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단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41)
- 조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백정(伯靜), 호는 백비당(白賁堂). 아버지는 진사 상정(相鼎)이다.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가례』ㆍ『심경』 등을 사사받고, 또 이단상(李端相)의 문인으로 학문을...이칭별칭 백정(伯靜)| 백분당(白賁堂)
- 이단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8(인조 6)∼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ㆍ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자는 유능(幼能)이다. 호는 정관재(靜觀齋)ㆍ서호(西湖)이다. 할아버지는 좌의정 정구(廷龜)이다. 아버지는 대제학 명한(明漢)이며, 어머...이칭별칭 유능(幼能)| 정관재(靜觀齋), 서호(西湖)| 문정(文貞)
- 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9(인조 27)∼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덕함(德涵). 호는 창계(滄溪). 아버지는 군수 일유(一儒)이며, 어머니는 임천조씨(林川趙氏)로 석형(錫馨)의 딸이다. 이단상(李端相)ㆍ...이칭별칭 덕함(德涵)| 창계(滄溪)
- 이하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4(현종 5)∼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낙보(樂甫), 호는 삼수헌(三秀軒). 아버지는 부제학 단상(端相)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이행원(李行遠)의 딸이다. 168...이칭별칭 낙보(樂甫)| 삼수헌(三秀軒)
- 송인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니는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이단상(李端相)의 딸이다. [내용]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로 있을 때 당시 세제로 있던 영조의 총애를 받아, 1724년 영조가...이칭별칭 성빈(聖賓)| 장밀헌(藏密軒)| 충헌(忠憲)
고서·고문서(47)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347 B015347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2年 7月 20日_006 ○李端相書啓, 臣以世子冠禮嘉禮謄錄取來事, 承命往考于江華府史庫, 則庫中所藏謄錄, 亦多散失於兵火, 冠禮謄錄則專無可考者, 只爲昏朝辛亥年嘉禮缺二行十二疋立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358 B015358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2年 7月 20日_006 ○李端相書啓, 臣以世子冠禮嘉禮謄錄取來事, 承命往考于江華府史庫, 則庫中所藏謄錄, 亦多散失於兵火, 冠禮謄錄則專無可考者, 只爲昏朝辛亥年嘉禮缺二行十二疋立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012 B07501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5年 5月 19日_021 ○有政。 吏批, 以李端相爲仁川府使, 張善瀓爲掌令, 吳始壽爲兵曹正郞, 尹文擧爲大司諫, 朴贄爲全州判官, 李弘淵·南九萬爲承旨, 洪重普爲同知館事, 宋時喆爲司諫, 安縝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803 B076803 동래 東萊 정치행정 顯宗實錄 五年(1664) 五月 현종실록_10505019_001 ○庚辰 / 以洪重普爲同知成均, 李弘淵、南九萬爲承旨, 尹文擧爲大司諫, 安縝爲東萊府使, 宋時喆爲司諫, 李端相爲仁川府使。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862 B0768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顯宗實錄 七年(1666) 十一月 현종실록_10711006_003 ○以李尙眞爲大司憲, 姜栢年爲大司諫, 李端相爲執義, 崔攸之爲司諫, 申命圭爲獻納, 李東老爲掌令, 李翔爲持平, 金萬重爲正言, 李之翼擢爲東萊府使, 李枝遠爲南兵使, 閔...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인천 학산서원과 이단상 이희조 부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3037 한국연구재단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5 인천 학산서원과 이단상 이희조 부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5
주제어사전(11)
-
이단상 / 李端相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할아버지는 정구. 아버지는 명한, 어머니는 박동량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장원했다. 다음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설서·대교·봉교·부수찬·교리 등을 역임하면서, 서연에 나아갔다.
-
밤섬유원지 / ─遊園地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유원지. 밤섬은 조선 현종시대 문신인 이단상(李端相, 1628∼1669)이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힘쓰던 태극정(太極亭)과 정자 내의 연못 경관이 아름답고, 수도권의 단체수련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47번
-
정관재집 / 靜觀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단상의 시문집. 본집 16권 6책, 별집 6권 2책. 목판본. 1682년(숙종 8) 이단상의 아들 이희조에 의해 편집되어 윤지선의 주선으로 간행되었다. 본집은 권1∼3에 시 240여수, 권4∼6에 교서 2편, 소 27편, 권7에 계 13편,
-
김창흡 / 金昌翕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학자. 좌의정 상헌의 증손자,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나성두의 딸이다. 형은 영의정을 지낸 창집과 예조판서·지돈녕부사 등을 지낸 창협이다. 이단상의 문인이다. 저서로는『삼연집』·『심양일기』등이 있다.
-
이헌보 / 李獻輔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31년(영조 7). 조선 후기 사인. 이정구 후손, 증조는 이단상, 조부는 이희조이다. 부친 이양신과 모친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씨이다. 성인의 학문에 힘쓰면서 부모를 진심으로 섬겼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벗들과의 사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