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광사” 에 대한 검색결과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4) 『한국(韓國)의 미(美) 6 -서예(書藝)-』(임창순 감수, 중앙일보사, 1981)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원교(圓嶠) ()의 화론(畵論)」(이완우, 『간송문화』38, 199...
    이칭별칭 도보(道甫)| 원교(圓嶠), 수북(壽北)
  • 이영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0(영조 16)∼?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공(幼公), 호는 신재(信齋).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후손으로, 양명학자이며 서예가로 유명한 광사(匡師)의 아들이며, 『연려실기술』의 저자인 긍익(...
    이칭별칭 유공(幼公)| 신재(信齋)
  •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한평(申漢枰)이 그린 조선 후기의 문인서예가 ()의 초상. [내용] 1774년 작품.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66.2㎝, 가로 53.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1468호. 사방건(四方巾)을 쓰고 흰 도포(道袍...
  • 속사미인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영조 때 이진유(李眞儒)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한글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376구이다. 음수율은 3‧4조,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2‧3조, 3‧5조, 4‧3조 등도 보인다. ()가 소장하였던...
  • 윤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객사하였다. [작품세계] 윤순은 시문은 물론 산수‧인물‧화조 등의 그림도 잘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글씨의 대가로 우리나라의 역대서법과 중국서법을 아울러 익혀 한국적 서풍을 일으켰다. 그의 문하에서 () 등이 배...
    이칭별칭 중화(仲和)| 백하(白下), 학음(鶴陰), 나계(蘿溪), 만옹(漫翁)

고서·고문서(28)

  • 1727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不治斬灞陵尉之罪,詔臨右北平盛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720 漢不治斬灞陵尉之罪,詔臨右北平盛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751년 묘지명(墓誌銘) 탁본첩(拓本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1)

  • 圓嶠 (1705-1777)의 이기심성론과 자연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2125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圓嶠 (1705-1777)의 이기심성론과 자연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05∼1777). 1755년에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귀양가서 죽었다.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배웠고, 윤순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글씨·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원교

  • 동국악부 / 東國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와 그의 아들 영익(令翊)이 지은 악부시. 조선 후기에 ()와 그의 아들 영익(令翊)이 지은 악부시. 의 문집 『원교집 圓嶠集』에 전한다. 원래 가 「해동악부 海東樂府」라 하여 30수를 지었는데, 여기에 그의 아들이 화

  • 원교집선 / 圓嶠集選 [언론·출판]

    저자 (1705-1777). 필사본 3책(결질). 필사본 3책으로 통상 10권 4책으로 전해지는 이본과 비교했을때 초권 1책(동국악부)과 '원교집선권제팔'에서 '원교집선권제십에 해당되는 원문이 빠진 영본이다. <원교집선>은 의 시문을 수습한 것이다.

  • 강천각소하록 / 江天閣銷夏錄 [문학/한문학]

    )·잡설 등 여러가지 양식의 글을 임의로 뽑아 수록하였다. 그 중 「제이동서(題李童書)」는 이용휴(李用休), 「조씨타호구린기(趙氏打虎救隣記)」는 왕백유(王白瑜), 「동국악부(東國樂府)」는 ()의 것이다. 나머지 글들도 편자의 것인지 아니면 다른 사람의 것을

  • 장학사전 / 張學士傳 [문학/고전산문]

    있다. 즉, 왕가(王家)와 벌열(閥閱)의 갈등을 반영하는 동시에 일부다처제의 모순을 다룬 가정소설의 면모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후주가 소씨를 모함하는 대목은 「사씨남정기」와 유사하며, () 일가가 지었다는 「소씨명행록(蘇氏名行錄)」과도 관련이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