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덕수” 에 대한 검색결과 5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1)

사전(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7(선조 10)∼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사로(師魯), 소자(小字)는 여숙(汝淑), 호는 이유당(怡愉堂).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 언홍(彦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소...
    이칭별칭 사로(師魯), 여숙(汝淑)| 이유당(怡愉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3(현종 14)∼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인로(仁老). 호는 벽계(蘗溪) 또는 서당(西堂). 행건(行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만웅(萬雄)이다. 아버지는 참판 징명(徵明)이며,...
    이칭별칭 인로(仁老)| 벽계(蘗溪), 서당(西堂)| 문정(文貞)
  • 이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 때 대사간 ()와 함께 예조에 올린 계사(啓辭)에 백관이 변복하고 모여서 곡한다는 등의 말로 물의를 빚자 그는 “광해가 버림받은 것은 인륜의 바깥에 있는 것이지 연산의 황란(荒亂)과는 다르므로 쫓아내고 폐하였을 때는 비록 죄인이나 관을 덮은 뒤에는 은혜를...
    이칭별칭 재원(載元)| 허주(虛舟)
  • 성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명한 선비로 사우들의 추앙의 대상이 되었다. 평생 지우로 조구명(趙龜命)ㆍ()ㆍ윤순(尹淳)ㆍ이하곤(李夏坤) 등과 교유하였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자경(子擎)| 노운헌(老雲軒)
  • 이홍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4(선조 37)∼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정백(靜伯)ㆍ이정(而靜), 호는 삼죽(三竹). 계(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濤)이고, 아버지는 대사간 덕수(德洙)이며, 어머니는 조씨...
    이칭별칭 정백(靜伯), 이정(而靜)| 삼죽(三竹)

고서·고문서(431)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82년_내상면(內廂面) 1882년 내상면(內廂面) 第一東洞里 4 第四統統首 第一戶幼學年肆拾壹壬寅本慶州父學生鍾祥祖學生根漢 曾祖學生壽仁外祖學生姜文煥本晋州妻申氏年參拾參庚戌本 平山父學生在喆祖學生光植曾祖學生道俊外祖學生김箕浩 本慶州婢孟辰年戊子等...
    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東洞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농소면(農所面) 1765년 농소면(農所面) 第二十一常安里 2 第二統統首 第一戶 幼學年伍拾丙申本淸安父幼學龍翰祖學生晟曾祖學生哲崇外祖學生朴武成本密陽 妻姜氏年伍拾參癸巳籍晋州父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汝淑祖學生應璉曾祖學生弘南外祖學生李 時苾本慶...
    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十一常安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범서면(凡西面) 1765년 범서면(凡西面) 第七川上里 1 第一統統首 第一戶 府案付禁米保年肆拾肆壬寅本月城父業武是化祖業武仁白曾祖業武正立外祖金戒昌本金海妻 李召史年參拾壹乙卯本慶州父業武元根祖業武順培曾祖通政春伊外祖業武朴斗連本密陽率女召史年...
    연도_면이름1765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七川上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83년_대현면(大峴面) 1783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四城內西里 3 第三統統首 第一戶 李芝栢故代子御營軍德守年貳拾柒丁丑本月城父折衝--祖業武石〈伊〉曾祖業武山伊 外祖李今承本完山妻金姓年貳拾柒丁丑本金海父太雄祖今先二祖不知率同生舟師射夫 夢用年貳拾貳壬午...
    연도_면이름1783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四城內西里
  • 1724년 () 계후입안(繼後立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24년 1월에 를 죽은 이온의 후사로 삼게 해 달라는 이온 처 정씨의 요청을 예조에서 허락하는 문서이다. 이온이 본처와 첩에게서 아들을 얻지 못하고 죽어 후사를 이을 수 없게 되자 그의 처는 법전에 따라 이온의 8촌 동생의 아들인 를 후사로 삼을 수 있...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36)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商店) 서울 商店 南米倉町市黃西 1 식료품 - 과일(果物) 소매 176.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德秀(李德秀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일(果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삼월 담갑으로 국 보급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十錢 成致俊 五十錢 崔云卿 六十錢 辛仲賢 四十錢 辛龍機 七十錢 金俊巨 二圓 金德根 三十錢 최元五 三十錢 李長春 五十錢 郭培鉉 二十錢 吳聖實 二十錢 辛道永 十錢 최錫賢 二十젼 최周賢 五十젼 四十젼 合三十二圓三十젼 已上合計 三十二圜三十젼 前日統計 五千七百九十四圜八十...
    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목차 표지 0 앞표지이므로 A파일에 함께 넣어야 함 주당위 서기 동지 본사기자의 물음에 대답 2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8
  • 목차 및 판권지 pp. 2~3, A파일로 이름을 변경해야 함 새로운 민족구역자치법 출범 한민 1 주임 올해 민족사업 주요과업 하달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1
  • 맹원들은 지금 수수 수확에 한결 같이 나섰다. 그들은 이 사업을 성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하여 청년소조를 조직하였는데 청년소조는 로동당원인 문태원 동무를 비롯하여 열성맹원인 고옥환 김순희 김련 동무들을 각각 책임자로 하여 3명 내지 5명 정도로 구성하였다. 그...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1_1004_03 | 책임주필리두진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419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7면 ; 경성부 행촌정 40-19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514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28면 13. 제26회 졸업생 ; 1940년 3월 3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139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44면 ; 경북 영주군 영주면 영주리 161 제13회 4258년 3월 23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언홍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도, 어머니는 이석명의 딸이다. 현감 준에게 입양되었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608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 부수찬, 우부승지, 승지, 좌부승지,

  • /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행건 증손, 할아버지는 만웅, 아버지는 징명, 어머니는 심약한의 딸이다. 박세당·김창흡의 문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좌랑,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형조판서,

  • 내재집 / 耐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태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0년에 간행한 시문집. 1730년(영조 6) 홍태유의 아들 홍윤익(洪胤益) 등 3형제가 김창흡(金昌翕)·이일원(李一源)에게 편집을 위촉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의현(李宜顯)·()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

  • 한산이씨족보 / 韓山李氏族譜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문신 가 1643년에 편집하여 간행한 한산이씨의 족보. 분량은 상(上)·하(下) 1책이며, 원주의 강원감영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표제는 “한산이씨보(韓山李氏譜)”, 판심제는 “한산이씨족보”이다. 체제는 표지(表紙), 서문(序文), 범례(凡例), 보도

  • 김만균 / 金萬均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형조참판 김장생 증손, 할아버지는 참판 김반,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익희, 어머니는 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54년(효종 5)에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에 기용, 그 뒤 정언·수찬·검토관·부교리·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