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덕량”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35(세종 17)∼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정간(貞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관(士寬)이고, 아버지는 지장(智長)이며, 어머니는 이승(李昇)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자...
    이칭별칭 장경(莊敬)|전의군(全義君)
  • TD_L7_D_0108 남자 全義 君擧, 我光廟 D_06_03_16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S_0019 官方之變 관직 科目, 出身, 大司成, 禮曹, 武官, 大司憲, 聖世, 用人, 美事, 私邸, 醫員, 卽位, 六品, 東班, 臺諫, 護軍, 司直, 醫官, 郡邑 國朝 姜碩德, , 宣廟, 楊仁壽 史略 S_09_01_74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7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적개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맹달(裵孟達)‧이형손(李亨孫)‧이종로(李從魯)‧이서장(李恕長)‧김순명(金順命)‧김관(金瓘)‧구겸(具謙)‧박식(朴植)‧김백겸(金伯謙)‧어세공(魚世恭)‧오유치(吳有治)‧정숭로(鄭崇魯)‧장말손(張末孫)‧손소(孫昭)‧오순손(吳順孫)‧심응(沈膺)‧윤말손(尹末孫...
  • 의묘(懿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4)의 일로서 여기에 의경왕의 신주와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월산대군 이정이 제사를 받들어 올렸다.[『성종실록』 4년 9월 20일] 의묘 조성의 도제도는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 제조는 행상호군(行上護軍) 김개(金漑), 전의군(全義君) ()...
    상위어길례(吉禮) | 동의어의경묘(懿敬廟) | 관련어의묘(懿墓), 의경세자(懿敬世子), 온문의경왕(溫文懿敬王), 경릉(敬陵), 덕종(德宗), 친향의묘의(親享懿廟儀)

고서·고문서(37)

  • 1701년 유학(幼學)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9. 同日證韓輝賢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885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5-059 59. 同日證韓輝賢 초사 1 49-81 31.3x33.5 한지, 관인, 당상의 押 1장, 31.3x33.5cm...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64. ① 戊寅四月十二日財主鄭碩昌 ② 同日證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89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5-064~1 64. ① 戊寅四月十二日財主鄭碩昌 ② 同日證 초사 1 49-81 45x21 한지, 관인 1장, 45x21c...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64. ① 戊寅四月十二日財主鄭碩昌 ② 同日證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891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5-064~1 64. ① 戊寅四月十二日財主鄭碩昌 ② 同日證 초사 1 49-81 45x21 한지, 관인 1장, 45x21c...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41475 B041475 대부도 大部島 도서 경기도 成宗實錄 十八年(1487) 三月 성종실록_11803004_002 ○戶曹判書、京畿觀察使成健等圖上南陽大部島、江華甫音島置屯田形勢, 仍啓曰: “此地皆宜耕墾。 但甫音島非月串船軍所能盡耕, 須移牧場, 許民自耕。 大部島僅可種...
    출처전거成宗實錄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1435(세종 17)∼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무신. 정간 증손, 할아버지는 사관, 아버지는 지장, 어머니는 이승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의 자서이다. 1457년(세조 3)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사복직장, 종친부부전첨, 사헌부장령, 훈련원부사, 대사

  • 적개공신 / 敵愾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정충포의적개공신으로 김국광·허유례·이운로··배맹달·이형손·이종로·이서장·김순명·김관·구겸·박식·김백겸·어세공·오유치·정숭로·장말손·손소·오순손·심응·윤말손·김면·맹석흠 등 23명. 3등은 정충적개공신으로 영순군 보·율원부윤 종·한계미·선형·민발·오자경·최유림·우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