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관징” 에 대한 검색결과 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

사전(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국빈(國賓), 호는 근옹(芹翁)ㆍ근곡(芹谷). 주(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창정(昌庭)이고, 아버지는 심(襑)이며, 어머니는 이민환(...
    이칭별칭 국빈(國賓)| 근옹(芹翁), 근곡(芹谷)| 정간(貞簡)
  • 이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동애(東厓). 아버지는 이조판서 관징(觀徵)이다. 허목(許穆)ㆍ홍우원(洪宇遠)에게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문예를 성취하였으며, 1689년(숙종 ...
    이칭별칭 열경(悅卿)| 동애(東厓)
  • 이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1(인조 1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 창정(昌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부(師傅) 심(襑)이고, 아버지는 관징(觀徵)이며, 어머니는 최호(...
    이칭별칭 문약(文若)| 박천(博泉)
  • 수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접대. 凶.之餘 勅行出來外邑 將何酬應 極慮極慮, (), 05-6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흉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흉년. 凶.之餘 勅行出來 外邑將何酬應 極慮極慮, (), 5-6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9)

  • 1693년 () 시첩(詩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서화 | 형식분류고서-서화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1674~1720년 정하음휘(庭下音徽) 상(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1674~1720년 정하음휘(庭下音徽) 하(下)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75021 B07502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3年 1月 25日_014 ○引見時, 吏曹判書金壽恒所啓, 東萊府使鄭晢, 鍾城府使, 江界府使權儔, 濟州牧使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581 B022581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17年2月 2日_014 曹參知成鼎鎭, 行副護軍守令薦擧單子, 則成鼎鎭移職之後, 疊呈薦單, 旣以軍銜修單。 又以樞銜, 更呈一單, 薦單之疊呈, 已極未安, 而又況非見任, 而冒書樞銜, 尤極駭然, 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심, 어머니는 이민환의 딸이다.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승지, 대사헌, 경연관, 보양

  • 기산서원 / 箕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동(外畓洞)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 경절공 손중돈 및 정부인 최씨의 묘비‧석인상 / 景節公 孫仲暾 ─ 貞夫人 崔氏─ 墓碑·石人像 [예술·체육/체육]

    전면에는 "자헌대부이조판서월성군증시경절손공지묘(資憲大夫吏曺判書月城君贈諡景節孫公之墓)"라 음각되어 있다. 묘비명은 홍언필(洪彦弼)이 찬하고 ()이 썼다. 문인석 2기는 동일한 모습이다. 복두공복형 문인석으로 머리에는 전각복두를 착용하였다. 얼굴을 평편하며 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