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광익” 에 대한 검색결과 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5)

  • 운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22년 후손 일복(一福)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김규화(金奎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매구(李邁久)의 발문과 일복의 후지가 있다. 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3(숙종 29)∼1780(정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원숙(源叔). 판서 계남(季男)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태석(泰錫)이며, 어머니는 최수(崔琇)의 딸이다. 1733년(영조...
    이칭별칭 원숙(源叔)
  • 이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1(순조 1)∼?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자는 사일(士一). 아버지는 금장(禁將) 광익(光益)이다. 1841년(헌종 7) 경상좌도수군절도사에 임명된 이래 경상우도병마절도사ㆍ경기수군절도사ㆍ함경북도병마수군절도사 등을 거쳐 1853년...
    이칭별칭 사일(士一)| 효의(孝毅)
  • 이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의(全義). 지춘추관사 언충(彦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익(光翊)이고, 아버지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사경(思敬)이며, 어머니는 판서 백광비(白光庇)의 딸이다. 부인은 현복...
  • 조득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순(金達淳)이 연석(筵席)에서 저지른 사건을 탄핵, 처벌하게 함으로써 대과(大過)를 바로잡은 공이 있다 하여 이조참판에 오르고, 다시 병조판서에 특진되었다. 그 뒤 이조ㆍ예조의 판서를 거쳐 1808년 평안도관찰사 재직 때 평안도병사 ()과 의주부윤 윤...
    이칭별칭 덕여(德汝)| 일곡(日谷)| 문충(文充)

고서·고문서(73)

  • 1777년 ()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1780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86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89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62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1)

  • 입원실을 만들고 이미 환자들을 옮겼다. 또한 새로이 꾸민 이 입원실에 추운 겨울에도 따뜻하게 계속 온기를 보장하여 주기 위하여 이곳 일꾼들은 입원실 온돌 아궁이를 개조하여 무연탄을 땔 수 있도록 만들었는바 한숙자 동무들을 선두로 한 종업원들이 동원되여 벽돌과...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3_1113_02 | 날짜1953년 11월 13일 | 책임주필김명호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754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54면 13. 제13회 졸업생 ; 제13회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미상∼1811년(순조 11). 벽파로부터 고위 무관 중 윤행임이라고 지목받아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시기에 행 호군이던 은 벽동군에 유배, 윤행임은 예조판서로서 전라감사를 제수받아 당일로 임지로 출발하라는 명을 받은 지 4일만에 강진현 신지도에 유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