문화코드로서의 유로지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형, 게재일 : 200623111 이덕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성스러움의 전복: 문화코드로서의 유로지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비판과 체념-독일지식인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형, 게재일 : 200621744 이덕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6 비판과 체념-독일지식인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문학의 논리, 정치의 논리- W. Emmerich『동독문학사』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덕형, 게재일 : 200521745 이덕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5 문학의 논리, 정치의 논리- W. Emmerich『동독문학사』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5)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德馨, 申叔舟, 李恒福, 李元翼, 柳成龍 A19250904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월간야담_1938_05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시조 신흠,이정신, 김유기, 이덕형, 임경업, 윤선도 2 파일명오류 : ‘한_월간야담_1938_05_06_005~006’ -> 2~3으로 수정할 것.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동서춘추_1967_01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45 차중대화 박수치 146 노총각 이덕형 147 회자정리 홍창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얼음꽃문학_2003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제 홀로 서 보세요 이덕형 17 산에서 듣는다 유인형 21 어느 저녁에 김영례 29 ...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2003
- 캐나다문학_2005_0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18 발렌타인 도시락을 찾습니다 이덕형 222 귀한 감자 김시청 226 문학은 죽음의 미학인가 외 ...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2005
기타자료(2)
- 이덕형;李德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839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0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4)송도고보 제7회(대정15년) 69명 이덕형;李德馨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덕형;李德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3254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93면 1. 졸업생상황;14)사립송도고등보통학교 제7회 魏任世 校長時(1926년) 69명 이덕형;李德馨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이덕형 / 李德馨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수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진경, 아버지는 민성, 어머니는 유예선의 딸이다. 영의정 이산해의 사위이다. 1580년(선조 13)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의 관원이 되었으며, 부수찬, 부교리, 이조좌
-
사제곡 / 莎堤曲 [문학/고전시가]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 권3에 실려 있다. ‘사제(莎堤)’는 이덕형(李德馨)의 휴양처로 경기도 용진(龍津)에 있는 지명이다. 작자가 ‘사제’의 아름다운 경치와 이덕형의 소요자적(逍遙自適)하는 모습을 읊은
-
근암서원 / 近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는 서원. 665년(현종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언충(洪彦忠)과 이덕형(李德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93년에 김홍민(金弘敏)과 홍여하(洪汝河)를 추가 배향하였으며, 1786년에 이구(李榘)
-
조홍시가 / 早紅枾歌 [문학/고전시가]
1601년(선조 34)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연시조. 모두 4수.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 권3에 실려 있고,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도 전한다. 이덕형(李德馨)이 도체찰사로서 영천에 이르렀을 때에 홍시를 보내자 그 자리에서 이 시조를 지은 것이라 한다
-
누항사 / 陋巷詞 [문학/고전시가]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박인로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