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극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
사전(70)
- 안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몇 차례 탄핵소를 올렸으나 왕이 윤허하지 않았다. 이 때 사신(史臣)이 그의 품성을 논하기를 “본래 정직하지 못해 남이 옳다는 것은 그르다 하고 남이 나쁘다는 것도 좋다고 하였다. 소박하고 우직해 꾸밈이 없이 나라 일에 마음을 다했으나 이극돈(李克墩)같은 자...이칭별칭 성지(誠之)| 죽계(竹溪)
- 이극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35년(세종 17)∼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고(士高). 집(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직(之直)이고, 아버지는 우의정 인손(仁孫)이며,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이칭별칭 사고(士高)| 익평(翼平)
- 이극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우의정 인손(仁孫)의 조카이고, 훈구파(勳舊派)의 거두 극돈(克墩)의 사촌이다. 1485년(성종 16) 지평으로 있으면서 4품 이상의 당하관(堂下官)에게 ...
- 이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공형(公衡). 참의 지직(之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인손(仁孫)이고,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극돈(克墩)이며, 어머니는 예조참판 권지(權至)의 딸이다. 부인...이칭별칭 공형(公衡)
- 송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07년(중종 2)에 교수로서 식년문과에 3등으로 급제, 이듬해에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거쳐 사헌부의 지평ㆍ장령을 역임하였다. 일찍이 이극돈(李克墩)을 비판하는 자리에서 대신들이 모두 불가하다 하였으나 오직 그 혼자만이 추탈을 강력히 주장한 바 있었다. 또...이칭별칭 의지(宜之)
고서·고문서(42)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314 B06931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十三年(1482) 八月 성종실록_11308029_002 ○以鄭蘭宗爲資憲東萊君, 成俔通政工曹參議, 堰通政掌隷院判決事, 李克墩嘉善全羅道觀察使。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궁삭(弓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282 B030282 궁삭 弓槊 경제산업 成宗實錄 二十一年(1490) 五月 성종실록_12105027_002 ○御經筵。 講訖, 特進官李克墩啓曰: “今命遣弓匠于兩界, 又送弓槊木及筯。 臣意兩界弓匠, 本不乏, 遣之徒費國廩, 請勿遣。 弓槊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605 B049605 덕진 德津 군사교통 成宗實錄 二十五年(1494) 十二月 성종실록_12512023_004 ○以吏曹判書李克墩爲社稷祈禱行香使, 左贊成韓致亨宗廟行香使, 右參贊尹孝孫昭格署行香使, 奉常正金永貞白岳、三角山行香使, 宗簿正李仁亨木覔山行香使, 司僕正朴林宗楊州城...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돌산도(突山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鄭文炯、盧公弼、許琛、李堪議: “本道一應邊事, 已令李季仝措置, 突山事變, 不必別議處置。 但下諭李季仝, 善爲措置何如?” 李克墩議: “今觀本道前後邊報, 必是, 賊倭依泊近島, 伺候竊發。 洪任果能搜捕諸島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근도(近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道一應邊事, 已令李季仝措置, 突山事變, 不必別議處置。 但下諭李季仝, 善爲措置何如?” 李克墩議: “今觀本道前後邊報, 必是, 賊倭依泊近島, 伺候竊發。 洪任果能搜捕諸島, 則安敢如是? 令李季仝倍道馳赴, 及期措置爲便。” 成俊議: “賊倭搜捕節目, 李季仝已親受去, 更復何議?” 從成...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지역분류근도(近島)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이극돈 / 李克墩 [종교·철학/유학]
1435년(세종 17)∼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집의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57년(세조 3) 친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전농시주부, 1459년(세조 5) 형조좌랑이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병조
-
규한록 / 閨恨錄 [문학/고전산문]
1834년(순조 34) 이씨부인이 지은 소설적 수기. 필사본. 지은이는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후손으로 해남윤씨 종가로 출가하여 윤선도(尹善道)의 8대 종부(宗婦)가 된 부인이다. 『규한록』은 지은이 친필인 유일본이다. 내용은 이씨부인이 자녀를 생산하기
-
보한집 / 補閑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최자(崔滋)가 엮은 시화집(詩話集). 3권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최자가 서문을 쓴 1254년(고종 41)경에 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전해지는 것이 없다. 『성종실록』의 기록에 이극돈(李克墩)·이종준(李宗準) 등이 다른 시화류와 함께 간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