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극배” 에 대한 검색결과 1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22(세종 4)∼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자는 겸보(謙甫)이다. 호는 우봉(牛峰)이다. 집(集)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지직(之直)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인손(仁孫)이며, 어머니는 ...
    이칭별칭 겸보(謙甫)| 우봉(牛峰)| 익평(翼平)
  • TD_L14_D_0477 인물 謙甫, 佐翼功臣, 首相, 翼平 廣州 仁孫, 英廟 D_03_04_31 대동운부군옥 3권 4장 3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4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세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경(正卿). 참의 지직(之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인손(仁孫)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극배(克培)이며, 어머니는 세자시강원좌필선(世子侍講院左弼善...
    이칭별칭 정경(正卿)
  • TD_E2_J_0042 父子爲議政 관직 議政, 三世 我朝 黃喜, 黃守身, 李仁孫, , 鄭昌孫, 鄭佸, 洪彦弼, 洪暹, 鄭惟吉, 鄭昌衍, 鄭光弼 J_04_01_03 지봉유설 4권 1장 3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조선 중기 광주이씨(廣州李氏)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와 그의 후손들의 묘군. [내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 11기. 는 우의정 인손(仁孫)의 아들로 집안...
    연계항목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廣州李氏광릉府院君派墓域)

고서·고문서(78)

  • 1618년 () 처(妻) 별급문기(別給文記)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618년(광해군 10) 11월, 의 처에게 노비를 별급한 분재기이다. 문서 아랫부분과 좌측이 결락되어 있어, 발급자와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재산을 별급하는 이유는 장자가 죽은 후 후손을 이을 가망이 없는 와중이 수취자인 의 처가 아이를 낳았...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지방제도) 영중추부사 는…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제도조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2_128757 19301_31_2_0104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41 2 41결 2두락 梅山 이가백(梅山)
    자료번호19301_31_2_0104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所啓也。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9357 B06935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十年(1479) 閏十月 성종실록_11010108_007 ○ H010404]東萊君鄭蘭宗爲館伴。 初以領中樞府事爲館伴, 政府啓: “正一品爲館伴, 非古例。” 故改之。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422(세종 4)∼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문신. 집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이다.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47년(세종 29)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감찰, 경상도관찰사, 병조참판, 집현전제학, 우참찬, 판중추부사

  • 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 / 廣州李氏廣陵府院君派墓域 [사회/가족]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조선전기 광주이씨 관련 묘역.시도유형문화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 11기.는 우의정 인손(仁孫)의 아들로 집안 대대로 서울 강동구 둔촌동(遁村洞) 지역에 거주하였으며 네 아우가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오자등과(五子登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