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국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
- 이면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7(영조 33)∼1818(순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여(子餘), 호는 남하(南霞). 할아버지는 대제학 광덕(匡德)이고, 아버지는 군수 국형(國亨)이며, 어머니는 정석붕(鄭錫朋)의 딸이다. ...이칭별칭 자여(子餘)| 남하(南霞)
- 이후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0(중종 15)∼1578(선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진(季眞), 호는 청련(靑蓮). 관찰사 숙함(淑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원례(元禮)이고, 아버지는 국형(國衡)이며, 어머니는 홍...이칭별칭 계진(季眞)| 청련(靑蓮)| 문청(文淸)|연원군(延原君)
고서·고문서(16)
- 1687년 이국형(李國馨)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87년 이국형(李國馨)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87년 이국형(李國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308 B034308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年 4月 11日_004 ... 朔州府使, 尹侃豐德郡守, 李國衡麻田郡守, 鄭惟藩林川郡守, 梁嶷韓山郡守, 李復生溫陽郡守, 曺鸞瑞陜川郡守, 沈大復淸道郡守, 崔明善興海郡守, 朴惟健樂安郡守, 田得雨平海郡守, 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309 B034309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年 4月 11日_004 ... 朔州府使, 尹侃豐德郡守, 李國衡麻田郡守, 鄭惟藩林川郡守, 梁嶷韓山郡守, 李復生溫陽郡守, 曺鸞瑞陜川郡守, 沈大復淸道郡守, 崔明善興海郡守, 朴惟健樂安郡守, 田得雨平海郡守, 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3)
- 이국형;李國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95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2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3)법과 제1학년 이국형;李國衡 (원적)경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국형;李國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376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12면 이국형;李國衡 경남 밀양군 부북면 퇴로리;慶南道 水産課 제14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국형;李國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858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84면 1. 卒業生;21) 21회(64명: 1930년 3월 졸업) 이국형;李國炯 전남 고흥군 高興面 西門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이국형 / 李國馨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이덕명 후손, 고조는 이언경, 증조는 이락, 조부는 이광주이다. 부친은 이유신, 모친은 홍응원의 딸이다. 부인은 윤화교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시 생원 2등 15위로 합격하였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