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덕무” 에 대한 검색결과 2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5)

사전(20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正祖實錄 靑莊館全書 燕巖集 歸思堂集 의 實學思想(李成茂, 鄕土서울 31, 1967) (1741-1793) 1741(영조 17)∼1793(정조 1...
    이칭별칭 무관(懋官)| 형암(炯庵), 아정(雅亭), 청장관(靑莊館), 영처(?處), 동방일사(東方一士)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내각 검서(檢書)이다. 임금의 명을 받아 김씨와 신씨가 혼인에 성공하는 기이한 이야기를 전(傳)으로 쓴 후에 평하기를, ‘금상(今上)의 높은 덕으로 어진 정사를 베풀어 기우제 없이도 비가 내린다.’고 칭송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은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가 지은 한문 전(傳).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실려 있다. 작품을 만든 동기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모든 옥안(獄案)을 심리하다가 김은애와 신여척을 살리게 하고, ...
  • 서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9(영조 25)∼1802(순조 2).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이중(而仲). 서얼(庶孼) 출신이지만 학문이 뛰어나 유학(幼學)으로서 1779년(정조 3) 박제가(朴齊家)ㆍ(), 생원 유득공(...
    이칭별칭 이중(而仲)
  • 이만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 등의 실학자와 교유하였다. 1782년(정조 6) 음서로 돈녕부참봉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조선의 전고(典故)에 밝은 인물로 선발되어 영조연간에 편찬된 『문헌비고』의 개정작업에 참여하여, 1790년에 『증보문헌비고』의 초고를 완성...
    이칭별칭 중심(仲心)

단행본(2)

  • 저자 : 高红姬,朴爱阳,董超越,高子迪,李雪冉,李真 ... | 출판사 : 山东大学 外国语学院 朝鲜语系 | 출판일 : 20210401
    책만 보는 바보는 이덕무와 그의 벗들, 즉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의 삶을 담은 책이다. 하루 종일 들판에서 일하고 돌와와 봐야 먹을 것도 입을 것도 넉넉하지 않았던 시대, 굶주림의 고통을 겪어 보고, 날 때부터 사람의 운명을 갈라놓은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느껴 온 선비들의...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이해영, 한홍화...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4.04.0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의 《입연기》에 나타난 중국 인식 한국 고전소설 족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 행운과 기회의 땅으로서의 중국 : 16~17세기 대중국무역 관련 野談에 형상화된 중국의 이미지 제2부 한국 근‧현대문학에 나

논문(2)

고서·고문서(49)

기초학문(9)

  • 조선의 일본학 성립: 원중거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희병, 게재일 : 2013
    43118 박희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조선의 일본학 성립: 원중거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炯庵 의 회화관과 한중교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현권, 게재일 : 2014
    53659 김현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4 炯庵 의 회화관과 한중교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정원, 게재일 : 2017
    61637 권정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의 경릉파 인식과 수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의 한자자형변천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한용, 게재일 : 2013
    43640 서한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근역한문학회 2013 의 한자자형변천에 대한 인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洪大容 후손가 소장 筆寫本 3종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7945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12 洪大容 후손가 소장 筆寫本 3종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기타자료(1)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사소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사소절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사소절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士小節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길수 | 사료철명문교행정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2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41∼1793).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며 글씨와 그림에 능했으나, 서자라서 크게 등용되지 못했다. 박제가·유득공·이서구와 함께《건연집》이라는 사가시집을 내었고, 박지원·홍대용 등 북학파실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정조 때 초대 규장각

  • 규장전운 / 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 2권 1책. 목판본. 동음(東音 : 朝鮮의 漢字音)과 화음(華音 : 中國의 本土字音)을 함께 표시한 운서로, 가 1792년(정조 16)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남공철(南公轍)

  • 김신부부사혼기 / 金申夫婦賜婚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가 지은 전(傳). 『아정유고(雅亭遺稿)』 권12에 실려 있다. 이 글은 신해년에 혼기를 놓친 백성에 대한 칙명으로 김씨와 신씨의 혼사를 기록한 것이다. 끝에는 의 찬사가 첨가되어 있다. 한편 이것을 희곡으로 꾸며 「동상기(東廂記)」라

  • 아정유고 / 雅亭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문인 ()의 시문집. 가 죽은 뒤에 왕명에 의하여 『아정유고』가 간행되었다. 이 간본은 필사본에서 간추려 만든 것이므로 편차와 분량이 다르다. 이 책은 권1∼4에 시 600여 수, 권7·8에 서(書) 385편, 권11에 서 47편,

  • 평양잡절송이무관 / 平壤雜絶送李懋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제가(朴齊家)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6수. 작자가 평양으로 떠나는 벗 ()를 전송하면서, 평양의 유적에 얹어 감회를 적은 시이다. 연작형식의 작품이다. 『정유집(貞蕤集)』과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실려 있다.「평양잡절송이무관」은 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