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덕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10)
- 칠실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무신 이덕일(李德一)의 시문집. [내용] 1책. 1732년(영조 8) 5대손 세집(世輯)이 편집, 필사하여 놓은 것을 1985년 후손 건영(建榮)이 보충, 국역하여 영인하였다. 필사본이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이덕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1(명종 16)∼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경이(敬而), 호는 칠실(漆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은(訔)이다. 학자이며 의병장인 강항(姜沆)과 교유하였다. 어릴 때부터 글을 닦았으...이칭별칭 경이(敬而)| 칠실(漆室)
- 이세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6(인조 4)∼1705(숙종).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부평(富平). 자는 숙필(叔弼), 호는 철애(鐵厓). 형조정랑 계록(繼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덕일(德一)이고, 아버지는 홍재(弘載)이다. 1650년(효종 1)에...이칭별칭 숙필(叔弼)| 철애(鐵厓)
- 이상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7(선조 40)∼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부평(富平). 자는 문거(文擧). 옥(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계록(繼祿)이고, 아버지는 군수 덕일(德一)이며, 어머니는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이칭별칭 문거(文擧)
- 당쟁차탄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선조 때 이덕일(李德一)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당쟁을 개탄하며 타이르는 내용으로 모두 9수의 연시조이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을 겪은 작자가 그 치욕을 씻고자, 우국충정을 노래한 「우국가(憂國歌)」 28장 속에 들어 있는데...
고서·고문서(48)
- 1705년 이덕일(李德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1886년 이덕일(李德一)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86년4월 21일에 답주 이덕일이 전라도 나주목 동부면 사정평(오늘날 나주시 성북동, 금남동일대로 추정)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논은 10마지기이며, 거래가격은 300냥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 나주지역의 토지경제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나주 남내 밀양박씨 청재종가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安骨萬戶文天維, 南桃浦萬戶文兌興, 位羅萬戶任明休, 長峯萬戶孫性欽, 所已萬戶李德一, 舒川浦萬戶李準源, 水口萬戶李光伯, 永達萬戶李漢佑, 造山萬戶金應澤, 古突山別將朴道欽, 正方別將韓成佾, 黑山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모포(黔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平山萬戶金光泓, 黔毛浦萬戶李遇春, 安骨萬戶文天維, 南桃浦萬戶文兌興, 位羅萬戶任明休, 長峯萬戶孫性欽, 所已萬戶李德一, 舒川浦萬戶李準源, 水口萬戶李光伯, 永達萬戶李漢佑, 造山萬戶金應澤, 古突山別將朴道欽, 正方別將韓成佾, 黑山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成爲造紙別提, 朴時晉爲東部都事, 鄭東里爲昌陵令, 李廷壽爲長興府使, 權墉爲濟用副奉事, 閔百興·趙世選爲禁府都事, 金時愼爲繕工假監役, 鄭檖爲長陵參奉, 李德一爲泰陵參奉, 洪獻猷爲懿陵參奉, 李博爲英陵參奉, 申景沆爲萬寧殿參奉, 金景祖爲敬陵參奉, 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칠실 이덕일의 〈우국가〉 28장에 나타난 우국의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태성, 게재일 : 200623206 조태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06 칠실 이덕일의 〈우국가〉 28장에 나타난 우국의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
- 조선인민군_1950_073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것부터 일체 일을 다 해주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이 동무는 교대도 하지 않고 밤을 새워 가면서 정성껏 환자를 간호한 결과 환자들은 단시일에 거의 완치되여 퇴원할 수 있었다. 특히 전선에서 부상당한 김경호 김승만 리덕일 전사들이 입원했을 때에는 매일 자기의...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30_03 | 책임주필오기찬
- 황해일보_1952_111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8 김원선 미, 영, 미국, 쏘련, 중국 레닌, 쓰딸린, 황순복, 리덕일, 강온순, 김일성, 리승만 세계민주청년련맹, 세계민청련맹, 레닌-쓰딸린당, 조선로동당, 로동당, 민청 어제는 청년들의 단결된 력량을 시위검열하는 명절인 세계청년절인 동시...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1111_01 | 책임주필김원선
- 황해일보_1952_111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녀성착암수 리덕일동무 녀성보잡이 강온순동무들의 투쟁은 로동청년들과 농민청년들의 모범으로 되고있을 뿐만 아니라 싸우는 후방녀성들의 고상한 기개를 말하여준다. 우리 학생청년들은 전시 하 곤난한 환경과 조건하에서도 학과생산에서 높은 성과를 쟁취하...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1111_01 | 책임주필김원선
기타자료(1)
- 최덕근;崔德根;좌이덕일;佐伊德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48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74면 최덕근;崔德根;좌이덕일;佐伊德一 함남 혜산군 운흥면 대오시천리 제35회 1941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일제강점기 민족지도자들의 역사관과 국가건설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덕일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이덕일 / 李德一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은이다. 학자이며 의병장인 강항과 교유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기 무과급제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의병을 조직, 산에 거점을 두고 싸워 전과를 많이 올리자 통제사 이순신이
-
당쟁차탄가 / 黨爭嗟嘆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덕일(李德一)이 지은 시조. 첫 번째 작품 제13장에서는 “힘써 하는 싸움 나라 위한 싸움인가/옷밥에 묻혀 있어 할일 없어 싸우누나.” 하여 당쟁을 먹고 입는 일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할 일 없어 하는 싸움으로 규정하였다. 여섯 번째 작품 제18장에서는
-
우국가첩 / 憂國歌帖 [문학/고전시가]
조선전기의 무인 이덕일이 지은 가곡 첩. 조선전기의 학자 철실(漆室) 이덕일(李德一, 1561~1622)이 지은 것으로, 그의 문집 『칠실유고(漆室遺稿)』에 수록되어 전해지는 28작품의 가곡 첩(帖)이다. 임상덕(林象德)의 「우국가후서(憂國歌後叙)」와 나이장(羅以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