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기” 에 대한 검색결과 45,4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816)

사전(10,904)

  • 용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연활자본. 1913년 5대손 우선(禹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李野淳)‧장석룡(張錫龍)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우선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 인수...
  • 조야시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근대의 문인 ()의 시선집. [편찬/발간 경위]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활동한 조야의 시인 233인의 시 1,130수를 모아 엮었다. 권두에는 1922년에 정만조(鄭萬朝)가 쓴 서문이 있다. 오세창(吳世昌)이 교열한 것...
  • 서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발(浡)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전사자본(全史字本). 1876년(고종 13) 6세손 승윤(承潤) 등에 의하여 수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병학(金炳學)ㆍ김상현(金尙鉉)ㆍ박규수(朴珪壽) 등의 서문이...
  • 농가월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에 원(遠)이 지은 가사. [개설] 1책. 국문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부록으로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와 「권학가(勸學歌)」가 합철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체재는 ‘농가월령서(農家月令...
  • 민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상(相)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1921년 장석영(張錫英)이 편집하여, 1944년 손자 기충(基忠)ㆍ기호(基浩)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의 서문과 권말에 장윤상(張允相)ㆍ기충의 발문이 있...

단행본(4)

  • 역주 양선생사단칠정왕복서 [중국 강서성 한국학 교육시스템 구축 사업 | 南昌大學 (Nanchang University)]
    저자 : 전병욱, 유영, 서혜민 ... | 출판사 : 강서고교출판사(江西高校出版社) | 출판일 : 20241231
    1553年,退溪和郑之云(1509-1561,号秋峦)正式提出了“四端发于理,七情发于气”的命题,但遭到高峰的批评,1559年退溪把这个命题改成“四端之发纯理,故无不善;七情之发兼气,故有善恶”。退溪的基本观点是四端和七情是理气之相须互发。高峰则不同意这说法,高峰的基本观点是四端、七情都兼理气。几个...
  • 서천 원가 소장 고문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저자 : 성봉현...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05.23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간행사 해제 서천 원가 소장 고문서 부록 – 서천 원가 소장 고문서 목록
  • 무한경쟁의 수레바퀴-1960~1970년대 학교와 학생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 서울대학교]
    저자 : 이기훈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80705
    유형단행본
    1960~1970년대 급변하는 한국사회 속에서도 학교는 가장 크게 바뀐 사회적 공간이었다. 특히 고등학교는 소수의 엘리트를 위한 교육기관 또는 완결된 직업교육기관에서 보편적인 대중 교육기관으로,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 기관으로 완전히 변화했다. 가히 폭발적이라고 해야...
  •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 한국 선사시대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고고학, 기후학, 공간정보학의 학제적 연구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
    저자 : 김범철, 신숙정, 박정재, 최진무, 이기성, 손준호, 조윤재, 端野晋平 ... | 출판사 : 진인진 | 출판일 : 20210531
    기후만큼 인류의 생존과 활동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친 요소도 없을 것이다. 그 영향력 또한 가히 불가항력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사문화 변천에 ‘기후(변동)’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이 책은...

논문(5)

고서·고문서(25,850)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900 答慶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910 答慶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0683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속 〈ad〉公州郡長􀀀面松仙里〈/ad〉 〈in〉尹楷炳君報〈/in〉 〈#376〉 한 번 속고 백이 두 번 속고 백이 랑 근너 쥐삭기 〈d〉1930.10.15.〈/d〉
    구분창가
  • 鷄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kt_00025 문화‧생활 작품 조선 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心經附註卷四 鷄鳴 鷄鳴 이익(李瀷, 1681~1763) HCCH_29:1 正義而或有道不明者, 不謀利而或有計功者. 人於事上切切然求其是, 而於道之大體未必明也. 於己, 則雖不求利, 而於功之成敗, 或...
    서명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520)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활 역사 인물 현대 평안도 태천군 구술자료 1. 평북 태천에서의 출신배경과 가족관
    구술자이기활 | 직업재부5도연합회 회장 | 지역평안도
  •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신 역사 인물 현대 황해도 벽성군 구술자료 1. 일제말기 군사훈련 및 방공호 건설
    구술자이기신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의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의병에 관해 관심이 많았고 실제 연구도 하였다며 의병에 관한 이야기를 구연하기 시작하였다. 제보자는 역사적인 연대까지 들어가면 서 힘있고 빠르게 구연을 하였다.
    조사일시2010. 12. 28(화)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038-4번지 금마기세배전수관 | 제보자황성근
  • 축의 부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천석씨가 이야기하는 동안 부채를 부치면서 빙그레 웃고 있던 제보자가, 이야기가 끝나자 “호랑이 뱃속에 들어간 놈이 어떻게 살아 나오노? 순 엉터리 이야기다.”라고 하자, 황천석이 “그러니까 이야기 아뇨?”라고 했다. 제보자는 “그래도 참말 이야기를 해야지.”하며...
    조사일시1980-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이규환
  • 형제 우애 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6이 끝나고, 제보자가 자청하여 울음의 재 전설과 이 민담을 이야기하였다. *
    조사일시1979-08-06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일운면 | 제보자김덕문

