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한청문감
연구성과물(1,319)
사전(301)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70(공민왕 19)∼1405(태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제현(齊賢)의 증손자이고, 아버지는 학림(學林)이다. 1393년(태조 2) 춘장문과(春場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31(세종 13).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1407년(태종 7) 중군동지총제(中軍同知摠制)가 되고, 1412년 중군총제(中軍摠制)에 승진, 이 해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죽음에 따른 사도감(四都監)이 설치되자 그 중...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2(효종 3)∼1716(숙종 42).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화(景和), 호는 성재(醒齋). 광평대군(廣平大君) 여(璵)의 10대손이며, 금산군수(錦山郡守) 중휘(重輝)의 아들이다. 송시열(宋時...이칭별칭 경화(景和)| 성재(醒齋)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3(경종 3)∼1775(영조 5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경룡(景龍). 신하(紳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당(簹)이고, 아버지는 익진(翼鎭)이며, 어머니는 김영행(金令行)의 딸이다. ...이칭별칭 경룡(景龍)| 담녕(澹寧)| 문목(文穆)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86(정조 10). 조선 후기의 종실. [내용] 아버지는 은언군 인(恩彦君裀)이다. 1778년(정조 2) 정조 비 효의왕후(孝懿王后)가 소생 없이 갑자기 죽었다. 이에 당시 세도가인 홍국영(洪國榮)에 의하여 효의왕후의 양자가 되어 ...이칭별칭완풍군(完豊君)|상계군(常溪君)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5-잡찬집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附 雜纂集 一 (1)文獻備考刊誤 2.附 雜纂集 二 (1)雅言覺非 (2)耳談續纂 3.附 雜纂集 三 (1)小學珠串
고서·고문서(906)
- 耳談續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5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50_010_0010 耳談續纂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이담속찬(耳談續纂)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문제풀이담당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담당자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북안시(北安市) 1 1 문제풀이담당자, 선생님, 오늘, 이시간, 의상가족, 아픔,...대표표제어문제풀이담당자 | 성씨이
- 문제풀이담당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담당자 권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계동현(鸡东县) 계림향 동명촌 3 3 문제풀이담당자, 전해, 22번째절기, 입...대표표제어문제풀이담당자 | 성씨권
- 문제풀이담당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문제풀이담당자 김 남자 경상남도 산청군 천진시(天津市) 何东区(하동구) 진당공로1호교 월아하 1 1 문제풀이담당자...대표표제어문제풀이담당자 | 성씨김
구술자료(19)
- 이담을 넘을까/대문놀이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함옥선이 ‘두껍아 두껍아’ 노래를 부른 후, 정춘래가 이 노래를 기억해 내었다. 진도리 놀이를 할 때 부르던 노래라고 했다. 진 사람이 팔을 벌 리고 빙 둘러 앉아 있으면 이긴 사람이 가운데에 서서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놀이의 규칙에 대해서는 잘 기억이 나지 ...조사일시2010. 1. 21(목)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원당리 60번지 원당리 경로당 | 제보자정춘래(#)
- 동두천농악 이인규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인규 1929-05-17 남자 경기도 양주군 이담면 송내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인규
- 이윤형 음악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언한 자료이다. 2) 음질 하 이윤형 백남열 시창 율창 송서 영시 우조창 이담시우회 영남루시 강릉경포대시 기타 1997-08-06 경기도 동두천시 성현2동 822 27:01 00:00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윤형
- 충청북도 괴산군_1.짜른 방아 2. 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21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1.짜른 방아 2. 잘하네 못하네 1.짜른 방아 2. 잘하네 못하네 1. 짧은 방아 2.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1리 대상동, 이담3리 계담 2004.1.28 素04-1-28A / MD 04-1-2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1리 대상동, 이담3리 계담 | 녹음날짜2004.1.2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1. 대허리 2. 느린 방아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33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1. 대허리 2. 느린 방아 1. 대허리 2. 느린 방아 1. 이듬소리 2. 중거리 방아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 1987.4.22 素04-1-28②B / MD 04-1-28 n.2 홍명화 홍명화 (1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 | 녹음날짜1987.4.22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8)
- 16세기 일기문학에 나타난 사대부들의 신이담론과 소설사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현설, 게재일 : 200818955 조현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8 16세기 일기문학에 나타난 사대부들의 신이담론과 소설사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사이카쿠 쇼코쿠 바나시(西鶴諸國ばなし)』 속 여성 관련 괴이담(怪異譚) 소고(小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3028 한국연구재단 일어일문학회 2012 『사이카쿠 쇼코쿠 바나시(西鶴諸國ばなし)』 속 여성 관련 괴이담(怪異譚) 소고(小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구월산 삼성사 복원 과정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사대부의 신이인식-황해도 기이담론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성지, 게재일 : 201763522 박성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7 구월산 삼성사 복원 과정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사대부의 신이인식-황해도 기이담론 연구의 일환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유형논문 | 게재일2017
