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계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1)
- 수묵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수묵화를 많이 남겼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조선 중기 이정(李霆)의 묵죽, 어몽룡(魚夢龍)의 묵매, 이계우(李繼祐)의 묵포도, 후기의 이인상(李麟祥)‧강세황(姜世晃) 등의 산수화 등이 있다. 歷代名畵記(張彦遠) 唐朝名畵錄(朱景玄...이칭별칭묵화
고서·고문서(42)
- 이계우(李啓宇)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서찰을 받은 즉일에 기하(記下) 이계우(李啓宇)가 은율현감(殷栗縣監)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초청 편지이다. 혹염이 날이 갈수록 심한데도 여행하시는 안부를 묻고 아울러 그리운 마음을 전하였다. 발신자는 가친(家親)의 생신이 가까이 다가와서 사사로이 기쁘고 경사로...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5 第五統統首李桂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5년_대현면(大峴面) 1795년 대현면(大峴面) 第三十三龍岑里 5 第五統統首李桂佑 第一戶 右領軍官李桂佑年伍拾柒己未本慶州父業武福只祖業武巨邁曾祖業武貴同外祖業武李 益德本慶州妻朴姓年伍拾柒己未本密陽父通政貴福祖通政逸奉曾祖通政愛生外祖業武李聖 雲本慶州子烽軍今...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三十三龍岑里
- 1825년 이계우(李啓宇)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5년(순조25) 9월 18일 이계우(李啓宇)가 대포(大浦)에 사는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으로, 먼저 서찰을 보내준데 대하여 고마움을 전하고, 협지에서 지적한 후손을 이을 방도와 학문에 전념하라는 가르침을 힘을 다하여 실행하겠다는 내용.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萬物門2_五兩八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五兩八兩 許愼《淮南子》註曰; “綄, 候風羽, 楚人謂之五兩.” 立於船頭者, 是也. 兵書有候風法, 以鷄羽重八兩建五丈旗, 取羽繫其巓, 立軍營中. 按, 劉誠意《觀象玩占》云: “以鷄羽八兩爲葆. 竿首作盤, 置三足木烏於盤上, 兩足連上而外立, 一足係下而內轉. 風來, 則烏轉, 回首向...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102 B00510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2年 2月 23日_003 ... 海西近官, 時無現在穀納, 江都所儲, 其數頗優, 除出千數之米, 分給舊都齊民, 待秋還捧, 事勢便當, 而係于軍餉, 該曹不敢擅便, 令廟堂相議, 稟處, 何如? 傳曰, 允事, 命下矣。 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4)
- 홍기_1979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일부분 사원들이 먼저 부유해지게 하여야 한다 강왈소 59 자원의 종합적리용에 대하여 리계우 62 어떻게 해야 가치...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9
- 군슈 경필영慶必永 륙품 셩셕영成奭永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운鄭海運으로 임고 평안북도 죵두무위원 류홍민 임에 젼라남도 죵두무위원 리철우李啓宇로 명고 김슈셕金洙錫으로 젼라남도 죵두무위원을 명다以上七月十二日 즁츄원의관 죠영호 리죵국 리학슌 송셕진 최두건 강경 김즁 갈닌에 뎡삼품 강극로姜克魯 륙품 박셕규...게재일1902년 7월 19일 | 기사분류관보
- 비지네스_1968_08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세계의 대기업 80 기술의 자주적 개발체제(상) 이계우 86 합리적인 재고관리란? 정태철 8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비지네스_1968_08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4 기술의 자주적 개발체제 (하) 이계우 46 세제개혁과 기업회계 원칙 홍창수 49 산업스파이 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기타자료(1)
- (특집 학력향상 방안) 사회과교육의 본질과 지도요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학 잡지 이계추 李桂樞 1979 12 교육전남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계추 | 사료철명교육전남
주제어사전(1)
-
이계우 / 李啓宇 [종교·철학/유학]
1786 - 1833.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필이 5세조, 부친은 이만규, 어머니는 한경의 딸이다. 생부는 이현규, 생모 는 윤성진의 딸이다. 1830년(순조 30) 문과에 급제한 이후의 관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평소 독서를 좋아하여 경사에 널리 통달했으며 특