기초학문(256)

  • 블랑쉬 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백승진, 게재일 : 2005
    08071 백승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05 블랑쉬 죽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c9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마음의 와 자연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2584 한국연구재단 계명대한국학연구소 2010 마음의 와 자연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盧沙學派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학래, 게재일 : 2002
    10978 박학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02 盧沙學派의 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01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퇴계학파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금장태, 게재일 : 2001
    08381 금장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1 퇴계학파의 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율곡학파의 론과 리의 주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남호, 게재일 : 2001
    10523 조남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1 율곡학파의 론과 리의 주재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5,41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국 리학자 가라 사이 사의 울고 웃 리치를 여러 연구다가 작년에 뎐긔를 류동야 사이 스로 웃계야 아모리 셩 자라도 그 긔계를 리용면 우슴이 나가계 긔계를 발명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郡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항구감리와 군슈 합셜야 부윤을셜치고 졔쥬목을 물시야 젼라남도관찰부로 부속엿데 부윤관쳥은 이젼 감리셔로 이셜고 졔쥬군은 젼 목쳥으로 이셜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룡쳔부 관를 로 건츅터인 그 건츅 긔디가 일본군용디 범위안에 든고로 부에셔 룡쳔 부윤의 보고를 인야 통감부에 죠회고 그 긔디를 군령부에 교셥야 인허케 기를 쳥얏더니 통감부회답에 그긔디 임의 탁지부소용건츅디로 빌니혀 쥬엇슨즉  인허슈 업다지...
    게재일1907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운산금광을 미국인이 상관기젼에 군광민이 착산헐며 인슈량기에 부비가 엽젼 십여만량이 지낫더니 죨지에 미국인에게 견탈 가산이 탕고 류리쟈ㅣ 불소지라 젹년포한에 경향호소되 셜원이 무로터니 미국인이 셕광만 샹관고 토광은 리익이업셔셔 바리지라 이왕 ...
    게재일1903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善(善) 서울 善 和泉町 207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16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起善(李起善)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317)

  • 만송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자유당 제9회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함께 부대통령으로 지명된 붕의 그간의 활약을 소개. 해방 직후 이승만의 비서로, 한국전쟁 직후 국방장관으로, 이후 민의원으로 당선되고 민의원장으로 활약하는 동시에 자유당을 지도한 2인자로서의 국내외의 활동을 보여주어, 부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8년
  • 대통령에 리승만 박사 부통령이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자유당의 정부통령 후보로 이승만 대통령과 붕 민의원 의장이 출마한 것을 환영하는 환영대회 소식과 환영대회 모습을 전달하는 뉴스이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2월 7일 | 제작공보처
  • 15세기 중반 수이지어(愁魚)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수이지어(愁魚)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379_토산_15세기_중반_수이지어(愁魚)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키치-해학_ 호[사과는 잘해요]_8주차_1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키치-해학_ 이기호[사과는잘해요]_8주차
  • 키치-해학_ 호[사과는 잘해요]_8주차_2차시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4주차. 젠더-여성: 조남주[82년생 김지영] 5주차. 젠더-퀴어: 박상영[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6주차. 음식-몸,성욕: 권지예 [꽃게무덤] 7주차. 음식-몸 금욕: 한강[채식주의자] 8주차. 키치-해학: 호[사과는 잘해요] 9주차. 베스트
    강의자서덕순(서하진) | 주차키치-해학_ 이기호[사과는잘해요]_8주차

기타자료(1,54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7294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50면 ; 제11회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3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준;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34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환;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74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6면 형;瑩 제4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80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7면 섭;燮 제6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14)

주제어사전(537)

  • /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52(명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이다.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성희의 딸이다. 좌의정 행의 형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삼등과로 급제하였다. 대광보국숭록대부가 되면서 병조판서를 겸하여 조정의 대권

  • 동 /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총회발기인으로 활동한 체육인. 서울 출생.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를 졸업하고 휘문고등보통학교 체육교사를 역임하였다. 육군무관학교 동창생인 조원희(趙援熙) 등과 함께 당시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조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발 / [종교·철학/유학]

    1602년(선조 35)∼1662년(현종 3). 조선 중기 문신. 증조부는 이치, 조부는 이준철, 부친은 이극함이다. 모친은 최준극의 딸, 부인은 박동진의 딸이다. 형은 이흥발, 동생은 이생발이다. 형 이흥발, 동생 이생발과 함께 석계 최명룡의 문인이 되어 학문을 닦았다

  • 붕 /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가(1896∼1960). 이승만 대통령의 비서·서울특별시장·국방부장관·대한체육회장 등을 지냈다. 이승만대통령의 지시로 자유당을 창당하여, 자유당의 제2인자가 되었고, 민의원의장에 선출되었다. 1960년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3·15부정선거’에 항거하는

  • 숭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776). 부친은 이지한, 조부는 이광세, 증조부는 이수인, 외조부는 홍순보이다. 1771년(영조 47)에 28세의 나이로 급제한 후 관직은 홍문관수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