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관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3)
사전(42)
- 이관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빈(子賓), 호는 병산(屛山). 유록(緌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여(敬輿)이고, 아버지는 판서 민서(敏敍)이며, 어머니는 원주원씨(原州...이칭별칭 자빈(子賓)| 병산(屛山)| 문정(文靖)
- 李官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290 李官明 남자 孝子, 大雨, 隣人, 驚怖, 隣里 淸道 D_07_01_28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2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관명(李觀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관명 이관명 李觀命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숙종~영조 이기순 이범직 2015 자빈(子賓) 병산(屛山) 문정(文靖) 양반 남자 1661년(현종 2) 1월 21일 1...
- 이휘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5(숙종 41)∼1785(정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미경(美卿), 호는 노포(老圃). 경여(敬輿)의 종손으로, 할아버지는 민서(敏敘)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관명(觀命)이며, 어머니는 권중만(權...이칭별칭 미경(美卿)| 노포(老圃)| 문헌(文憲)
- 이병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딸이다. [내용] 1705년(숙종 31) 생원시에 합격하고,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좌상 이관명(李觀命)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ㆍ수찬을 역임하고 경상좌도암행어사로 나갔다. 이어 이조좌랑ㆍ교리ㆍ대사...이칭별칭 여오(汝五)| 삼산(三山)| 문정(文靖)
고서·고문서(81)
- 이관명(李觀命)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이관명이 안방준의 후손에게 보낸 답장이다. 어버이의 병환이 지난 달 20일 이후부터 더 중해졌는데 조금 나아지기는 했으나 완전히 회복되지 못해 애가 탄다고 말한 내용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462 B01546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0年 11月 18日_013 ○鄭亨益啓曰, 禮曹判書李觀命, 今方在外, 參判朴泰恒, 以御眞殿奉事, 下去江華府, 參議兪崇, 今日政移拜承旨。 當此勅行, 本曹多有時急擧行之事, 參議有闕之代, 令該曹卽爲口傳差出, 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귤(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239 B031239 금귤 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3月 11日_020 ○柳弼垣·金相奭爲司正, 李基福爲副司勇, 金英震·尹揄爲副護軍, 鄭澔·金橘爲副護軍, 李觀命·趙觀彬·金昌翕爲副司直, 金相尹·洪禹齊爲副司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59 B036159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9月 4日_020 ○吏批, 以李觀命爲校理, 李㙫爲修撰, 尹世紀爲漢城判尹, 金萬相爲南海縣令, 申處華爲司䆃僉正, 柳成運爲奉常正, 金晉來爲校書博士, 承文正字單申。 吏曹政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洪受渼爲金井察訪, 李㙫爲校理, 李漢宗爲永柔縣令, 李觀命爲輔德, 梁聖揆爲掌令, 李邦彦爲司書, 金興慶爲文學, 李宇恒爲喬桐府使, 盧世夏爲持平, 金簋爲學諭, 洪尙賓爲奉常直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이관명 / 李觀命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 이듬해에 익위사세마, 공조정랑, 함열현감, 예조참판,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병산집』1
-
동산서원 / 東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에 있었던 서원. 1718년(숙종 4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여(李敬輿)·이민서(李敏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그 뒤 이관명(李觀命)·이건명(李健命)을 추가배향하였다. 이 서원은 1721년(경종 1)
-
이병상 / 李秉常 [종교·철학/유학]
1676(숙종 2)∼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제 증손, 할아버지는 정기, 아버지는 항, 어머니는 최계웅의 딸이다. 1710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 좌상 이관명의 천거로 관계에 진출하였다. 검열을 거쳐, 정언·수찬, 이조좌랑·교리·대사간·대사성·
-
남충장공사고 / 南忠壯公詩稿 [종교·철학/유학]
0수, 부록으로 홍계희가 어명을 받아 지은 치제문(致祭文), 황경원(黃景源)이 지은 행장, 이재(李縡)가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 이관명(李觀命)을 비롯, 조현명(趙顯命) 등이 지은 만사 14수가 실려 있다. 시의 작품들은 무장의 기질대로 격렬장엄하며, 이순신(李舜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