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광” 에 대한 검색결과 7,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15)

사전(2,1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환관(宦官). [내용] 1377년(우왕 3) 이인임(李仁任) 일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지윤(池奫)과 김윤승(金允升) 등이 일으킨 난에 연루되어 하옥되었다가 풀려났다. 1384년 최영(崔瑩)이 조성도감판서(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74(성종 5)∼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창(平昌). 자는 명원(明遠). 아버지는 형조참판 계남(季男)이다. 1491년(성종 22)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494년(연산군 즉위년)...
    이칭별칭 명원(明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41(중종 36)∼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사무(士武), 호는 우계산인(雨溪散人). 사간원사간 의무(宜茂)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행(荇)이고, 아버지는 도사 원상(元祥)이며...
    이칭별칭 사무(士武)| 우계산인(雨溪散人)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4(헌종 10). 조선 제25대왕 철종의 아버지.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해동(海東). 작호(爵號)는 전계대원군(箋溪大院君). 영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도세자(思悼世子)이고, 아버지는 은언군 인(恩彦君裀)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9(고종 16)∼1966. 독립운동가, 정치가.
    이칭별칭 성암(星巖)

단행본(38)

  • 귀환과 전쟁, 그리고 근대 동아시아인의 삶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김춘선(중국 연변대학교 인문사회과학학원 교수), 리광일(중국 연변대학교 조선-한국학학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1.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제1부 중국에서 조선인 한인의 귀환과 정착 (1)재만 한인의 국적 문제 (2)해방 후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과 성격 (3)朝鮮 師團의 在中國 活動과 北韓 移動 (4)1920년대 후반 만
  • 정본 여유당전서 2-문집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文集 卷八 (1)對策 2.文集 卷九 (1)策問 (2)議 (3)疏 3.文集 卷十 (1)原 (2)
  • 정본 여유당전서 3-문집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文集 卷十三 (1)序 (2)記 2.文集 卷十四 (1)記 (2)跋 (3)題 3.文集 卷十五 (1
  • 정본 여유당전서 4-문집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詩文集 第十八卷 (1)贈言 (2)家誡 (3)書 2.詩文集 第十九卷 (1)書 3.詩文集 第二十卷 (1)書
  • 정본 여유당전서 5-잡찬집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附 雜纂集 一 (1)文獻備考刊誤 2.附 雜纂集 二 (1)雅言覺非 (2)耳談續纂 3.附 雜纂集 三 (1)小學珠串

논문(5)

고서·고문서(3,616)

  • 수 문학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수 문학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수 문학사전 한승옥 편저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2 전문사전; 현대문학...
    대표표제어이광수 문학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合葬同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t_00140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窆 合葬同墳 合葬同墳 이익(李瀷, 1681~1763) 書疑禮考證 DRAC_3:1:20:3Q 愚嘗疑合葬之禮, 以理推之, 人之死生, 有萬不同. 假使夫婦, 一則靑年而死, 一則耄期而死, 先葬者...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찬(贊) 이인효 유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찬(贊) 평두남(評斗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진안 정천 전주이씨 서곡 이정영 후손가
  • 신(臣) 선고(先藁)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진안 정천 전주이씨 서곡 이정영 후손가

구술자료(50)

  • 기타 가계도 달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SK_SF_달.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기타 | 구분가계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해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수영씨가 이야기를 꺼낸 김에 세 가지는 해야 된다고 해서 제보자가 계속해서 들려준 이야기다. *
    조사일시1982-07-29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 제보자이현우
  •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F-306 998 미상 음반녹음자료 1) 이 음원은 1996년에 삼성뮤직에서 제작한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광수
  •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F-306 998 미상 음반녹음자료 1) 이 음원은 1996년에 삼성뮤직에서 제작한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성운
  •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수 아라리오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F-306 998 미상 음반녹음자료 1) 이 음원은 1996년에 삼성뮤직에서 제작한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철주

