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남규” 에 대한 검색결과 2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8)

사전(33)

  • 만수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의 서한집(書翰集). [내용] 목활자본. 1906년간에 임공렬(任公烈)을 위시하여 원규형(元圭亨)‧채영양(蔡英陽)‧최익현(崔益鉉)‧채석영(蔡石永)‧신관휴(申觀休)‧윤자삼(尹子三)에게 보낸 답장 7통과 1905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수졸사(晩修拙辭)』() 『독립유공자공훈록(獨立有功者功勳錄)』 1(국가보훈처, 1986) 영정 1855(철종 6)-1907. 조선 말기의 의사....
    이칭별칭 원팔(元八)| 산좌(汕左), 수당(修堂)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6(철종 7)∼1907.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전라남도 함평 출신. 1907년 군대해산이 강행되자 을미의병운동 때 이름을 떨친 기삼연(奇參衍)ㆍ김태원(金泰元, 일명 準)ㆍ김용구(金容球) 등이 동지를 규합하여 항일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8(고종 15)∼1934. 독립운동가. [내용] 충청남도 논산 출신. 1920년 7월 임철규(林喆圭)ㆍ이응숙(李應淑) 등과 군자금을 모금, 상해 임시정부에 조달할 것을 협의한 뒤,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 오석영(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에서 당선되었다. 1962년부터는 목포 영흥중고등학교 교장으로 취임, 후진양성에 진력하였다. 『역대국회의원총람』(한국국회인물사편찬회, 조세공론사, 1983) (1901-1976)

고서·고문서(67)

  • 1902년 () 관고(官誥)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882년 ()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885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885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885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기초학문(4)

  • 韓半島 古代國家 形成期 鐵製武器의 流入과 普及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규, 게재일 : 1999
    09170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1999 韓半島 古代國家 形成期 鐵製武器의 流入과 普及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경기 남부 백제유적의 분포양상과 역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규, 게재일 : 2004
    04005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4 경기 남부 백제유적의 분포양상과 역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漢城百濟時期 物流시스템과 對外交涉 硏究의 諸問題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규
    05636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漢城百濟時期 物流시스템과 對外交涉 硏究의 諸問題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
    유형논문
  •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규, 게재일 : 2002
    0625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2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120)

  • 특진관 김셕근 셔공슌 김유셩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특진관 김셕근 셔공슌 김유셩 김희슈 박제빈 민텰훈 리용관 박뎡양 한규셜 김학슈 유긔환 리슌익 김가진 리승우 다 상소야 갈니다
    게재일1900년 3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함경도 안렴 씨가 영흥군슈 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도 안렴 씨가 영흥군슈 리윤씨 파직 엿다 말은 이왕 긔엿거니와 리어가 셔 계기 리군슈가 무명잡셰를 금광셰납이라 가칭 독봉고 아젼을 신이야 다니며 검찰고 관찰부에 속혀 보고엿고 공당에셔 잡기도 고  공를 로 방 엿스며 그
    게재일1900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안렴 씨가 원산항 민요 건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렴 씨가 원산항 민요 건을 샤보 대에 경무관 류한원의 불법위 낫낫치 들어 둘슈 업거니와 면관만고 그만둡슈 업죄오 춍슌 젼두형 위인이 안상고 봉직을 각근이야 경무관이 칭원을 들을에 홀노 텰즁으로 칭송이 잇 란민 긔료에 혼동잡...
    게재일1900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함경도 안렴 씨가 함경도 디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도 안렴 씨가 함경도 디경에 들어가셔 슈령방의 장부를 안찰 초두에 덕원부윤 윤치호씨를 봉고 파츌엿다 뎐보가 작일 경부로 왓대 윤씨의 죄목인즉 민과 (셩 랑기를 넘어 과이 일) 이라더라
    게재일1900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함경도 안렴 씨가 파면 영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도 안렴 씨가 파면 영흥군슈 리윤씨의 면관건을 부에셔 쥬본엿더니 쳐분이 나리시기를 쥰원뎐 슈리가 방장 급즉 슈에게 맛기기가 어려오니 아즉 죄거케라 신고로 부에셔 군으로 훈령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02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99면 ; 강원 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623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3면 ; 강원 본과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24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6면 ; 강원 제4회 1911년 4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187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 제4회 1936-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98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6면 ; 제2회 1942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사(1855∼1907). 벼슬은 중추원의관·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 1894년 일본군의 입성을 규탄하고, 갑오경장의 부당성과 명성황후 시해의 통분함에 대하여 상소를 올렸다. 이후 낙향하여 의병장 민종식을 숨겨주었다가 투옥되었으며 온양 평촌 냇가에서 아

  • 산양처자전 / 山陽處子傳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가 지은 한문단편소설. 의 문집 『수당집(修堂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일제에 의하여 나라가 망해가던 당시의 상황을 한 집안에 비유해 풍자한 소설이다. 「산양처자전」의 주인공인 산양처자가 양가의 규수로서 아무런 부족함이 없는

  • 학림속집 / 鶴林續集 [문학/한문학]

    가 많아 빠진 것이 있어 새로 속집을 만들었다고 한다. 원집은 전하지 않는다. 『학림속집』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권상익(權相翊)과 권재중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19수, 소(疏) 2편, 서(書) 3편, 서(序) 1편, 변(辨) 1편, 논(論

  • 이중균 / 李中均 [종교·철학/유학]

    1861년(철종 12)∼1933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만창, 어머니는 구계조의 딸이다.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에 합격하였다. 독학으로 30세에 성균관에 유학, ·이병칠·오상필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가 설치되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