- 19세기 초 일본의 대(對) 러시아 전략과 전사(前史)로서의 임진왜란 - 『북해이담』에서 전개되는 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2120 한국연구재단 일본사학회 2013 19세기 초 일본의 대(對) 러시아 전략과 전사(前史)로서의 임진왜란 - 『북해이담』에서 전개되는 담론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흐보스토프 사건과『북해이담』- 1806-7년 러시아‧일본간 무력충돌을 다룬 문헌의 형성과 근세 일본의 병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2258 한국연구재단 동양사학회 2015 흐보스토프 사건과『북해이담』- 1806-7년 러시아‧일본간 무력충돌을 다룬 문헌의 형성과 근세 일본의 병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70)
- 恩霈又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샤뎐죠칙을 나리셧 이졔경을 당야 짐의마이 심히깃거워 맛당이담혜은뎐이 잇슬지라 로약이오옥즁에 쳬류난것이 가장긍민니 법부와 륙군법원과 각판소에 신칙야 류범외간에 년칠십이상과십오셰이하난 이결 미결을 물론고 모다방셕라 압셧더라게재일1907년 3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平山巡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도 평산군 영풍학교교감 신원희씨가 교육에열심으로 경비를 다슈이담당야 학교가장취지망이잇더니 신씨가군에 파츌 슌검과 무삼상힐 이잇던지 파츌쇼에 피착되야 무슈악형을당고 셔흥분셔로 압상되얏 그 학교학도 김두환 민병필등슈십여인이 학부에열명쳥원고 신원희을...게재일1907년 1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본人에舍姪宗煥이性本浮浪야前後行悖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人에舍姪宗煥이性本浮浪야前後行悖已揭各新聞니內外國人이旣爲擧悉이온바宗煥이 不悛舊習고又與法國人佛來祥으로符同譎計야渠之負債본人이擔當之意로誣訴法公舘야甚至於轉照外部야欲徵於본人니事甚無據니良覺痛歎이오且余典券債用고尙不報給之樣으로登諸新聞니尤極駭惋故玆又廣佈오니內外國人...게재일1905년 10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본人에舍姪宗煥이性本浮浪야前後行悖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人에舍姪宗煥이性本浮浪야前後行悖已揭各新聞니內外國人이旣爲擧悉이온바宗煥이 不悛舊習고又與法國人佛來祥으로符同譎計야渠之負債본人이擔當之意로誣訴法公舘야甚至於轉照外部야欲徵於본人니事甚無據니良覺痛歎이오且余典券債用고尙不報給之樣으로登諸新聞니尤極駭惋故玆又廣佈오니內外國人...게재일1905년 10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투사신문_1950_0510_0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이담자브 [평양 8일발 조선중앙통신] 부카레스트 발 따쓰통신에 의하면 몽고인민공화국 정부는 모쓰크바 주차 몽고 대사 이담자브를 통하여 루―마니아인민공화국 정부에 대하여 량 공화국 간에 외교관계를 설정할 것을 제...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0_04_01 | 책임주필한효
멀티미디어(2)
- 15세기 중반 잉어쓸개[鯉膽]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85_약재_15세기_중반_잉어쓸개[鯉膽] 경제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삵괭이쓸개[狸膽]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26_약재_15세기_중반_삵괭이쓸개[狸膽] 경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2)
- 이담;李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928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89면 1. 卒業生;22) 22회(73명: 1931년 3월 졸업) 이담;李淡 전남 靈光邑內 白鶴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진태;金振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639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39호 1935―11―05 60면 4. 청강생 김진태;金振泰 양주군 이담면 보산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병설;安秉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748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2호 1935―06―25 120면 안병설;安秉說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병설;安秉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5896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3호 1936―10―30 120면 안병설;安秉說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구환;鄭龜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9987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42호 1937―12―25 70면 1. 제5회 졸업생 명부 정구환;鄭龜煥 양주군 이담면 안흥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1)
-
이담 / 李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종실(?∼1786). 인의 아들, 정조 비 효의왕후가 소생 없이 갑자기 죽자, 홍국영에 의해 효의왕후의 양자로 완풍군·상계군으로 개봉되며 후계자로 부각되었다. 이후 홍국영의 미움을 받아 역모로 몰려 자결하였는데, 홍국영 실세 후, 일가가 모두 강화에 유배
-
신이담 / [문학/구비문학]
초인간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를 다룬 설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화나 전설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이 신이담은 다시 기원담(起源譚)·변신담(變身譚)·응보담(應報譚)·초인담(超人譚)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기원담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남매의
-
이담속찬 / 耳談續纂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명나라의『이담』에 우리나라의 속담을 증보하여 1820년에 저술한 속담집. 1권 1책. 목판본. 목판본. 명나라의 왕동궤(王同軌)가 엮은 『이담(耳談)』에 우리 나라 고유의 속담을 증보하였다. 표지 서명은 ‘야언(埜言)’이다. 1936년신조선사
-
이담지 / 李湛之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중 한 사람인 문인. 좌사(左思) 이중약(李仲若)의 내손(內孫)이다. 가계 및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
-
훈가사 / 訓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배이탁(裵爾度)이 지은 장편가사. 국한문 혼용 필사본. 구체적인 조목은 다음과 같다. 조손(祖孫)(25행)·부자(父子)(49행)·신민(臣民)(26행)·부부(夫婦)(32행)·형제(兄弟)(35행)·붕우(朋友)(30행)·순천성무화목(順天性務和睦)(14행)·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