기초학문(151)

  • 수의 논총계발과 문명조선의 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선태, 게재일 : 2004
    40320 정선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상허학회 2004 수의 논총계발과 문명조선의 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다산의 지 역학에 대한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방인, 게재일 : 2004
    37004 방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4 다산의 지 역학에 대한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주한, 게재일 : 2013
    46185 최주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연구원 2013 수의 민족개조론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근대저널리즘과 수의 문학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0999 한국연구재단 한국비평문학회 2016 근대저널리즘과 수의 문학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茶山의 地 易學에 대한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방인, 게재일 : 2004
    01283 방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4 茶山의 地 易學에 대한 비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815)

  • 민세안재홍전집 : 三千里 「壁新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744 1932 1 1 1 1 三千里 「壁新聞」 잡지 삼천리 4권 1호 137쪽 시평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洙 B19320101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疑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도안악군 걸홍면 풍동거리종호 년금이십여셰인 십여년젼 부터실진야 광긔가종종 발작터이더니 거월분에 무삼슈상 일이잇셧던디 군 경무분파 소슌검이 젹한으로 착슈고로 리종호의형 리영호가 부에쳥원야 도경무셔에 훈령고 실상병이잇거든 곳방송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작에 영공 쥬이뎐씨 폐현야 슈안군 금광건을상쥬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拒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잡보에 긔로 일공가 직산금광에셔 금이나지 아니면 타쳐로 다시 쳥구터이오  군슈가 져희즉 금광무가 곤란다 고로 궁부에셔 답죠기를 직산금광을 임의 징약얏슨즉 타쳐를 쳥구는것은 약죠밧 일이니 결단코 인허슈업고 군슈는 져희 리유가 만무다...
    게재일1903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模(模) 서울 模 舘洞町 48-6 음료품 - 조선주(朝鮮酒) 소매 1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光模(李光模) | 지역서울 | 품목음료품 | 영업종목조선주(朝鮮酒)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

  • 수용하는 대중, 향유하는 대중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
    것’의 역동적 자리바꿈으로 변화해간다고 말한다. 그 관점에서 보면, 현대문학사는 창작과 수용에 있어서 새로운 세대의 끊임없는 교체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1주차. 수, 계몽, 근대적 대중 2주차. 김소월, 정서, 대중의 감성 3주차. 박태원, 모던보이(모던

기타자료(202)

  • 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411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60-2면 우;雨 제13회 1938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609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101면 1. 졸업생상황;21)송도고등보통학교 제14회(34명) 호;浩 개성부 북본정 423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630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95면 - 성;聖 소화14년 3월4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516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40면 - 춘;春 1933년 3월 31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290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0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3)송도고보 제16회(소화10년) 77명 렬;烈...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114)

  • / [종교·철학/유학]

    1485-1551. 조선 전기 유학자. 부친은 지성, 모친은 노언진의 딸이다. 김극인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충우, 충준, 사위는 오공건이다.

  • /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79-1966). 호는 성암(星巖). 1907년 전덕기(全德基)·이동녕(李東寧) 등이 주도하는 애국계몽단체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주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만주로 망명, 이시영(李始榮)과 같이 경학사와 신흥학교를 설립하여 유

  • 려 /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이참봉집』을 저술한 유학자.실학자. 아버지는 이진수(李眞洙)이다. 그는 인품도 훌륭했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또 문장이 뛰어나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사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려의 문장에 대해서 이만수(李晩秀)는 “국조(國朝) 300년의

  • 사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05∼1777). 1755년에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귀양가서 죽었다.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배웠고, 윤순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글씨·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원교

  • 수 /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소설가·평론가·언론인(1892-?). 1910년 메이지학원 보통부 중학 5학년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정주 오산학교 교원이 되었다. 1915년 김성수의 후원으로 와세다대학에 유학하였다. 1940년 일제의 요구에 따라 창씨개명을 수락했고, 1943년 이후로 학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