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46)
사전(920)
- 송암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구(李坵)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25년 후손 정추(鼎樞)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배정휘(裵正徽)의 서문과 권말에 나흠(羅欽)ㆍ정추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4에
- 은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구(李球)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이 책은 1897년 후손 종기(種杞)에 의해 『전성세고(全城世稿)』에 합간되었으나, 1908년 7대손 현승(玄升)에 의해 별책으로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종상(李鍾祥...
- 활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구(李榘)의 시문집. [내용] 7권 4책. 목판본. 권두에 권두경(權斗經)‧이만부(李萬敷)의 서문이, 권말에 채헌징(蔡獻徵)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부(賦)‧소(疏...
- 도림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오이구(吳以久)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63년(철종 14) 7대손 태규(泰圭)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이 1860년에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1860년 태규가 쓴 추...
- 속은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구성(李龜星)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6권 3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ㆍ2에 시 271수, 권3ㆍ4에 소(疏)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序文 《棠岳遺事》解題 學生尹公爾久墓碣 通政大夫行忠淸道觀察使尹公神道碑幷序 己卯錄 黃兎記事 尹進士友衡衡之往海南, 付寄尹同年孝貞希參曁其子尹佐郞衢
논문(2)
-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九曲문화 [한국 고전 플랫폼 구축과 중국 내 한국학 거점대학 육성-선택과 집중을 통한 학문 후속세대 육성 | 湖南師範大學 (Hunan Normal University)]저자 : 王茂娴(왕모현) | 게재정보 : JOURNAL OF WUYI UNIVERSITY
- 稼亭集 을 통해 본 李穀의 욕망 추구와 [중국 화중지역 한국학 핵심기지 구축 사업 | 華中師範大學 (Central China Normal University)]저자 : 배규범·민관동 | 게재정보 : 大東漢文學
고서·고문서(11,743)
- 이구동성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이구동성 홍 남자 상해시(上海市) 알수없음 알수없음 영희로 742의2 2 2 이구동성, 대한민국, 입장, 소련, 규탄...대표표제어이구동성 | 성씨홍
- 아이구나속상해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142 잡가 C295―A, C295―B 13077 ―‧제―핸드포―드 株式會社日本蓄音器商會 ―‧제―핸드포―드 西尾四良 아이구나속상해 秋月影 바이올린 [2] 오르며 내리며 잔기침 소리 물 마른 밥에도 목만 캑캑여 못 맛날 그 님이건...구분잡가 | 편저자―‧제―핸드포―드
- 雇工歌 五十二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845 잡가 잡가 13060 雇工歌 五十二句 〈e〉羅孫 藏〈/e〉 [1] 집의 옷방「c밥」을 언고 들먹 져 雇工아 우리 집 긔별을 아다 모로다 비오 일 업「c」죄 □「c」 면셔 니리라 처음의 한어버이 사름리 려□「c」구분잡가
- 荅歌 四十二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846 잡가 잡가 13060 荅歌 四十二句 [2] 어와 져 반하야 도라안자 내 말 듯소 엇지「」 져믄 소 헴 업시 단니다 마누라 말을 아니 드러 보다 나 □「c일」얼만뎡 外方의 느은 툥이 공 밧치고 도라갈 일 다 보왓...구분잡가
- 査五聲各差以九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40 樂書孤存 卷三 ITKC_MP_0597A_1040_000_0040 査五聲各差以九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樂書孤存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38)
- 이구십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이전 노래에 이어서 구연했다.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무림리 봉곡마을 봉곡마을회관 | 제보자배국향
- 모심기 노래[이구삼삼 도군동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을태 제보자가 앞의 <모심기 노래>를 마친 후, ‘두나 안 했나?’라고 하니 청중들이 또해보라고 하자 바로 이 노래를 연이어 구연하였다. 노래 하신 후, ‘이는 받아주는 기고’라고 노래에 대한 설명하였다.조사일시2010. 2. 3(수) | 조사장소부산시 강서구 대항동 남중마을 남중할머니회관 | 제보자김을태
- 타지키스탄의 의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광진구 아, 우리 나라 발음으로는 ‘토지키스톤(Тоҷ икистон / تاجی کستان)’인데. ‘스톤’이라는 어미가, 어 나라라는 뜻이구. ‘토지’는 왕관이에요. 왕관. [조사자: 아, 터지, 타지, 토지가 왕관.] 네. [조사자: 크라운(crown).] ‘국가타지키스탄 | 제보자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민요;농악; 미상 미상 30:58 30:41 A면 1) 경기농악(06:52) 꽹과리 이돌천 장구 이두호 북 변상남 징 김번연 태평소 김인영2) 산아지타령(15:54) 소리 이성진 이광섭 이구섭 오동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구섭
- 한애순 심청가 ④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판소리 심청가 한애순 박동실 판소리 31:08 01:01 A면 심청가 중 \"사당문을 가만히 닫더니 부친앞으로 우르르르르르 달여들어 부친의 목을 안고 얻더지며 아이구 아버지\"의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한애순
기초학문(8)
- 李覯의 經世論的 易解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병석, 게재일 : 200009210 정병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0 李覯의 經世論的 易解釋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이구의 의리사상 및 예론과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성구, 게재일 : 201142092 한성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이구의 의리사상 및 예론과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1
- 一九二九年の「内地」で呼び起こされた一九二三年の「朝鮮」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71954 한국연구재단 일본근대문학회 2009 一九二九年の「内地」で呼び起こされた一九二三年の「朝鮮」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나눔 문화의 양상과 의미 - 「借馬說」과 「義財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신혜, 게재일 : 201455852 서신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퇴계연구소 2014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나눔 문화의 양상과 의미 - 「借馬說」과 「義財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기록을 통해 본 明末의 貿易構造― 1620년대 月港 무역의 변화와 澎湖事件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지선, 게재일 : 201351979 한지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13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기록을 통해 본 明末의 貿易構造― 1620년대 月港 무역의 변화와 澎湖事件 ― https://www.krm.or.kr/krmts/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852)
- 陰謀已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셔 권군 건의 심샤을 맛친고로 그공안과 착수얏던 졔죄인을 일병 평리원으로 압교얏 그 동모쟈에 셩명은고최찬졍뎨 박대하 라△영오긔호 김동필 리용 김인식 리홍 윤슈찬셔운쳥인국최익진윤츙하리광수셔창보등이동모고흉장를모집야 오대신을 각각분담 고...게재일1907년 4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待之已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참셔관 뎡구셥씨가 보셩군슈로 젼임의난 홍진유씨가 피임야 부문셔과쟝으로 분쟝되앗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死已久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군슈 김로규씨로 함경북도관찰를 셔임하더니 다시드른즉 김씨가 신고지 오라다하 부에셔 함경남도관찰부로 뎐보하야 김관찰의 부임여부 곳 탐지하야 뎐보하라하더니 일아량진에 도로가 젹죠하야 탐보의소식아 돈졀하다더라게재일1904년 1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金李拘拿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법부에셔 경시춍감 환산즁쥰씨의 보고를인야 봉상 졔죠 김대진 리우명 량씨를 형상 심문건이 잇셔 구라으로 쥬본을 봉뎡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江里口義一(江里口印刷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江里口義一(江里口印刷所) 서울 江里口義一 江里口印刷所 北米倉町 93 종이_문고_도서 - 인쇄 인쇄 294.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江里口義一(江里口印刷所)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인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
- 고양 일산덕이구역 도시개발사업부지내 고양 덕이동유적 Y5-0106_#1 유구 Y5-0106 고양 일산덕이지구 도시계발사업부지내 고양덕이동 유적_유구1_사진8. ②와적층 조사후 2015-02-04_0.3825189_Y5-0106 고양 일산덕이지구 도제목고양 일산덕이구역 도시개발사업부지내 고양 덕이동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81)
- 이구을;李求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447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4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5) 제15회(1926년) 이구을;李求乙 원산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구혁;李求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28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7면 이구혁;李求赫 함북 제3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구혁;李求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88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8면 이구혁;李求赫 함북 농림전문학교 제3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구희;李求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09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24면 이구희;李求禧 함남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구혁;李求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512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41면 이구혁;李求赫 함북 제3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강제훈 | 고려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6)
-
이구 / 李榘 [종교·철학/유학]
1613∼1654(광해군 5∼효종 5). 아버지는 광흡, 어머니는 장수황씨이다. 황희의 후손 시간의 따님에게 장가 들었는데, 광해군의 난정을 보면서 세도에 뜻을 잃고 처향인 문경으로낙남하였다. 젊어서 <주자서>‧<퇴계집> 등 성리서에 심취하여 천인 성명의 이치에 통달
-
이구 / 李球 [종교·철학/유학]
?∼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종실. 아버지는 병원, 아들이 이하응이다.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 진에게 입양하여 남연군에 봉해졌다. 부인은 여흥민씨이다. 1771년(영조 47) 양부 은신군이 김구주 등의 모함으로 관작을 빼앗기게 되어 제주도에 위리안치된 뒤 변
-
이구 / 李構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36(중종 31). 조선 전기의 학자. 이국 증손, 할아버지는 이문흥, 아버지는 이세준이다. 1510년(중종 5) 진사가 되고,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합격, 검열이 되었으나 기묘사화로 투옥되었다가 하루 만에 석방되었다. 향약
-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
이구성 / 李龜星 [종교·철학/유학]
1756년(영조 32)∼1835년(헌종 1).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이계양 후손, 증조는 이구, 조부는 이수원. 부친은 이세익, 모친은 김경헌의 딸 이다. 형 이구운이 있다. 1790년(정조 14) 성균관에서 응교에 뽑혔다. 원릉참봉, 경기전참봉·선공감봉사·의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